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 속에서 잘못 사용하는 언어를 바로잡아야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된다.
다음 글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살펴보자.
1) "엄마, 나 감기여서 머리가 아파요"(X)
2) "오늘 열심히 땀을 흘리며 산에 올라갔어요"(X)
3) "난 국어가 싫고 사회가 좋아요"(X)
4) "난 수학에 자신이 있어서 어려운 수학 문제가 없어요"(X)
(위의 문장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아래의 글을 보면 알 수 있다.)
....................
조선일보
입력 2005.05.08.
글짓기를 잘 하려면 우선 언어 습관을 올바르게 가져야 한다. 평상시 하는 말이 그대로 글짓기에도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말 잘하는 아이가 글을 잘 쓴다.
또 글을 잘 쓰는 아이가 말도 잘한다. 말이나 글은 모두 똑같이 언어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말을 유창하게 함으로써 언어 사용 두뇌를 발달시켜서 글을 잘 쓰게 할 수 있다.
문맥이 맞지 않는 글을 자주 쓰는 아이를 잘 살펴보면 말도 서투르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집에서 엄마가 자녀의 말 습관에 관심을 가지고 바르게 고쳐 주는 게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아이가 "엄마, 나 감기여서 머리가 아파요"라고 말하면 엄마는 말의 잘못됨을 지적하고 바르게 고쳐 줘야 좋다. '나는 감기이다'라는 문장은 맞지 않는 말이다. "엄마, 나 감기가 들어서 머리가 아파요"라고 고쳐 준다면 이것이 글짓기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2) "오늘 열심히 땀을 흘리며 산에 올라갔어요"와 같은 말도 잘못된 것이다. 땀을 열심히 흘린 게 아니라 산에 열심히 올라간 것이니까 "오늘 땀을 흘리며 열심히 산에 올라갔어요"라고 고쳐 준다.
3) "난 국어가 싫고 사회가 좋아요"라고 말한다면 이렇게 정확히 고쳐 준다. "난 국어 과목이 싫고 사회 과목이 좋아요"라고. 그냥 국어가 싫다고 하면 읽는 사람에 따라서 모국어가 싫다는 말로 들릴 수 있다.
4) "난 수학에 자신이 있어서 어려운 수학 문제가 없어요"와 같은 말은 비논리적인 말이다. 자신감이 있어서 수학 문제가 쉬운 게 아니라 수학 문제가 다 잘 풀리니까 그 과목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난 것이다. 그러니까 이 말은 이렇게 고쳐야 맞다. "못 푸는 수학 문제가 없으니 이 과목에 자신이 생겼어요"라고.
중요한 것은 말 하나 하나를 신경 써서 하는 아이라면 글을 쓸 때에도 꼼꼼히 따져 쓰므로 글을 잘 쓰게 된다는 점이다. 말만 통하면 된다는 식으로 대충 말하는 아이는 글도 그렇게 대충 써서 좋지 않은 문장을 쓰게 될 것이다.
흔히 아이가 고학년이 되었을 때 학원에 보내서 글짓기를 배우게 하는 어머니들이 많다. 하지만 문장을 쓰는 방식이 자신의 성격과 같이 이미 형성되어 버려서 고치기 힘든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학원에 보내기보다 어릴 때부터 집에서 올바른 언어 습관을 갖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결국 말 잘하고 글 잘 쓰기 위해서 공부를 하고 독서를 하는 게 아니겠는가.
바르게 말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는 습관을 가진 아이라면 글짓기에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내가 2005년 조선일보에 기고한 글이다. 좋은 참고가 될 것 같아 올린다.)
덧붙임 (1)....................
2005년에 쓴 글을 지금 보니 ‘것이다’라는 단어가 다섯 개나 있다. ‘것이다’를 아래와 같이 다른 말로 바꾸어서 개수를 줄이면 나을 듯하다.
1)의 마지막 문장 :
"엄마, 나 감기가 들어서 머리가 아파요"라고 고쳐 준다면 이것이 글짓기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 "엄마, 나 감기가 들어서 머리가 아파요"라고 고쳐 준다면 이것이 글짓기에도 도움이 된다.
2)의 첫 번째 문장 :
"오늘 열심히 땀을 흘리며 산에 올라갔어요"와 같은 말도 잘못된 것이다.
⇨ "오늘 열심히 땀을 흘리며 산에 올라갔어요"와 같은 말도 올바르지 않다.
마지막 문장 :
바르게 말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는 습관을 가진 아이라면 글짓기에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바르게 말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는 습관을 가진 아이라면 글짓기에도 자신감을 갖게 된다.
덧붙임 (2)....................
우리가 자주 반복해서 쓰는 것 중 하나가 ‘~ 한 것 같다’이다. 이것은 아래와 같이 다른 말로 바꾸어 쓰는 방법이 있다.
- 비가 올 것 같다.
- 비가 올 듯하다.
- 비가 올 성싶다.
예를 들어 본다.
(원문) 날씨가 흐려서 비가 쏟아질 것 같아 하늘을 올려 보았다. 기분마저 우울해지는 것 같아 경쾌한 음악을 듣는 게 좋을 것 같았다.
길지 않은 글에 ‘같아, 같아, 같았다’라는 말이 반복되어 있어 각각 밑줄을 긋고 다음과 같이 수정해 보았다.
(수정한 글) ⇨ 날씨가 흐려서 비가 쏟아질 성싶어 하늘을 올려 보았다. 기분마저 우울해지는 것 같아 경쾌한 음악을 듣는 게 좋을 듯했다.
어휘력이 부족한 글을 쓰지 않기 위해서는 풍부한 어휘력을 갖추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