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 거실을 청소하다가 청소할 만큼 몸이 건강한 것에 대해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 몇 년 전의 일이 문득 떠올랐기 때문이다.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를 지병으로 가지고 있는 데다 '테니스 엘보'라는 병을 앓게 되어 팔의 통증이 심할 때였다. 팔에 주사를 맞으러 병원에 다녔지만 증세가 호전되지 않아 집안 청소조차 하지 못했고 우울과 무력감에 빠져 있었다. 조심하지 않으면 병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그때와 비교하면 청소할 수 있는 현재의 삶이 얼마나 감사한 삶인가.
그러고 보니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알게 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97년의 아이엠에프 사태로 인해 남편의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고 나서 아이엠에프 사태 이전에 돈 걱정 없이 살았던 때가 행복한 시절이었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던 적도 있었다. 돈 걱정 없이 사는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할 일임을 절감했던 것이다. 왜 인간은 불행을 겪어야만 겸손해지고 감사를 배우게 되는 걸까.
'탈무드'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어떤 마을에 한 가난한 농부가 살고 있었다. 그는 어느 날 마을의 랍비를 찾아가 눈물을 글썽이며 호소했다.
"우리 집은 게딱지만한데 아이들은 주렁주렁 딸린 데다가, 제 아내만한 악처는 다시없을 것입니다. 아마도 이 나라에서 가장 악처일 겁니다. 아, 저는 어떡하면 좋을까요?"
"자네 염소를 가지고 있는가?"
"물론이죠."
"그렇다면 염소를 집안에 들여놓고 기르게나."
농부는 의아한 얼굴을 하고 돌아갔다. 그런데 이튿날 다시 찾아와 말했다.
"견딜 수가 없습니다. 악처에다 염소까지……! 더는 못 참겠습니다."
"닭을 기르고 있는가?"
"물론입니다."
"그럼 닭을 전부 집안에 들여 기르게나."
사나이는 또다시 의아한 표정으로 돌아갔다. 그러고는 이튿날 또 찾아왔다.
"이젠 세상이 끝장입니다!"
"그렇게 괴로운가?"
"마누라에다 염소에다 열 마리 닭에다! 오오! 하느님 맙소사!"
"그럼 염소와 닭을 모두 밖으로 내몰고 내일 또 한 번 찾아오게나."
이튿날 그 가난한 농부는 다시 찾아왔다. 이번엔 혈색도 좋고 마치 황금의 산에서 나온 것처럼 두 눈이 번쩍번쩍 빛나고 있었다.
"염소와 닭을 모두 내몰았습니다. 집은 이제 궁전 못지않습니다!“
이 이야기는 처음과 나중의 '삶의 조건'이 변한 게 없는데도 불행한 사람에서 행복한 사람으로 바뀌게 되는 결과를 보여 줌으로써 행복은 마음의 문제임을 일깨워 준다. 그저 어려움을 경험하고 나니 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행복을 느끼게 되었을 뿐이다.
인간의 결점 중 하나는 다리를 다쳐서 걸을 수 없는 불행을 당하고 난 뒤에야 튼튼한 두 다리로 걷는 게 행복하고 감사한 일임을 깨닫게 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다리를 다친 뒤에나 깨닫게 되는 건 두 다리로 걷는 걸 당연하게 여기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물 부족으로 고통받는 아프리카 사람들을 통해 수도를 틀면 물이 나오는 나라에서 사는 게 당연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자유와 평화가 있는 나라에서 사는 게 당연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세상에 당연한 건 없다.
'미세먼지'라는 말이 일기예보에 등장하기 전에 깨끗한 공기 속에서 사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미리 알았더라면 우리는 당시보다 즐거운 나날을 보낼 수 있었으리라. '코로나19'가 뉴스에 등장하기 전에 마스크 없이 거리를 다니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미리 알았더라면 우리는 당시보다 즐거운 나날을 보낼 수 있었으리라. 감사할 줄 모르는 건 불행한 일이다. 감사는 행복의 출발점이기에. 아니, 감사는 행복의 동의어라고 할 수 있기에.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가 있었던 까닭에 요즘 공기가 맑은 날이면 기쁨을 맛볼 수 있듯, 건강을 위협하는 코로나19가 있었던 까닭에 앞으로 팬데믹이 끝나면 우리는 큰 기쁨을 맛볼 수 있으리라 믿는다. 불행을 겪고 나면 얻어지는 것들이 분명히 있다. 이런 생각으로 위안을 삼는다.
........................................
경인일보의 오피니언 지면에 오늘 실린 글입니다.
아래의 ‘바로 가기’ 링크를 한 번씩 클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문은 ⇨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20429010005906
.....이 글과 관련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