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린 미트 - 인간과 동물 모두를 구할 대담한 식량 혁명
폴 샤피로 지음, 이진구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11월
평점 :
내가 아플 때와 아프지 않을 때, 집에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양에 현격히 차이가 난다. 흠! 씁쓸하지만 인정해야겠군. 나는야 전기 없어도 작동되는, 인간 음식물 처리기라네! 귀한 먹거리를 쓰레기 처분하는 꼴을 참기가 어려워서, 수행자의 마음으로 삼킨다네! 내키지 않지만, 아주 가끔 이런 이유로 고기를 먹기도 한다. 하지만 대개 나는 고기와 가깝지 않다.
[Clean Meat]는 '고기'에 대한 책이다. 인간의 '고기 욕망'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채식주의자인 유발 하라리가 서문을 써서 힘을 실어주는 이 책에서 저자 폴 샤피로는 인간의 고기 욕망이 초래할 암울한 미래를 경고한다. 소위 선진국에서 채식주의 열풍으로 육류 수요를 감소시킨들, 인도와 중국 등에서 휘몰아 올라오는 육식 열풍 때문에 여전히 둑은 펑펑 터질 것이라고 예견한다. '녹색혁명' 노벨수상자인 노만 블로그Norman Borlaug가 식량증산으로 인류에게 시간을 수십 년 벌어주었을 뿐, 여전히 '인구괴물'의 위협이 21세기 지구를 노린다고 한다.
뻔히 예측되는 결말로 추락하지 않기 위해 행동이 필요한데, 대표적인 것이 '고기 덜 먹기'이다. 보다 정확히 말한다면, 방목이건 공장식 축사에서건 인간의 혀를 즐겁게 하기 위해 키워진 고기를 덜(안) 먹기이다. 대신 세포농업 cellular agriculture으로 배양된 "청정고기"를 한 대안 삼을 수 있다는 것이 [Clean Meat]의 핵심 주장이다. 실험실에서 배양된 고기는 에너지 효율성과 친환경성, 위생성, 낮은 판데믹 리스크, 동물권 보호 등 여러 차원에서 유익할 것이라는 근거를 끌어온다.
다만, 2021년 현 시점에서는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니 상용화 전망은 아직 불투명하다. 무려 33만 달러짜리 소고기 패티로 만든 햄버거가 시식장에서 한 입 베어 물린 채로 덩그러니 놓였다는 기사 많이 트윗되지 않았는가? 실험실에서 제조된 단백질 덩어리가 신기해 보여도 덥석 물어 육질의 풍미를 느껴 보려는 이들이 많지 않을 것 같다. GMO를 '프랑켄 푸드'라 했듯, 어쩌면 Clean Meat에도 대중이 회의적일지 모른다 (그런 이유로, 제품 개발 관련 이익집단들은 cultured meat, cultivated meat, cell-based meat 등의 용어 대신, 일부러 'clean'이란 형용사를 택했다) 즉, 클린 미트가 상용화되기까지는 기술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대중의 인식, 정부 규제, 생산가능 규모와 생산비용 등 산적한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는 포경산업으로 씨가 말릴 뻔한 고래들의 고통에, 노예선slaveship, KKK단, 죽은 남편 따라 살아 있는 아내를 화장시키는 인도 사티 Sati관행에 격분하다. '인간으로서 할 짓이 아니다'라며 선조들의 비윤리적, 비인간적 행위에 격분한다. [Clean Meat]에서는 마찬가지로 불과 20년만 지나도 우리 후손들이, 20세기 혹은 21세기 초 인류가 순전히 스테이크, 우유와 가죽을 위해 가축을 도살한 데 경악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그만큼, 클린 미트 상용화의 전망이 어둡지 않으며 그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뉘앙스를 담고 있다.
Grand Ball Given by Whales (Vanity Fair,
1861)
[클린 미트 Clean Meat] 가 흥미로웠던 이유는 새롭게 부상하는 (녹색)사업으로서의 '클린 미트,' 이면의 정치경제적 관계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우리 대다수는 '그저 소비자'이기 때문에, 어떤 이들이 이 사업에 뛰어들었고 어떤 이해당사자가 이 사업에 투자하고 어떤 논리로 클린 미트를 옹호하는지 알기 어려운 마당에 더욱 그렇다. 예를 들어, 'clean meat'라는 명칭을 협의하기까지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clean meat'를 환경논리로 포장했을지라도 돈 냄새를 맡고 실리콘 밸리가 어떻게 들썩이는지 등을 생생하게 현장 리포트 한다. 'clean, 청정'이라는 용어가 기저의 치열한 전략전을 놓치게 할 수 있지만, [클린 미트]는 노련한 리포터처럼 적당히 더하고 빼가며 보여준다.
개인적으로 [Clean Meat] 개발자들의 "다수"가 채식주의자 혹은 채식 지향이 강하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개발자의 개인적 가치관, 특히 먹기 문제 관련한 실천이 이 분야 산업의 향후 방향지음에 얼마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까? 나는 궁금하다.
[전쟁과 음식]
[클린 미트]가 전쟁 등 특수 상황에서 식량 정책과 수급을 주로 다루는 책은 아니지만 중간 중간 에피소드에서 그에 대한 관심을 읽을 수 있다. 특히 WW1과 WW2 관련해서 유럽과 북미에서의 식량 공급에 대한 짧은 언급들이 있는데 굉장히 흥미롭다. 이 주제를 특화해서 다룬 책을 찾아봐야 겠다
* 예를 들어, 독일군은 비행선 Zeppelin 을 전쟁용도로 많이 공급하기 위해, 독일뿐 아니라 동맹국들에게도 소시지 생산을 중단시켰었다 한다. 일차세계대전 기간 동안에. 왜냐하면 사진속 비행선 1대 제작하는데 무려 25만 마리 송아지의 내장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