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연인들은 서로 사랑하니까 만난다. 둘 중 한 사람이라도 사랑하지 않는다면 그 만남은 지속할 수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둘의 사랑의 크기가 똑같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두 사람은 상대보다 더 사랑하는 쪽이 되거나 덜 사랑하는 쪽이 된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더 사랑하는 자일까?
알랭 드 보통 저, <우리는 사랑일까>와 롤랑 바르트 저, <사랑의 단상>을 읽고 나니 그 답이 보였다.
1. 노력하는 자가 더 사랑하는 자이다
연인 관계에서 둘 중 누가 더 사랑하는 자일까. 이를 알기 위해 ‘두 사람 중 누가 더 노력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면 된다.
<우리는 사랑일까>에 이런 글이 있다.
....................
(전화 통화로) 대화가 펼쳐지는 어느 지점에서, 앨리스(여자)는 자신이 가지 않으면 에릭(남자)은 자기 집에서 나오지 않으리라는 감을 잡았을 것이다. 저녁 시간을 같이 보내고 싶은 그 남자의 욕망은 아주 작고, 분명히 그녀의 욕망보다 약했다. 그 남자는 혼자 있는 것마저 감수할 테지만, 그녀는 쉽게 그러지 못했다. - 그래서 노력하는 일은 그녀의 몫으로 떨어졌다.
....................<우리는 사랑일까>, 371쪽.
연인들이 바라는 것 중 하나가, 둘의 관계를 위해 노력하는 상대의 모습을 보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이렇게 말하고 싶을 때가 있는지 모른다.
“나를 만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당신의 모습을 보고 싶어요.”
그러나 어쩔 수 없이 상대보다 더 노력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은 상대보다 더 사랑하는 자이다.
2. 기다리는 자가 더 사랑하는 자이다
두 연인 중에서 누구에게 권력이 있을까. 당연하게도 덜 사랑하는 자에게 권력이 있다. 이를 다른 말로 바꾸면, 사랑을 더 받는 자에게 권력이 있다.
....................
스탕달은, 애인 사이에서는 언제나 한쪽이 상대방을 더 사랑하며, 그래서 두 사람 관계의 권력이 인지되기 마련이라는 비관적인 견해를 밝혔다.
....................<우리는 사랑일까>, 172쪽.
연인 관계에서의 권력은 ‘기다림’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주로 기다리고 있는 쪽보다 기다리게 하는 쪽에 권력이 있다.
롤랑 바르트는 이렇게 썼다.
....................
“나는 사랑하고 있는 걸까? - 그래, 기다리고 있으니까.” 그 사람, 그 사람은 결코 기다리지 않는다. 때로 나는 기다리지 않는 그 사람의 역할을 해보고 싶어한다. 다른 일 때문에 바빠 늦게 도착하려고 애써 본다. 그러나 이 내기에서 나는 항상 패자이다. 무슨 일을 하든간에 나는 항상 시간이 있으며, 정확하며, 일찍 도착하기조차 한다. 사랑하는 사람의 숙명적인 정체는 기다리는 사람, 바로 그것이다. (…) 기다리게 하는 것, 그것은 모든 권력의 변함없는 특권이요, “인류의 오래된 소일거리이다.”
....................<사랑의 단상> 67쪽~68쪽.
기다리는 일이란 사랑하는 사람의 숙명과도 같은 것. 기다리는 자가 더 사랑하는 자이다.
알랭 드 보통 저, <우리는 사랑일까>
롤랑 바르트 저, <사랑의 단상>
3. 연인에 대해 알 수 없다고 생각하는 자가 더 사랑하는 자이다
연인들은 서로 상대를 얼마나 알까. 몇 년 연애를 했다고 해서 친숙한 사이라고 해서 과연 상대를 제대로 안다고 할 수 있을까. 친구와 연인을 비교한다면 친구보다 연인에 대해 더 많이 안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
....................
앨리스는 사랑하는 남자(에릭)에 대해 아는 게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했다. 그 남자의 행동은 여전히 수수께끼였다. 에릭은 처음 만난 날과 똑같이 복잡해 보였다. 그 첫 만남에서 그녀는 그 남자를 ‘안’ 줄 알았지만 이제는 그렇게 주장할 수 없었다. (…) 그리고 예상할 수 없고, 끊임없이 질문과 해석이 뒤따르는 불안정 상태에 힘이 빠졌다.
....................<우리는 사랑일까>, 149쪽
앨리스처럼, 가장 잘 안다고 생각했던 연인이 어느 날 아무것도 아는 게 없는 연인인 것을 깨닫는 순간이 온다면, 롤랑 바르트가 한 말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
“아무리 해도 당신을 잘 모르겠어요”라는 말은 “당신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정말 모르겠어요”라는 뜻이다. 당신이 나를 어떻게 해독하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나 역시 당신을 해독할 수 없는 것이다.
....................<사랑의 단상>, 196쪽.
누구에 대해 의문을 품고 골똘하게 생각하는 건 사랑에 빠진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상대를 사랑할수록 상대에 대해 알고 싶은 게 많아질 것이고, 상대가 자신을 사랑할 거라는 믿음이 약할수록 상대에 대해 모르는 게 많다고 느낄 것이다. 그러므로 연인에 대해 알 수 없다고 생각하는 자가 더 사랑하는 자이다
4. 피곤하다는 말을 듣는 자가 더 사랑하는 자이다
함께 있을 때 상대로부터 “당신을 만나면 한순간에 나의 모든 피로가 풀려요.”라고 말하는 걸 듣고 싶은 게 연인일 것이다. 반대로 상대로부터 듣고 싶지 않은 말 중 하나가 이 말일 것이다.
“오늘 좀 피곤해요.”
피곤하다는 상대의 말을 들은 연인은 마음속으로 “어떻게 나를 만나면서 피곤함을 느낄 수 있지?”하는 생각을 하며 울적해질지 모른다.
....................
“우리 관계가 어떻게 될 것 같아요?”
“앨리스, 지금은 밤 1시 30분이에요.”
“그래서요?”
“이런 토론을 시작할 때가 아니라는 거죠. 왜 매사를 복잡하게 만들어야 직성이 풀리는지 모르겠어요. 뭘 알고 싶은데요? 내가 왜 청혼하지 않는지?”
에릭은 반대편으로 돌아눕고 베개에 머리를 고쳐 뉘었다.
“사랑을 나누면서 당신은 날 똑바로 보지 않아요.”
“앨리스, 부탁이에요. 이런 얘기는 내일 하면 안 되겠어요? 지금 피곤해요.”
....................<우리는 사랑일까>, 256쪽~257쪽.
상대가 피곤하다고 말하면 잔인하게 들리는 게 사랑하는 자의 마음이다. 둘이 함께 있는 시간이 행복하지 않음을 전달하는 말로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나는 이미지를 변질시키러 오는 것은 모두 두려워한다. 그래서 그의 피로를 두려워한다. 피로란 경쟁 대상 중에서도 가장 잔인한 것이다. 어떻게 피로에 대항해 싸울 수 있단 말인가? 나와 그 사람을 연결하는 이 유일한 끈인 피로를, 사랑에 지친 그가 ‘내게 주기 위해’ 조각조각 자르고 있음을 본다. 그러나 내 앞에 놓인 이 피로의 꾸러미를 어쩌란 말인가?
....................<사랑의 단상>, 167쪽.
상대의 피로와 싸워 이길 수 없다는 걸 아는 연인은 자신의 무력함을 깨닫게 될 것이다. 피곤하다(피로하다)는 말을 듣는 자가 더 사랑하는 자이다
**********************
마광수 저, <마광수 인생론 - 멘토를 읽다>에서 저자는 말한다.
“청춘시절에 연애경험을 해보지 못한 사람은 평생토록 ‘비퉁그러진 성격’을 갖고서 살아가게 된다.”(41쪽)고. “‘숫총각, 숫처녀 박멸 운동’을 벌여야만 그때 비로소 자유로운 사랑이 이루어질 수 있다.”(41쪽)고. 그리고 연인 관계에서의 ‘정신적 사랑’이란 ‘육체적 사랑에 대한 그리움’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육체적 쾌락’을 강조한다. 육체적 쾌락을 진심으로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이 행복해진다는 것이다. “약육강식의 장(場)인 이 생태계에서 원칙적으로 지고지순한 ‘사랑’은 존재하지 않는다.”(46쪽)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
‘헌신적인 사랑’이란 있을 수 없다. 모든 사랑은 그 속을 벗겨보면 결국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헌신적 사랑은 이기심의 또다른 가면일 뿐이다.(47쪽)
남녀가 서로 사랑하며 연애를 한다고 해도 그것은 절대로 ‘하늘의 축복’이 아니다. 연애는 언제나 피 튀기는 ‘심리전(心理戰)’의 양상을 띠고 있다.(49쪽)
연애는 그 사람에게 활력을 불어넣어 주지만, 한없는 ‘줄다리기’의 연속이라서 동시에 극심한 피로감도 안겨 준다.(51쪽)
....................<마광수 인생론 - 멘토를 읽다>
<우리는 사랑일까>와 <사랑의 단상>를 읽으면서 연애는 ‘피 튀기는 심리전’이고 극심한 피로감을 안겨 준다는 <마광수 인생론 - 멘토를 읽다>의 글에 공감하였다. (그러므로 편안하게 살고 싶은 욕구가 강한 사람은 연애를 삼갈 일이다.) 연애가 ‘피 튀기는 심리전’이 되고 극심한 피로감을 안겨 주게 되는 이유는, 사랑이란 감정이 유동적이기 때문이고 상황에 따라 더 사랑하는 자와 덜 사랑하는 자로 나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연인 관계에서뿐 아니라 부부나 친구 사이에서도 더 사랑하는 자와 덜 사랑하는 자로 나뉜다.)
우리가 선택을 할 수 있다면 사랑을 더 하는 쪽과 사랑을 덜 하는 쪽 중에서 어느 쪽을 선택하고 싶을까. 우리는 상대가 자신을 사랑하기 바라면서도,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보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있고 싶을 것이다. 설령 질투로 인해 고통이 따른다고 해도.
혹시 어떤 관계에서 자신이 더 사랑하는 쪽에 있다고 해서 울적해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에게 해 주고 싶은 말이 있다.
“당신은 행복한 사람이다.”라고.
예를 들면, 한 여자를 몇 년 동안 짝사랑을 하던 한 남자가 드디어 그녀와 결혼하게 되었을 때, 그래서 두 사람이 사랑을 하는 자와 사랑을 받는 자로 나뉜다면, 아마 많은 사람들이 그 여자보다 그 남자를 부러워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여자보다 그 남자가 더 행복해 보일 것이므로.
달콤한 행복은 사랑을 받는 데에 있지 않고 사랑을 하는 데에 있는 것이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