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에 연재한 '로쟈의 인문학서재' 두번째 꼭지를 옮겨놓는다. 사카이 다카시의 <폭력의 철학>(산눈, 2007)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책은 기대만큼 잘 씌어지진 않았지만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들을 던져주어서 유익하다. '폭력의 철학'을 구성하기 위한 개요 정도로 읽을 만하며 개인적으로는 <배틀로얄>에 대한 분석 등이 인상에 남는다. 참고문헌도 요긴하다.  

한겨레21(07. 08. 30) [로쟈의 인문학서재] 어떤 폭력을 선택할 것인가

“폭력, 비폭력이라는 범주는 너무나도 다양한 힘으로 충만해 있는 이 세계를 해부하기에는 지나치게 빈약한 단어가 아닐까?” 애초의 문제의식이 그러했다. 사카이 다카시의 <폭력의 철학>(산눈)을 낳은 문제의식이다. 그리고 거기에 덧붙여진 또 다른 문제의식은 막스 베버가 근대사회의 특징으로도 지적한 ‘국가에 의한 폭력의 독점’이다. 그 독점에서 발생하는 것이 ‘폭력의 압도적인 비대칭’이다. 멀리 갈 것도 없다. 영화 <화려한 휴가>의 스펙터클을 장식하고 있는 것이 그러한 폭력이고 폭력의 비대칭 아닌가?

폭력의 철학, 혹은 폭력에 대한 사유는 먼저 폭력/비폭력이란 이 빈곤한 이분법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된다. 이것은 테러에도 반대하고 전쟁에도 반대한다는 ‘막연히 올바른 도덕’에 대한 반대를 뜻한다. 나는 테러에도 반대하고 전쟁에도 반대한다는 태도에 반대한다! 그때 가능해지는 공간이 폭력과 비폭력 사이의 ‘회색지대’이다. 이 회색지대를 저자 사카이는 ‘반폭력’(anti-violence)이라고 부른다. 아마도 독일어로는 그냥 ‘게발트’(Gewalt)라고 부르겠다.

게발트? 저자는 월터 베냐민(*발터 벤야민)의 <폭력비판론>(Kritik der Gewalt, 1921)에서 폭력의 철학을 위한 통찰을 얻어온다. 그 제목에서 ‘폭력’의 원어가 ‘게발트’이고, 독어에서 이 말은 ‘지배 혹은 통치의 유지’ ‘정당한 강제’란 의미를 갖는다. 말하자면 게발트는 온당한 힘의 행사로서 ‘정당화된 폭력’이다. 그럼 그런 폭력을 베냐민이 비판했던가? 그런 건 아니다. 독어에서 ‘비판’(Kritik)은 어원적으로 ‘분리’란 뜻을 갖는다. 즉 베냐민이나 사카이가 하려는 것은 ‘폭력의 더미’에서 정당한 폭력으로서의 ‘게발트’와 ‘반폭력’을 분리해내는 일이다(베냐민은 ‘보존적 폭력’과 ‘정초적 폭력’을 분리해냈다).

가령, 점령지에 탱크를 몰고 들어가 느닷없이 팔레스타인 민중을 살해하는 이스라엘군과 탱크를 향해 돌멩이를 던지거나 수류탄을 몸에 감고 경찰 앞에서 자폭하는 팔레스타인 젊은이들의 폭력을 구별하고 분리해내는 일이 필요하다. 그 두 가지 ‘폭력’을 ‘비폭력주의’라는 입장에서 동일시하는 것은 기아와 다이어트를 동일시하거나 “빵이 없으면 과자를!”이라고 말하는 것만큼이나 무지하며 게으른 태도이다.

저자가 강조하는 바이지만, 폭력에 대한 비판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정치적인 것’의 복원이고 ‘적대성’에 대한 인정이다. 정치적인 것의 복원이란 폴리스(police)의 논리와는 구분되는 폴리틱스(politics)의 논리를 복원하는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 행정까지를 포함하는 폴리스의 논리가 사람들을 고립시키고 분열하게 하며 거기에 위계질서를 세우는 기능을 담당한다면 폴리틱스의 논리는 평등을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질서를 뒤흔든다. 정치란 폴리스의 논리와 폴리틱스의 논리가 만나서 충돌하는 지점이다. 그렇다면, 반폭력은 이러한 ‘정치의 논리’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 그것이 지향하는 것은 폭력의 압도적인 비대칭에 대한 교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정에 필수적인 것은 적대성을 말소하거나 절대화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 인정하는 태도이다. 폭력이란 억압되고 감추어진 적대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그런 적대성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킹 목사와 간디의 비폭력 직접행동은 맬컴 엑스와 프란츠 파농의 폭력과 대립하지 않는다. 정념적인 차원에서 이들은 모두 억압적인 지배에 대한 (‘증오’가 아니라) ‘분노’를 공유했으며, 이 분노가 폭력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프랑스 철학자 메를로 퐁티는 <휴머니즘과 폭력>(1947)에서 “우리는 순수함과 폭력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폭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 육체를 부여받은 존재인 우리에게 폭력은 숙명이다”고 말했다. 폭력은 ‘정치적 인간’으로서 우리의 숙명이다. 폭력 자체로부터 우리는 발을 뺄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어떤 폭력을 선택하느냐이다.

07. 08. 31.

P.S. 사실 이 책과 관련한 곁가지 이야기들을 많이 적어야 하지만 따로 시간을 내기 힘들어서 미뤄둔다. 언젠가는 '폭력의 철학'에 걸맞는 분량의 글을 써보고 싶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7-08-31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번째 글을 올리셨군요. :)
폴리스와 폴리틱스의 구별은, 여기서 처음 본 듯 합니다. 사카이 다카시의 말인가요.
폭력이냐 비폭력이냐가 아니라, 폭력 중에서 어떤 폭력을 선택할 것인가가 문제라는 거죠. 저는 간디의 비폭력도 지지하지만, 더 이상 저항할 수단이 오로지 폭력 밖에 남지 않은 이들의 폭력 또한 소극적 지지합니다.

로쟈 2007-08-31 1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짧은 지면이라 자세히 쓸 수 없었는데, 폴리스와 폴리틱스의 구별은 자크 랑시에르의 것입니다. 저자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많지 않고, 폭력론에 대한 로드맵 정도로 유용한 책입니다...

마늘빵 2007-08-31 18: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덕분에 또 새로운 인물을 접하는군요. 자크 랑시에르. 음. 감사합니다. 폭력론에도 관심갖고 있는데, 일단 로쟈님 페이퍼 통해서만 대략 간접적으로 접해놔야겠습니다.

로쟈 2007-08-31 1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랑시에르에 대해서는 예전의 페이퍼 http://blog.aladdin.co.kr/mramor/1066288 를 참고하시길...

드팀전 2007-08-31 2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마지막 말이 제가 예전에 흘리던 말과 비슷해서 반갑네요.

로쟈 2007-09-01 20:26   좋아요 0 | URL
^^

에바 2007-09-01 0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부쩍 바쁘신 것 같습니다.^^ 지젝에 대한 페이퍼가 예전처럼 많지 않아 좀 섭섭하지만 그래도 좋은 글 늘 잘 읽고 있습니다.^^;

로쟈 2007-09-01 20:29   좋아요 0 | URL
오랜만에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좀 바쁘긴 합니다. 그래봐야 남들만큼이겠지만. 지젝에 관한 페이퍼 거리는 넘쳐나지만 여유를 갖기가 어렵습니다.--;

람혼 2007-09-01 05: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랑시에르적 영감, 특히나 그의 책 Mésentente으로부터의 영감이 저변에 흐르고 있는 글이군요. 벤야민의 Gewalt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특히나 데리다가 <벤야민의 이름>에서 다루고 있는 '폭력 분류법'에 대한 [재-]검토 또한 함께 다루어주셨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로쟈 2007-09-01 20:29   좋아요 0 | URL
제가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의아했던 점인데 저자가 데리다의 벤야민론을 참조하고 있지 않더군요. 랑시에르를 참조할 정도면 몰랐을 리도 없는데...

책사랑 2007-09-13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서출판 길"입니다. 현재 저희 출판사에서 자크 랑시에르의 책 "정치의 가장자리에서"(또는 정치의 해안에서)와 "불화"를 번역중에 있습니다. "정치의 가장자리에서"는 2008년초에(아마도 3~4월경) 선보일 예정입니다.

책사랑 2007-09-13 0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즈음은 발터 벤야민 선집 제1차분(전3권) 출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제1권은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역자 이화여대 최성만 교수의 자세한 해제가 돋보입니다)
제2권은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
제3권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1936년판/1939년판 동시수록)/사진의 작은 역사/파리 편지 외
로 구성됩니다.

로쟈 2007-09-13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벤야민의 책들은 고대하고 있습니다. 마무리에 바쁘시겠네요.^^

책사랑 2007-09-13 0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9월말까지는 편집 마무리를 하려고 하는데... 약간 늦어지면 10월 중하순에 책이 출간될 듯 합니다. 제2차분(전3권)은 올 11월까지 원고가 들어올 예정이니, 2008년 상반기에는 펴낼 예정입니다. 제2차분에는 "보들레르" "역사철학테제""언어기원에 대하여" 등이 들어갈 예정입니다.

책사랑 2007-09-13 0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짐멜 선집 제2차분도 내야 하는데... 전공자인 김덕영 선생님께서는 현재 "돈의 철학" 번역에 진력하고 계셔서... "돈의 철학"은 2008년 중하반기쯤 선보일 예정입니다.

로쟈 2007-09-14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벤야민과 짐멜, 양수겸장이네요.^^

책사랑 2007-09-14 2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짐멜의 에세이적 글쓰기 형식이 벤야민의 "일방통행로"를 비롯한 글쓰기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또한 벤야민의 "일방통행로"는 아도르노의 "미니마 모랄리아"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벤야민의 글이 갖는 독창성은 근 80년이 다 되어 가지만 지금 읽어도 우리 시대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은 '현장감'을 준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