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가길에 읽은 칼럼 하나를 스크랩해놓는다. 한국일보의 '육상효의 유씨씨' 란이다. '유씨씨'는 'You See Culture'를 뜻하는 걸로 돼 있다. 이 칼럼란을 읽은 건 오늘이 처음인데, 한류에 대해 던지고 있는 질문들이 이모저모 생각해볼 거리를 던져준다. 소제목을 따서 말하자면, '한류 열풍의 실체는 무엇일까?' '아시아적 삶이란 무엇일까?' 등이 그 생각해볼 거리이다. 답도 누가 적어주면 좋겠지만...  

한국일보(09. 11. 12) 한류에 관한 질문

혹시 일본에서의 한류(韓流) 열풍이 그들의 무의식 속에 깊이 내재된 식민지에 대한 향수로부터 기인한다면 어쩌겠는가? 그래서 일본 한류 팬의 대부분이 중년 이상의 어른들이고, 한류의 시작이 된 드라마들이 <겨울연가> 같은 노스탤지어를 기본 정서로 하는 드라마들이었던 것은 아닌가?

한류 열풍의 실체는?
아니면 혹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각국의 한류 열풍의 정체가 우리가 재빨리 복사하고 습득한 서구식, 아니 더 정확히는 미국식 생활방식과 문화의 대리 전달이라면 어쩌겠는가? 그래서 그들의 한류는 한국의 아이돌 가수들이나 도시적 감수성이 과도하게 치장된 드라마들에 대한 열광인 것은 아닌가?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서 미국이나 서구로 진출하지 못하는 것도 그쪽 나라들에서는 자신들의 복제품을 굳이 다시 볼 이유가 없어서인 것은 아닌가?

한류라는 단어와 현상이 생겨난 지 10년이 지나가는 지금 한류는 무엇인가? 문화인가, 산업인가? 혹은 그 둘을 다 포괄하는 문화 산업인가? 문화 산업이라는 말은 결국은 산업이라는 말 아닌가? 그래서 그 동안에 그렇게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증명하는 각종 통계 수치들이 난무했던 것인가? 그런데 그 수치들을 동반한 주장들이 그려왔던 장밋빛 전망대로라면 한류는 지금 우리가 보는 것보다는 훨씬 더 엄청난 현상이어야 하지 않는가?

한국에서조차 막장 드라마라고 비난 받던 드라마들이 한류의 위세로 수출돼 나가 벌어진 일은 무엇인가? 한국에서조차 가창력이 문제되던 아이돌 가수들이 아시아 각국으로 진출해서 얻는 것은 무엇일까? 일본의 성인들이 자신들의 노스탤지어를 위로 받는 방법을 자신들의 문화 속에서 찾아내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보다 훨씬 맹렬한 속도로 서구화하고 있는 아시아 각국이 그들 스스로 서구의 경험을 문화적으로 복제해내는 방법을 찾아내면 어떻게 될 것인가?

혹시 한류는 지금 아시아 각국에서 생겨난 하드웨어적 인프라와 그 하드웨어를 채울 소프트웨어적인 인프라 사이의 간극을 채우는 일시적인 문화현상이 아닌가? 다시 말하면 방송국 설비와 송출의 시스템은 있으나 그 안을 채울 자국의 콘텐츠가 없을 때 일시적으로 그 빈자리를 채워주는 역할은 아닌가? 과거 우리 TV의 황금시간 대를 채우던 <타잔> <6백만 불의 사나이> 등의 미국 드라마와 우리의 극장들을 채우던 홍콩 영화들이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우리의 콘텐츠로 대체된 것처럼 한류도 어느 날 그렇게 사라지는 것은 아닌가?

그러면 지금은 한류의 대중문화 작품들 속에 무엇을 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될 때는 아닌가? 일방적 산업 논리에서 벗어나서 한류 드라마와 노래와 영화 들 속에 과연 우리는 무엇을 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될 때는 아닌가? 과연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일까? 아니면 가장 서구적인 것이 가장 보편적인 것일까? <선덕여왕>과 <아이리스>를 오가는 이 질문들 속에 도사린 함정은 무엇일까? 



아시아적 삶과 정체성
한류가 아시아적 현상이라면 아시아적 삶이란 무엇일까? 최근에 부쩍 활발한 동아시아 논의들이 겨냥하는 곳이 '서구의 학습이 곧 근대화'라는 패러다임이 지배해왔던 20 세기를 극복하고 아시아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지점이라면, 한류라는 아시아적 현상이 담아야 할 것은 아시아적인 그 어떤 것은 아닐까?

한국도 아니고, 보편이라는 이름 속에 음험하게 도사린 서구도 아닌, 아시아적 감수성으로 아시아적인 휴머너티을 담아내는 것이 한류의 몫이 아닐까? 그것만이 이데올로기와 정치가 빠르게 해체되고 다시 생성되는 21 세기의 아시아에서 한류라는 피상적인 문화적 현상이 진정하게 내면화하는 길이 아닐까?(육상효 인하대 교수·영화감독) 

09. 11. 12.  

P.S. 파주 어딘가 세워진다는 '한류우드'는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2000년대 이후의 한류 열풍 탓에 한류에  대한 책들도 많이 출간돼 있다(돈이 모이는 곳에 책도 넘치기 마련이다). 배용준 사진집을 갖추고 있지 못하지만, 한류에 대한 책 몇 권 정도는 도서관에서 대출해볼 용의도 있다. 그 후보 몇 권을 골라본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ti 2009-11-12 23:32   좋아요 0 | URL
요즘 가는 데마다 선덕여왕과 아이리스 얘기더라구요. 저는 덕만이가 남주인줄 알았는데... 로쟈님도 보세요? ^^ 미실어록도 나올 듯...

로쟈 2009-11-12 23:56   좋아요 0 | URL
저는 보지 않는데, 아이가 즐겨봅니다.^^

딸기 2009-11-13 02:48   좋아요 0 | URL
제가 보기엔 참 이상한 글이로군요.

"그들의 무의식 속에 깊이 내재된 식민지에 대한 향수"가 뭘까요?
그들은 무의식 속에도 식민지에 대한 향수가 내재돼 있다는 거, 확실한가요?

한국에서조차 가창력이 문제되던 아이돌 가수들이라...
그럼 저 사람은 한류 컨텐츠의 '수준'을 말하고 있는 건가요?
아니면 기본적으로 한류 컨텐츠는, 일본인들의 노스탤지어를 자극하는 내용들이다,
뭐 이런 얘기를 하는 걸까요?

"한국에서조차 막장 드라마라고 비난 받던 드라마들이 한류의 위세로 수출돼 나가 벌어진 일은 무엇인가? 한국에서조차 가창력이 문제되던 아이돌 가수들이 아시아 각국으로 진출해서 얻는 것은 무엇일까? 일본의 성인들이 자신들의 노스탤지어를 위로 받는 방법을 자신들의 문화 속에서 찾아내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보다 훨씬 맹렬한 속도로 서구화하고 있는 아시아 각국이 그들 스스로 서구의 경험을 문화적으로 복제해내는 방법을 찾아내면 어떻게 될 것인가?"

이건 궤변으로 들리는데요?

1. 일본인들에겐 식민지에 대한 향수가 내재돼 있다.
2. 그래서 그들은 노스탤지아를 위로받아야/위로받고자 한다.
3. 그런데 일본 문화에는 그런 컨텐츠가 아직 없다.
4. 그래서 한국 것을 보면서 좋아한다.
5. 한류 문화상품은 일본인들의 식민지 노스탤지아를 충족시켜주는 종류의 것들이다.

좀 어이가 없는데요.

현대적인 것, 도시적인 것=서구화 지향
이 도식으로 아시아 한류 전체를 설명하는 것도 웃기고요.

"보편이라는 이름 속에 음험하게 도사린 서구"라...
뭐, 그런 것도 많지요.
그런데 사례와 근거는 없이 추측과 단정과 자극적이고 오만한 표현 뿐이네요.

로쟈 2009-11-13 09:37   좋아요 0 | URL
저는 한류의 실체에 대한 문제제기로 읽었는데요.^^ 일본내 한류의 실상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지만, 전에 TV에서 다뤄진 걸 보니 노스텔지어보다는 배용준 같은 배우들의 이미지가 어필하는 것 같더군요. 동남아 한류에 대해서 한시적인 콘텐츠 채우기일 수 있다는 시각은 일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딸기 2009-11-16 15:58   좋아요 0 | URL
말씀하신 대로, 한류의 실체에 대한 문제제기이고, 동남아 한류는 한시적인 컨텐츠 채우기일 수 있다는 것도 맞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렇게 시비를 걸고 나선 것은, '일본'이라는 존재에 대해 편협하게 해석하고 국수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저 글에도 그대로 드러나있는 듯 싶어서예요. 우리가 반드시 '아시아적인 것'을 담아야 한다는 발상도 그렇고... '한류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에서도 문화적인 편협함이 드러난다는 거죠.
이집트와 브라질에서도 겨울연가가 유행한다는데... 그럼 앞으론 한류에 중동적인 것과 중남미적인 것까지 담아야 하나요(농담임다) 차라리 '보편적인 인류의 고민을 담자'고 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요 ㅎㅎ

로쟈 2009-11-16 20:55   좋아요 0 | URL
필자가 질문들만 나열해놓았는데, 딸기님이 답변을 쓰셔도 좋을 것 같아요.^^

카스피 2009-11-13 13:32   좋아요 0 | URL
뭐 일본내 한류에 대해서 식민지 시대의 향수때문이라는 것은 무척 오버스럽습니다.사실 배용준에 의해서 촉발된 이른바 한류 열풍에 열광하는 사람들은 주로 30~50대의 주부층이지요.이들이 식민지 시대의 향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수긍하기 힘들지요.좀 간단히 생각하자면 일본 아줌마들 구미에 맞는 드라마가 그간 없다가 겨울연가가 그녀들의 마음에 맞았다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뭐 동남아 한류는 로쟈님 말씀이 맞는것 같네요.우리가 한때 홍콩영화,일본가요에 심취했다가 이를 벗어났듯,동남아도 자국 문화가 발전하면 더이상 한류를 찾지 않겠지요

로쟈 2009-11-14 10:38   좋아요 0 | URL
네, 제 생각도 그렇습니다...

펠릭스 2009-11-14 22:05   좋아요 0 | URL
우리안으로 동남아 사람이 들어오는(국제결혼,코리아드림)것과 관련하여 한류열풍이 한 몫을 한다면 그것은 문화적 피드백 속성을 지니고 있겠지요.

로쟈 2009-11-15 12:27   좋아요 0 | URL
네, 그런 부분도 있는데, 양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한 것인지 조사가 좀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