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얼빈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품절
김훈 작가의 신작 ‘하얼빈’이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부터 이 책은 꼭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1909년 10월26일, 하얼빈 역에서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다’라는 명료한 사실을 작가가 어떻게 풀어냈을지 많이 궁금했다. 워낙 작가의 문장이 좋아 기대했지만, 한편으로 걱정이 되기도 했다. ‘안중근’으로부터 뻗어나가는 모든 것들이 저 한 문장으로 압축되기에, 작가의 글이 부연설명에 그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었다.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가톨릭 사제, 순종의 생각과 말, 행동이 교차되는 소설은 시종일관 담담하게 읽혔다. 나라 잃은 참담함과 백성의 고단함이 지금 우리들의 뼛속까지 각인되어 있기에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작가는 생각했는지 모르겠다. 많은 자료들을 참조해 글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것으로 역사적 사실을 되짚는 기회가 되었다.
‘이미 연구되고 기록된 사실들의 바탕 위에서 등장인물의 내면을 구성하고 이야기를 엮어내려고 애썼다’라는 작가의 말처럼 이 소설은 인물의 내면이 두드러진다. 그것이 상상되고 각색되어 김훈 특유의 문장으로 나타난다. 한 문장에 상반된 표현들이 있어 이해하지 못해 다시 읽으면, 그곳에 더 많은 깊이와 울림이 있다. 그 시대와 대한제국의 처지를 복기할 수 있고 그것은 지금과도 연결된다.
[이토를 어떻게 해서든지 눌러야 한다는 생각이 언제부터 마음에 자리잡은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았다. 확실하지 않았으나 분명히 자리잡고 있었다. 그것은 어찌할 수 없는 골병처럼 몸속에서 자라나고 있었다. 멀리서 다가와서 넓게 퍼진 골병처럼 그것은 몸속에 자리잡고 있었으나 드러내 보일 수는 없었다.]
무력과 강압에 의해 나라를 잃은 백성의 마음엔 모두 일본에 항거해야 하는 마음이 생겨야 하는데도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누군가는 목숨을 내놓고, 누군가는 권력과 부를 얻고 조국을 배반했다. 조선과 자신, 백성의 살 길을 생각해 순순히 나라를 넘겨 준 왕이 있었다. 그 와중에 포수이자 무직인 ‘안중근’이 이토를 저격할 명분과 계기가 언제부터 생겼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토호(土豪)의 자식인 그는 동학군이 마을에 침범해 들어올 때 선봉에 서서 그들을 물리치기도 했다. 태생으로 봐서 반골(反骨)의 성향이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자신의 것을 지켜내야 한다는 의지와 리더십이 강한 기질적 영향이 더 큰 것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가톨릭 사제가 원한 ‘동양의 평화’는 모두 다른 것이었다. 안중근은 동양의 모든 나라들이 자주적으로 문명을 받아들이고 개화해 대등한 상태에서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 동양의 평화라고 말한다. ‘문명은 선진에서 후진으로 흐르는 것이며 평화와 문명개화가 같은 방향임’을 이토는 주장한다. 그것이 자신들의 책무이고 ‘열복(悅服)-기쁜 마음으로 복종한다’만이 평화를 이루는 길이라고 한다. 가톨릭 사제의 동양 평화는 자신들의 종교가 계속 유지되며 믿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이다. 교세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그 어떤 수단도 마다하지 않는다.
다른 곳과는 달리 조선에서의 가톨릭 전파는 거의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다. 폭력적이고 융통성이 없었던 조선의 신분제도에서 ‘하늘아래 모든 사람은 동등하다’는 가톨릭의 교리는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이었을 것이다. 반면 신분제도를 고수하고자 했던 기득권층에게 그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이며 반역의 의미였다. 100년 동안 천주교 박해로 수많은 사람들이 순교했지만, 왕권을 잃고 식민지의 삶을 살게 된 시기에 아이러니하게도 종교는 자유를 얻을 수 있었다.
안씨 가문의 사람들은 천주교도였고 천주교회와 밀착되어 있었다. 안중근은 내심 자신의 대의를 서양인 신부들이 인정하고 지지해주기를 원했을 것이다. 하지만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 신부인 뮈텔주교에 의해 차갑게 외면당한다. 그동안의 박해에서 겨우 벗어나 안정을 유지하고 있는 교회의 틀이 안중근의 행동으로 위태로워질까 걱정된 탓이었다. 그들에게는 일본에 의해 수많은 사람이 희생되는 악보다 안중근에 의해 한 사람이 죽는 악이 더 하느님의 말씀에 위배되는 것이었다.
[이토는 한국 통감으로 부임한 후 서울의 여러 공공건물에 시계를 설치했다.....
이토는 시간이 제국의 공적 재산이라는 인식을 조선 사대부들에게 심어 넣으려 했으나, 시간의 공공성을 이해시킬 길이 없었다. 이토 자신이 설명의 언어를 갖추지 못하기도 했지만 시간을 계량하고 시간을 사적 내밀성의 영역에서 끌어내 공적 질서 안으로 편입시키는 것이 문명개화의 입구라고 설명을 해도 고루한 조선의 고관들은 알아듣지 못할 것이었다.]
일본은 철로와 위생, 공적인 관념, 문명을 통해 조선을 개화시킨 것을 그들의 업적이라 생각한다. 최근에 읽은 ‘압둘라자크 구르나’의 소설에서도 나왔듯이 식민지배의 역사는 어느 나라이고 비슷하다. 똑같은 시간을 부여받은 인간들이 차이가 나기 시작하고, 그 시간을 이용해 앞서가는 사람들이 결국은 뒤늦은 사람들을 힘으로 억압하고 지배한다는 사실 말이다. 최근에 본 영화 ‘올빼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청나라에 8년 동안 볼모로 잡혀있던 소현 세자가 선진문물을 가지고 돌아왔지만 인조가 그것을 외면하는 장면이 나온다. 만약 그때 우리가 선진문명을 받아들였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인조는 소현 세자를 미워했다. ‘왕’이라는 자리는 지극히 공적인 것인데도 자신의 콤플렉스와 청에 당한 원한으로 그 자리를 사적으로 바꿔버린 것이었다. 시간의 흐름과 변화의 물결에 우리는 공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뒤쳐질 수밖에 없었다.
나라가 백성에게 해 준 것이 없지만 조국을 위해 스스로 공적인 임무를 수행하러 외로운 길을 떠난 안중근 옆에 우덕순이 있었다. ‘극빈의 하층민이었고, 남루해서 감출 것이 없었던’ 그였지만 망설임이 없었다. 뱃속에 셋째를 임신하고 있었지만 남편을 보내야만 했던, 힘없는 조선의 여자, 김아려도 있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하얼빈에서 일본을 돕고 동족을 팔아먹은 사람은 조선인 밀정이었다. 안중근의 장남인 분도는 흑룡강성에서 일곱 살에 죽고, 딸 현생과 아들 준생은 공적인 자리에서 아버지의 죄를 사죄했다.
오래 전에 관람했던 ‘영웅’ 뮤지컬에서 사형을 앞둔 안중근은 일본인 옥리에게 ‘소소한 행복’에 대해 얘기한다. 자신이 이토를 저격한 것이 뭔가 거창한 것을 추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누구나 작은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삶을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적어도 가족끼리 모여 함께 저녁을 먹을 수 있는 그런 삶을 원하는 것이라고 노래한다.
어떤 삶을 선택할 것인지, 어떻게 살 것인지는 자신의 의지만으로 되지 않는다. 사람에게 주어진 배경이 다르고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이지만, 최소한 타의의 의해 파괴되고 무너지는 삶만은 살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 ‘안중근’으로 시작된 이 소망이 지금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하얼빈’을 읽으며 생각할 수 있었다. 담담하고 건조한 김훈의 문장으로 이성적이고도 냉정하게 과거와 현재가 이어질 수 있었다.
그래도 순간순간 차오르는 울컥함은 어쩔 수 없었다.
[안중근을 그의 시대 안에 가두어놓을 수는 없다. ‘무직’이며 ‘포수’인 안중근은 약육강식하는 인간세의 운명을 향해 끊임없이 말을 걸어오고 있다. 안중근은 말하고 또 말한다. 안중근의 총은 그의 말과 다르지 않다.
-‘작가의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