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508/pimg_7576931183849921.jpg)
귀하고도 무거운 책을 보존서가에서 모셔왔으므로, 잠을 아껴서라도 합당한 예우를 갖추는 중입니다. 대여기간 12일 동안 내 집에 머무실 손님 이름은 [주석 달린 오즈의 마법사]!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508/pimg_7576931183850113.png)
청년기에도 꿈 속에서 노란 벽돌길 따라 자전거를 탔을 정도로 [오즈의 마법사]를 좋아했던 독자였지만, 막상 저자 L. 프랑크 바움에 대해 이름 빼고는 아는 바가 없네요. 평전을 찾았지만 절판이었습니다. 다행히 기억의님께서 매끈하게 정리된 리뷰를 남겨주셨어요(https://blog.aladin.co.kr/760031175/8307056). 그 글 덕분에 L. 프랑크 바움이 여성참정권 운동의 지지자였음을 알았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508/pimg_7576931183850114.jpg)
바움의 장모님이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 유명한 여성 운동가였다는 점은[주석 달린 오즈의 마법사]를 통해 추가로 알았고요. 아들만 넷을 두었던 프랑크 바움이 도로시처럼 주체적인 소녀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이유를 알겠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508/pimg_7576931183850116.jpg)
바움은 어렸을 때 그림 형제니 안데르센 동화의 잔혹한 소재들을 싫어했답니다. 그래서 [오즈의 마법사]에서는 아이들에게 겁 주는 교훈적 요소를 배제하려 했다네요. 이는 서문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Ø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 구식 동화들은 이제 어린이 도서관에서 ‘역사적 산물’로
분류될지도 모른다. 옛날 작가들은 독자들에게 겁을 줘 교훈을 전달할 목적으로 이야기마다 무시무시하고도
잔인한 사건들을 고안해 왔는데, 이제 이런 무섭고 잔인한 사건들은 물론이요, 지니, 못된 난쟁이, 나쁜
요정 등 구식 동화의 전형적인 캐릭터들도 죄다 없애 버린 신식 ‘동화’가
나올 시기가 도래했기 때문이다.
Ø 오늘날에는
교육이 이미 도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요즘 아이들은 동화에서 재미만을 추구할 뿐, 불쾌한 일은 접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Ø 이
책이 경이와 기쁨은 고스란히 두고 고통과 악몽만을 없애 버린 현대적 동화가 되기를 바란다.
두툼한 [주석 달린 오즈의 마법사]를 109쪽까지는 착실하게 읽었지만, 깨알 폰트 크기가 어지럼증을 유발시킵니다. 일단, 소개글까지는 파악했으니 쉬면서 천천히 손님접대 하겠습니다. 다시 보존서가로 배웅드리기 전까지, 최대한 자세히 손님을 알아가야겠어요.
혹시 Munchkin을 비룡소출판사에서는 "먼치킨"이라고 번역하였으나 [주석 달린 오즈의 마법사]에서는 뭉크킨]이라고 발음합니다. 혹시 이 단어의 정확한 발음을 아시는 분 계시면, 살짝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