잘 산다는 것은 뭘까?

시대의 사명을 온 몸으로 실천하는 사람, 인류의 운명을 바꿀 특별한 업적을 남긴 사람, 국제평화기구와 같은 단체를 통해 인류애 실천하는 사람, 있는 듯 없는 듯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 자신의 안위를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은 사람 등 사람들의 삶을 몇 마디 말로 규정할 수는 없다. 모두가 자신의 가치관에 의해 세상과 사람들을 바라보고 자신의 삶을 꾸려간다고 본다면 이를 구분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 차체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에 잘 산다는 것에 대한 규정 역시 대단히 어려운 문제라고 본다.

 

 

각자의 상대성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잘 산다는 일반적인 규정은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 지점이 개인들의 삶을 구분하는 출발점이 된다. 보통의 경우 한 사람의 삶은 그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보여주었던 행적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 의해 평가되고 규정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역사적 인물들을 평가하는 일이나 동시대 사람을 평가하는 일이나 동일 선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동 시대 사람을 평가한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기에 역사 속의 인물들을 통해 그러한 부담감을 줄이면서도 사람의 tkaf을 통해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연암고전연구회에서 발간한 ‘선비의 길 원칙과 현실, 그리고 시대정신’을 중심으로 역사인물을 평가한 ‘나의 길을 가련다’는 의미 있게 다가온다. 조선시대를 살았던 스물 네 명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삶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올바른 삶이 될 것인가를 유추해 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들은 보한재 신숙주, 사숙재 강희맹, 매월당 김시습, 화담 서경덕, 면앙정 송순, 퇴계 이황, 남명 조식, 북창 정렴, 사암 박순, 송암 권호문, 내암 정인홍, 율곡 이이, 송강 정철, 손곡 이달, 백호 임제, 어우당 유몽인, 교산 허균, 서포 김만중, 성호 이익, 청담 이중환, 연암 박지원, 청장관 이덕무, 다산 정약용, 매천 황현 등 대단한 인물들이다.

 

 

스물 네 명의 사람들을 그들의 삶을 통해 특징지을 수 있는 키워드를 선정하고 그 기준으로 그 사람의 삶을 재조명하고 있다. 그 키워드로는 처세(處世), 명예(名譽), 절개(節介), 격물치지(格物致知), 무욕(無慾), 겸양(謙讓), 경의(敬義), 겸허(謙虛), 염퇴(恬退), 관물(觀物), 충의(忠義), 언로(言路), 트라우마(Trauma), 고절(孤絶), 풍류(風流), 기간(奇簡), 진보(進步), 어머니(母), 실학(實學), 명당(明堂), 초탈(超脫), 탐독(耽讀), 민본(民本), 사기(士氣) 등이다. 이는 선비로 통칭 할 수 있는 사람들의 삶을 가르는 기준으로 삼을 만한 것들이라고 볼 수 있지만 시대를 불문하고 자신의 삶의 화두로 삼을만한 주제들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준은 물론 옛사람들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기에 현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평가에도 적용할 수 있어 ‘나의 길을 가련다’라는 책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책이나 드라마 등을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역사 속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어느 한 시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후대의 다양한 평가를 모두 살핀다. 처세(處世)로 신숙주를 보는 것이나 진보(進步)로 허균을 탐독(耽讀)으로 이덕무를 보는 것 등은 익숙한데 초탈(超脫)로 박지원을 트라우마(Trauma)로 정철을 살핀다는 것은 의외다.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니 보지 못했던 그 사람의 다른 측면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나의 길을 가련다’는 시대에 따라 그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이 달라지는 사람들에 대해 있는 그대로의 이야기를 반영하고 있어 나름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고도 보인다.

 

 

온전히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들은 잘 산 사람일까? 살아생전의 평가는 그 평가를 하는 사람들의 이해요구가 더 크게 반영되지만 죽은 뒤의 평가는 그 사람을 통해 얻고자 하는 다른 이해요구가 반영된다. 이렇듯 한 사람에 대해 올바른 평가란 애초에 무리한 것이 될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먼저 산 사람들의 삶을 통해 아직 살아있는 사람들이 배워야 할 삶의 교훈은 분명하게 얻을 수 있다. 대부분 분명한 정치적 삶을 살았던 사람들이기에 현대의 정치가들과 비교하여 이들을 통해 분명한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