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책상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은 즐거움과 위안을 얻는 시간이라 직장인들이 갖는 황금 휴가와도 같은 것이다.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이 책을 읽으면서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가기가 쉽지 않아 자주 길을 잃곤 했다. 만약 번역본이었다면 잘못 번역한 탓으로 돌렸을 것 같다. 빨리 읽히지 않는 점이 이 책의 단점이지만 생각할 거리가 많아 일독할 가치가 충분히 있는 책이다.

  

*

현대 사회는 선물을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부도덕하게 여긴다. 선물은 경제적인 계산에 따라 주어서는 안 되고, 상대방에게 굴욕감이나 부채 의식을 안기려는 의도로 주어서도 안 된다. 선물은 순수한 마음의 표시여야 한다. 선물의 가치는 상징적인 데 있으므로, 경제적인 관점에서 그것을 평가하는 것은 잘못이다. 선물이 보잘것없다고 화내서는 안 되듯이, 비싼 선물을 받았다고 지나치게 고마워해서도 안 된다. 지나친 감사는 나를 상대방보다 낮은 곳으로 떨어뜨리고, 나의 의지를 그의 의지에 종속시킬 위험이 있다. 이는 너무 비싼 선물은 거절하는 게 낫다는 말도 된다. 우정은 동등성을 전제하므로, 우정을 만드는 모든 교환은 두 사람 사이의 균형을 깨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한다.(177~178쪽)


부자인 A라는 사람이 부자가 아닌 B라는 친구에게 오백만 원짜리 명품 핸드백을 선물했다고 가정하자. 아마 이 선물을 받은 뒤 B는 A의 청을 거절하기 어려울 것이다. 예를 들면 혼자 있으니 자기 집으로 와 달라는 A의 청을 거절하고 나면 B의 마음이 불편할 것이다. A는 B에게 큰 선물을 줌으로써 권력자의 위치에 있게 되고 B는 노예의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선물은 두 사람 사이의 균형을 깨지 않는 선에서 주고받아야 한다.  



**

1884년에 구명보트 한 척에 의지하여 남대서양을 표류하던 영국 선원들이 24일 만에 구조된 사건이 있었다. 그들은 원래 네 명이었는데, 구조되었을 때는 세 명으로 줄어 있었다. 굶주림 끝에 한 명―고아였고 가장 어렸던 선원―을 잡아먹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본국으로 돌아가자마자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는데, 자기들의 죄를 시인하면서도 정황상 어쩔 수 없었다고 주장하였다. 샌델은 재판의 결과를 알려주지 않은 채, 우리에게 판사의 입장이 되어 판결을 내려보라고 권한다.(274쪽, 각주)


망망대해를 떠다니는 구명보트 위에서 네 사람이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수평선에는 배의 그림자도 보이지 않고, 식량이 떨어진 지 오래되어 다들 굶어 죽기 직전이다. 마침내 그들은 가위바위보를 해서 진 사람을 잡아먹기로 한다. 한 명이 보를 내고 나머지는 가위를 낸다.(274쪽)


이렇게 해서 한 명이 먹히고 세 명이 남는다. 하지만 여전히 배는 보이지 않는다. 며칠 뒤 그들은 다시 가위바위보를 해서 한 명을 잡아먹는다. 이제 두 사람이 남았다. 두 사람은 마지막으로 가위바위보를 한다. 

C: 내가 졌군. 하지만 너는 나를 잡아먹을 수 없을걸.

D: 왜?

C: 내가 너보다 힘이 세니까. 

D: 이건 불공평해. 진 사람이 잡아먹히기로 약속했잖아. 

C: 내가 공정하게 행동하면 너는 나를 잡아먹을 거잖아. 

D: 두 명이 죽는 것보다 한 명이 죽는 게 낫잖아? 우리를 위해서 네가 희생해야 해.

C: 내가 죽으면 너만 남는데, 우리라니, 무슨 말을 하는 거야?(274~275쪽)   


여기서 네 명이 한 가족이었다고 가정해 보자. 부모와 아이 둘이 있었다면 배가 고프다는 이유로 과연 한 명을 죽여서 나머지 세 명이 나눠 먹을 수 있을까? 


넷이 모두 죽느니 셋이라도 사는 게 낫다고 말하는 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가족 중 한 명을 희생시켜 셋이 살아남는다면 그 세 사람이 남은 인생을 편히 살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자신이 가족을 죽여서 배를 채웠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지옥 같은 삶을 살아야 한다면, 차라리 다 같이 죽는 게 나을 듯하다.


(이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4-12-29 21: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첫번째. 지인이 좋은 선물을 주시는 마음은 감사하지만, 받을 수 없는 것이라면 잘 말씀드리고 거절하는 게 맞을 것 같아요. 상대의 호의를 생각하면 어려운 일이지만, 그래도 필요하다면 그렇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두번째. 구명보트의 사례는 범죄자가 위법성의 조각사유를 주장하는 것 같은데, 그럴 수 밖에 없었다는 주장에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페크pek0501 2024-12-31 12:47   좋아요 1 | URL
부담스러운 선물은 안 받는 게 좋겠죠. 마음의 노예가 된다는 게 끔찍하네요.ㅋ
1884년의 구명보트 사례를 믿기 어렵네요. 인간의 행동이란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사람을 먹느니 그냥 굶고 있을래요.

희선 2024-12-30 02: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 사람에서 한사람을 잡아 먹다니 무섭네요 네 사람이 살 방법을 찾아야지 한사람한테 희생하라니,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사람은 누군가를 살리고 죽기도 하는데, 자신이 살려고 누군가를 죽이기도 하는군요 모두 살 방법 찾는 게 더 좋을 듯합니다


희선

페크pek0501 2024-12-31 12:51   좋아요 1 | URL
무서운 일이죠. 제가 예전에 읽은 소설에도 전쟁 중 너무 배고파 시체를 구워 먹는 장면이 있었어요. 믿기 어려웠죠.
현실에서도 상상을 초월하는 일이 너무 많네요. 새해에는 올해와 달랐으면 합니다.^^

서곡 2024-12-31 13: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페크님 오늘 올해의 마지막날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송구영신!

페크pek0501 2025-01-01 10:42   좋아요 1 | URL
새해가 밝았습니다. 서곡 님이 바라는 일이 술술~~ 풀리는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서니데이 2024-12-31 18: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페크님 오늘은 올해의 마지막날입니다.
따뜻한 연말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페크pek0501 2025-01-01 10:43   좋아요 0 | URL
2025년이 되었네요. 한 해가 얼마나 빠르게 지나가는지 쏜살같은 시간이네요.
서니데이 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늘 고맙습니다.^^

희선 2025-01-01 02: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페크 님 2024년이 가고 2025년이 왔습니다 몇 시간 지나지 않았지만... 해가 바뀌었습니다 2025년은 어떤 해가 될지... 나라가 좀 괜찮아지기를 바랍니다 슬픈 일은 일어나지 않기를...

페크 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건강해야 하고 싶은 거 즐겁게 하죠


희선

페크pek0501 2025-01-01 10:45   좋아요 1 | URL
2025년은 작년과 다른 해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어제가 작년이네요.
나라도 편안해지고 우리 모두의 삶도 편안하길 바랍니다.
희선 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좋은 일 가득하기를...^^

yamoo 2025-01-02 19: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김현경의 저 책 저도 있지만, 진짜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글을 정말 난삽하게 쓰는 사람이에요. 이 사람이 번역한 책을 보면 정말 기가 찹니다~

저도 샌델의 그 사례 책에서 보았네요...이런 사례는 안데스 산맥에 비행기 추락 사건에서 이미 봤던거라...^^;;

페크님, 새해가 시작되었어요! 올해는 작년보다 건강하고 즐거운 한 해 되시길 빕니다~~

페크pek0501 2025-01-05 09:52   좋아요 0 | URL
김현경 저자의 책은 읽기 힘들고 시간이 많이 들어요. 그럼에도 일독할 가치는 충분히 있는 책이죠. 저자의 번역본은 정말 읽기 힘들겠네요. 학자들이 쓴 책이 그런 경향이 있어요. 역시 책은 작가가 써야 편안히 읽혀요.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저도 인상 깊게 읽은 책이에요.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흥미로운 예시가 아직도 기억에 남아요.

새해가 되어 5일째네요. 지금은 흰 눈이 내리고 있어요. 야무 님도 건강하고 행복한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