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가길에 읽은 칼럼 하나를 스크랩해놓는다. 한국일보의 '육상효의 유씨씨' 란이다. '유씨씨'는 'You See Culture'를 뜻하는 걸로 돼 있다. 이 칼럼란을 읽은 건 오늘이 처음인데, 한류에 대해 던지고 있는 질문들이 이모저모 생각해볼 거리를 던져준다. 소제목을 따서 말하자면, '한류 열풍의 실체는 무엇일까?' '아시아적 삶이란 무엇일까?' 등이 그 생각해볼 거리이다. 답도 누가 적어주면 좋겠지만...

한국일보(09. 11. 12) 한류에 관한 질문
혹시 일본에서의 한류(韓流) 열풍이 그들의 무의식 속에 깊이 내재된 식민지에 대한 향수로부터 기인한다면 어쩌겠는가? 그래서 일본 한류 팬의 대부분이 중년 이상의 어른들이고, 한류의 시작이 된 드라마들이 <겨울연가> 같은 노스탤지어를 기본 정서로 하는 드라마들이었던 것은 아닌가?
한류 열풍의 실체는?
아니면 혹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각국의 한류 열풍의 정체가 우리가 재빨리 복사하고 습득한 서구식, 아니 더 정확히는 미국식 생활방식과 문화의 대리 전달이라면 어쩌겠는가? 그래서 그들의 한류는 한국의 아이돌 가수들이나 도시적 감수성이 과도하게 치장된 드라마들에 대한 열광인 것은 아닌가?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서 미국이나 서구로 진출하지 못하는 것도 그쪽 나라들에서는 자신들의 복제품을 굳이 다시 볼 이유가 없어서인 것은 아닌가?
한류라는 단어와 현상이 생겨난 지 10년이 지나가는 지금 한류는 무엇인가? 문화인가, 산업인가? 혹은 그 둘을 다 포괄하는 문화 산업인가? 문화 산업이라는 말은 결국은 산업이라는 말 아닌가? 그래서 그 동안에 그렇게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증명하는 각종 통계 수치들이 난무했던 것인가? 그런데 그 수치들을 동반한 주장들이 그려왔던 장밋빛 전망대로라면 한류는 지금 우리가 보는 것보다는 훨씬 더 엄청난 현상이어야 하지 않는가?
한국에서조차 막장 드라마라고 비난 받던 드라마들이 한류의 위세로 수출돼 나가 벌어진 일은 무엇인가? 한국에서조차 가창력이 문제되던 아이돌 가수들이 아시아 각국으로 진출해서 얻는 것은 무엇일까? 일본의 성인들이 자신들의 노스탤지어를 위로 받는 방법을 자신들의 문화 속에서 찾아내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보다 훨씬 맹렬한 속도로 서구화하고 있는 아시아 각국이 그들 스스로 서구의 경험을 문화적으로 복제해내는 방법을 찾아내면 어떻게 될 것인가?
혹시 한류는 지금 아시아 각국에서 생겨난 하드웨어적 인프라와 그 하드웨어를 채울 소프트웨어적인 인프라 사이의 간극을 채우는 일시적인 문화현상이 아닌가? 다시 말하면 방송국 설비와 송출의 시스템은 있으나 그 안을 채울 자국의 콘텐츠가 없을 때 일시적으로 그 빈자리를 채워주는 역할은 아닌가? 과거 우리 TV의 황금시간 대를 채우던 <타잔> <6백만 불의 사나이> 등의 미국 드라마와 우리의 극장들을 채우던 홍콩 영화들이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우리의 콘텐츠로 대체된 것처럼 한류도 어느 날 그렇게 사라지는 것은 아닌가?
그러면 지금은 한류의 대중문화 작품들 속에 무엇을 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될 때는 아닌가? 일방적 산업 논리에서 벗어나서 한류 드라마와 노래와 영화 들 속에 과연 우리는 무엇을 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될 때는 아닌가? 과연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일까? 아니면 가장 서구적인 것이 가장 보편적인 것일까? <선덕여왕>과 <아이리스>를 오가는 이 질문들 속에 도사린 함정은 무엇일까?

아시아적 삶과 정체성
한류가 아시아적 현상이라면 아시아적 삶이란 무엇일까? 최근에 부쩍 활발한 동아시아 논의들이 겨냥하는 곳이 '서구의 학습이 곧 근대화'라는 패러다임이 지배해왔던 20 세기를 극복하고 아시아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지점이라면, 한류라는 아시아적 현상이 담아야 할 것은 아시아적인 그 어떤 것은 아닐까?
한국도 아니고, 보편이라는 이름 속에 음험하게 도사린 서구도 아닌, 아시아적 감수성으로 아시아적인 휴머너티을 담아내는 것이 한류의 몫이 아닐까? 그것만이 이데올로기와 정치가 빠르게 해체되고 다시 생성되는 21 세기의 아시아에서 한류라는 피상적인 문화적 현상이 진정하게 내면화하는 길이 아닐까?(육상효 인하대 교수·영화감독)
09. 11. 12.



P.S. 파주 어딘가 세워진다는 '한류우드'는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2000년대 이후의 한류 열풍 탓에 한류에 대한 책들도 많이 출간돼 있다(돈이 모이는 곳에 책도 넘치기 마련이다). 배용준 사진집을 갖추고 있지 못하지만, 한류에 대한 책 몇 권 정도는 도서관에서 대출해볼 용의도 있다. 그 후보 몇 권을 골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