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냅킨에 메모하며 책 읽는 습관을 후회한다. 분명 한 2~3년 전 [농경의 배신(Against the Grain)]을 냅킨을 알뜰하게 활용해 빼곡하게 요약하였건만 온라인과 오프라인 어디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책에 우선 순위를 두는 나로서는 당첨 번호 일치한 복권을 잃어버린 심정으로 아쉽다. 메모를 소홀히 다룬 내 자신에게 화가 난다. 그렇다고 [농경의 배신]을 다시 정리하기에는 꾀가 나는지라 기억에 남는 부분만 기록해놓기로 한다.
"약자의 무기 Weapons of the Weak"로 널리 알려진 제임스 스캇은 국가와 국가권력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온 정치인류학자이다. 그는 20년 이상 대학원에서 농경사회, 특히 길들임(domestication)과 초기 국가의 농경구조를 가르쳐 왔다. 2011년, 계기가 생겨서 자신의 강의 노트를 뒤 엎을 수준으로 강의자료를 업데이트를 한다. 제임스 스캇은 세계적 대학자이면서 겸손하게도 고고학, 역학, 인구학, 환경역사학, 생물학 등 여러 분야의 최신논의를 학생의 자세로 공부하여 그 결과를 독자에게 압축해준다. 이를 거칠게 요약하자면 '정착과 농경'에 관한 표준서사를 폐기,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거의 전 세계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워온 바로 서사, 이동하는 수렵채집민에 비해 정착생활을 했던 농경민이 더 진보했으며, 농경이 우월하다는 주장은 신화에 불과하다는 것. 이 주장은 농업혁명이야 말로 인류 역사상 최대의 사기(sham)라고 했던 제러드 다이아몬드를 떠올리게 한다.
[농경의 배신]을 본격 읽기 전, 예비독자로서 아래 진술 중 어떤 생각에 동의하는지 자가체크해 보아도 재미있겠다
1-1. 수렵채집, 목축, 화전, 농경 생계양식은 진화적 발달 순서에 따른다.
1-2. 그렇지 않다. 인간은 중첩된 복수적 생계양식을 구사하는 억척 재주꾼이다.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언제나 활에는 시위를 두 줄 걸어두는 법이다."라는 속담을 떠올려보라!
2-1. 이동하며(떠돌며) 사는 노마드는 정착하여 발전을 이루는 정주민에 비해 야만적이다. 정주 욕구는 인간의 보편 욕구이다.
2-2. 뻔한 진보 서사에 동의하지 않는다. 우리 조상들은 어쩔 수 없이 내몰리다 보니, 정주하고 농경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3-1. 만물의 영장, 인간은 농업혁명과 함께 동물과 곡물을 길들였다.
3-2. 일방향의 표현이라 동의하지 않는다. 보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인간은 대상을 길들였고 길들임을 당했다. 또한 단지 동물과 곡물뿐 아니라 사람을 길들였다. 노예, 특히 재생산 능력이 있는 가임기 여성 노예를 생각해보라.
4-1. 인간은 국가체계 안에서 더 안전할 수 있다. 소속을 원한다.
4-2. 과연 모든 인간이 그럴까? 그래왔을까? 도무스 domus에 묶이는 것을 거부하는 존재들은 항상 있게 마련이다. '국가 없는 사람들'의 실례를 찾아보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