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등에서
쥴퓌 리바넬리 지음, 오진혁 옮김 / 호밀밭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호랑이 등에서] 서평
쥴퓌 리바넬리 지음/ 오진혁 옮김


이 도서는 군의관과 오스만 제국의 황제였던 제34대 술탄 압둘하미드 에 의해 쓰여진 회고록이다.

"이건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게 아니었어. 모든 인간은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집에서 선택하지 않은 운명을 타고 태어나. 우리는 모두 호랑이 등에서 태어난 거야. 운명을 바꿀 수는 없지" (p20)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한 뒤 전통적으로 허락된 3일간의 약탈을 과하다고 생각해서 이틀로 줄이신 파티흐 술탄 마흐멧께서 이런 법률을 제정하셨지. 잔인해서 그런 게 아니라, 칭기즈칸의 아들들처럼 형제간에 권력 다툼으로 제국을 분열시키지 말라는 뜻에서였다네" (p275)

작은 아버지 압둘아지즈가 폐위되고, 이복형 무라드가 황제가 되었지만 정신 이상으로 폐위되자, 압둘하미드가 황제에 오르게 되었다. 그를 황제로 즉위시킨 사람들에게 한 약속이 헌법 제정이었다.


그런데 황제는 의회를 해산하고 약속을 지키지 않않다. 1877년 헌법을 다시 찾고자 과업을 위해 목숨까지 바칠 각오로 청년 장교들이 연합진보위원회를 조직하고 투쟁하였다. 압둘하미드는 입헌군주제를 선포했는데 청년 장교들에 비해 차별받는다고 생각한 군인들이 이스탄불에서 쿠데타를 일으켰다.

정세를 장악한 연합진보위원회는 압둘하미드를 폐위시키고, 가택연금을 시켰다. 3년 6개월이라는 시간동안 황제의 곁에 있으면서 군의관의 생각은 점점 바뀌어간다. 철천지 원수, 폭군, 독재자로 불리웠던 폐위된 황제는 죽음의 공포와 건강 염려증에 사로잡힌 피해망상 환자인 것이다.

"사람들이 나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뭘 잊고 있는 줄 아나? 나도 사람이라는 걸세. 한 가족의 아버지, 웃고 울고 아프고 기뻐할 줄 아는 사람이라는 걸 잊고 있는 거네. 나를 사람이 아니라 통치잘로 봤던 게지 (p291)


군의관은 점점 권력을 빼앗겨 힘없고 초췌해진 노인이 보여주는 인간적인 모습에 끌리게 되고 혼란스러워진다. 오랜 시간 집권할 동안 '분할과 통치
원칙을 적용해 왔고, 제국 내 백성들이 서로 싸우게 만든 당사자인 그가 새 조정과 권좌를 차지한 동생의 무능을 입에 담는 그였다.

군의관은 압둘하미드를 이해하는 반면, 회의주의에 빠지게 되는 역사적 현실앞에서 괴로워하였다. 새로운 집권 세력이 예전과 다르지 않은데, 이 반란이 왜 일어났는지 의문이 들었다. 젋고 경험없는 비밀 결사대, 암살 결사대, 연합진보위원회 소속 동료 장교들이 이 지경으로 만든 것이다.

폐위된 황제가 있는 테살로키니가 그리스군에게 포위당하자 다시 이스탄불로 압송이 되었다. 어린시절을 보내었고, 너무나 증오하는 베이레르베이 궁으로 가게 되었다.


실존 인물인 아트퓨 휴세인 대위는 폐위된 황제의 일기를 12권이나 적었다. 무소불위를 자랑하던 오스만 제국의 황제라는 자리는 위태로운 자리다. 근대화 개혁을 추진하지만, 나라는 황제 혼자서는 이끌어갈 수가 없다.

이 회고록은 군의관과 폐위된 황제의 극명한 대립관계를 보여준다. 두사람의 묘한 심리상태는 지난시절을 회고하면서 얘기하는 황제의 모습을 인간적으로, 때로는 대체불가한 모습으로 까지 생각하게 만든다.

마지막 황제의 대사가 이 회고록의 마침표를 찍었다.

'호랑이 등에서 내려오는 건 여기서겠구나'(p402)

찬란했던 호랑이 등에서 달렸을 때는 몰랐을 인생무상을 비로소 알게 된 것이다.

위 서평은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

@homilbooks


#호랑이등에서 #호밀밭출판사 #쥴퓌리바넬리 #소설추천 #책추천 #독서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