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글로리아 스콧 호

(The Adventure of the “Gloria Scott”)

    

 

* 원문 :

“We broke up that poaching gang they swore to knife us, and Sir Edward Holly has actually been attacked.”

    

 

* 시간과 공간사 (구판, 119) :

그 밀렵단을 해체시켰을 때, 그들은 나를 찔러 죽이겠다고 말했다. 에드워드 호비 경이 실제로 습격을 받기도 했지.”

    

 

* 동서문화사 (중판), 현대문학 (주석판, 155), 코너스톤 (개정판), 엘릭시르 (139~140) :

에드워드 호비 경

    

 

* 더클래식 (구판, 개정판), 문예춘추사, 황금가지 (2, 127) :

에드워드 홀리 경

 

 

Comment :

홈즈 시리즈를 연재한 <스트랜드 매거진>(The Strand Magazine) , 영국 단행본에는 에드워드 호비 경이라고 적혀 있다. 미국 판본에는 에드워드 홀리 경으로 되어 있다.

 

 

 

 

 

 

 

5. 머스그레이브 가 전례문 / 머스그레이브 가 의식문

(The Adventure of the Musgrave Ritual)

    

 

 

* 원문 :

“There are cases enough here, Watson,” said he, looking at me with mischievous eyes.

    

 

* 시간과 공간사 (구판, 148) :

왓슨, 이 안에는 괜찮은 사건이 제법 있다네.” 홈즈가 장난기 어린 눈으로 나를 보며 말했다.

 

* 더클래식 (구판) :

왓슨, 이것들 중에도 재미있는 사건이 꽤 있었다네.” 홈즈가 눈을 번뜩이며 말을 이었다.

 

 

Comment :

mischievous (짓궂은, 장난기 있는)

 

 

 

 

 

* 원문 :

“You will excuse me, Musgrave, if I say that your butler appears to me to have been a very clever man, and to have had a clearer insight than ten generations of his masters.

    

 

* 시간과 공간사 (구판, 162) :

이런 말을 하는 것은 뭣하지만, 머스그레브, 자네의 집사는 정말 머리가 좋은 남자로, 10대에 걸친 머스그레브 가의 주인보다도 날카로운 통찰력을 갖고 있군.”

 

* 동서문화사 (중판) :

머스그레이브 씨. 실례이지만 제가 보기에는 그 집사는 아주 머리가 좋은 사나이로서, 10대에 걸친 주인들보다도 더 날카로운 통찰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는군요.”

 

* 더클래식 (구판) :

레지날드, 어떻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자네 집안의 집사는 아주 비상한 두뇌를 가진 자야. 어쩌면 몇 대에 걸친 자네 선조들보다 더.”

 

* 문예춘추사 :

머스그레이브, 이렇게 말하면 실례가 될지 모르겠지만 그 집사라는 사람은 머리가 아주 좋아서 사물을 꿰뚫어 보는 힘이 몇 대에 걸쳐 내려온 주인들보다도 훨씬 더 뛰어났던 모양일세.”

 

* 현대문학 (주석판, 198) :

머스그레이브, 자네가 듣기에 민망할지 모르지만, 내가 보기에 집사는 아주 영특한 인간이었어. 주인으로 모신 집안의 10대를 거슬러 올라가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뛰어난 통찰력을 지녔던 거야.”

 

* 더클래식 (개정판) :

머스그레이브, 어떻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자네 집안의 집사는 아주 비상한 두뇌를 가진 자야. 어쩌면 몇 대에 걸친 자네 선조들보다 더.”

 

* 황금가지 (2, 173) :

머즈그레이브, 내가 보기에 자네 집안의 집사는 대단히 영리한 사람이었던 것 같아. 미안한 얘기지만 자네 가문의 대를 이은 조상 열 분보다 훨씬 뛰어난 통찰력의 소유자일세.”

 

* 코너스톤 (개정판) :

머스그레이브, 자네 집사는 아주 영리한 사람이었던 것 같네. 미안하지만, 열 세대에 걸친 주인들보다 나은 명석한 통찰력을 소유했군.”

 

* 엘릭시르 (192) :

머즈그레이브, 내 말에 기분 상하지는 말게. 집사는 매우 영리한 사람이었던 것 같아. 십 대에 걸친 주인들보다 더 훌륭한 통찰력의 소유자였을 거야.”

 

 

 

Comment :

셜록 홈즈와 사건 의뢰인 레지날드 머스그레이브는 대학 동창이다. 그런데 <동서문화사> 판본에 나오는 홈즈는 대학교 친구에게 높임말을 쓰고 있다. ‘ten generations’몇 대()’라고 의역한 판본들이 있다. '여러 대에 걸친 유서 깊은 가문'이라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번역자들이 의역한 것으로 보인다. (quaila님의 의견) 

 

 

 

 

 

* 원문 :

“From this starting-point I proceeded to step, having first taken the cardinal points by my pocket-compass.”

 

* 시간과 공간사 (구판, 166) :

이곳을 출발점으로 해서 나는 우선 포켓 컴퍼스로 방향을 확인한 다음 걸음으로 재기 시작했네.”

 

* 동서문화사 (중판) :

이 출발점에서부터 우선 주머니에서 자석을 꺼내어 확인한 다음 걸음으로 재기 시작했네.”

 

* 더클래식 (구판) :

문장 생략

 

* 문예춘추사 :

그곳을 출발점으로 삼아서, 우선은 나침반으로 방향을 확인한 뒤에 문답에 적혀 있는 대로 걸음을 옮겨 보았네.”

 

* 현대문학 (주석판, 202) :

그곳을 출발점으로 삼아서, 먼저 휴대용 나침반으로 방위를 알아본 다음 걸음을 떼기 시작했지.”

 

* 더클래식 (개정판) :

나는 이곳을 출발점으로 삼아 일단 내 휴대용 나침반을 이용해서 기준 점을 찍은 후…‥

 

* 황금가지 (2, 179) :

이것을 기준점으로 삼아 휴대용 나침반으로 기본 방위를 알아낸 다음 나는 걷기 시작했네.”

 

* 코너스톤 (개정판) :

그곳을 출발점으로 삼아서, 먼저 휴대용 나침반으로 방위 기점을 찾은 다음 걸음을 내딛기 시작했어.”

 

* 엘릭시르 (198) :

그 지점을 출발점으로 삼아 휴대용 나침반으로 중요한 방향을 확인했지. 그러고 나서 걸음을 옮기기 시작했다네.”

 

 

 

Comment :

‘compass’는 두 가지 기구를 의미한다. 첫 번째, 방향을 파악하는 기구 '나침반'. 두 번째, 원을 그릴 때 쓰는 기구 '컴퍼스'. <시간과공간사 구판>포켓 컴퍼스는 독자에게 혼동을 준다. 좀 더 정확하게 번역하면 나침반으로 써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컴퍼스가 원을 그릴 때 쓰는 기구로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동서문화사>자석은 오역이다. <더클래식 구판>에 홈즈가 나침반을 사용하는 모습을 묘사한 문장이 생략되었다.

 

 

 

 

 

6. 라이게이트의 수수께끼 / 라이게이트의 대지주들

(The Adventure of the Reigate Squires)

 

 

* 원문 :

Three days later we were back in Baker Street together; but it was evident that my friend would be much the better for a change, and the thought of a week of spring time in the country was full of attractions to me also.

 

 

* 시간과 공간사 (구판, 180) :

3일 뒤 우리들은 베이커가로 돌아왔지만, 홈즈에게 요양이 필요하다는 것은 명백했고, 나도 시골에서 봄날의 1주일을 보내고 싶었다.

 

* 동서문화사 (중판) :

3일 뒤 우리들은 베이커 거리로 돌아왔다. 홈즈에게 전지요양이 좋다는 것은 명백해졌고, 나로서도 봄날의 1주일을 시골에서 보내는 건 몹시 마음 이끌리는 일이기도 했다.

 

* 더클래식 (구판) :

사흘이 지나서야 우리는 베이커 가로 돌아왔다. 하지만 홈즈에게는 여전히 요양이 필요했고, 나도 한적한 시골에 가서 일주일쯤 쉬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 문예춘추사 :

사흘 후, 우리는 베이커 가에 있는 하숙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당분간 환경을 바꿔 보는 것이 홈즈에게 좋을 듯했고, 일주일이라도 시골에 머물며 봄이라는 계절을 맛보는 것도 멋진 일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 현대문학 (주석판, 218) :

사흘 후 우리는 베이커 스트리트로 돌아왔다. 내 친구가 기분 전환이라도 한다면 분명 한결 좋아질 것 같았고, 봄날 시골에서 한 주일을 보낸다는 것은 내게도 꽤나 구미가 당기는 일이었다.

 

* 더클래식 (개정판) :

사흘이 지나서 우리는 베이커 가로 돌아왔다. 하지만 홈즈에게는 여전히 요양이 필요했고, 나도 한적한 시골에 가서 일주일쯤 쉬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 황금가지 (2, 190) :

사흘 뒤 우리는 다시 베이커가로 돌아왔다. 그러나 내 친구에게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은 자명했고, 봄철에 시골에서 일주일을 보내는 건 나도 대찬성이었다.

 

* 코너스톤 (개정판) :

사흘 후 우리는 베이커 스트리트로 돌아왔다. 하지만 아무래도 내 친구가 기분 전환이라도 하면 훨씬 좋아질 것 같았다. 나도 시골에서 일주일을 보낸다는 계획에 마음이 끌렸다.

 

* 엘릭시르 (212) :

사흘 후 우리는 함께 베이커 스트리트로 돌아왔다. 하지만 환경에 변화를 주는 편이 홈스의 건강에 훨씬 좋을 것 같았다. 시골에서 일주일 정도 봄을 만끽하는 건 내게도 무척 매력적이었다.

 

 

Comment :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에 등재된 원문,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원문에는 Three days later’라고 나와 있다.

 

 

 

 

 

* 원문 :

“Yes, sir. But he was off like a deer after the shot that killed poor William Kirwan was fired. Mr. Cunningham saw him from the bedroom window, and Mr. Alec Cunningham saw him from the back passage. It was quarter to twelve when the alarm broke out.”

    

 

* 시간과 공간사 (구판, 185) :

그렇습니다. 그렇지만 윌리엄 카원을 죽이고 나서 사슴처럼 재빨리 달아나고 말았습니다. 커닝엄 씨가 침실 창문에서 범인의 모습을 보았고, 알렉 커닝엄 씨도 뒷문에서 보았다는 겁니다. 사건이 일어난 것은 열두 시 이십오 분 전으로‥…

 

* 동서문화사 (중판) :

그렇습니다. 그렇지만 윌리엄 카원을 죽이고 나서 사슴처럼 재빨리 달아나고 말았습니다. 커닝검 씨가 침실의 창문에서 범인의 모습을 보았고, 알렉 커닝검 씨도 뒷문에서 보았다는 겁니다. 사건이 일어난 것은 1225분 전으로서‥…

 

* 더클래식 (구판) :

범인은 윌리엄을 죽이고 재빨리 달아났지요. 커닝엄 씨가 침실 창으로 그를 보았고, 커닝엄 씨의 아들 알렉 씨도 뒷문에서 보았답니다. 열두 시 이십오 분경이었고요.”

 

* 문예춘추사 :

. 윌리엄 카원을 사살한 뒤에 범인은 정신없이 도망쳤습니다. 하지만 커닝엄 씨는 침실 창문으로, 아들인 알렉 커닝엄 씨는 뒷문으로 범인을 보았다고 합니다. 사건은 밤 1145에 일어났습니다.”

 

* 현대문학 (주석판, 223) :

그래요. 하지만 범인은 윌리엄 커원을 사살한 후 사슴처럼 내뺐죠. 커닝엄 씨는 침실 창문으로, 아들인 알렉 커닝엄 씨는 뒤쪽 통로에서 범인을 봤답니다. 비명이 들린 것은 저녁 1215분 전이었어요.”

 

* 더클래식 (개정판) :

그렇습니다. 범인은 윌리엄을 쏴 죽이고 사슴처럼 재빨리 달아났지요. 커닝엄 씨가 침실 창으로 그를 보았고, 커닝엄 씨의 아들 알렉 씨도 뒷문에서 보았답니다. 총성이 울린 것은 열한 시 사십오 분경이었고요.”

 

* 황금가지 (2, 196~197) :

그렇습니다. 하지만 범인은 가엾은 윌리엄 커원을 쏘아죽인 뒤 그야말로 사슴처럼 도망쳤습니다. 커닝엄 씨는 침실 창문을 통해, 아드님인 알렉 커닝엄 씨는 뒤편 복도에서 범인을 목격했습니다. 총성이 울린 것은 밤 열두시 15분 전이었지요.”

 

* 코너스톤 (개정판) :

그렇습니다. 하지만 범인은 총을 쏴 윌리엄 커원을 사살한 후 온 힘을 다해 달아났어요. 커닝엄 씨가 창문으로 범인을 봤고, 아들인 알렉 커닝엄 씨는 뒤편 복도에 서서 범인을 목격했죠. 비명 소리를 들었을 때가 밤 1215분 전이었다고 합니다.”

 

* 엘릭시르 (218) :

하지만 범인은 마부인 윌리엄 커완을 사살한 후 쏜살같이 도주해버렸습니다. 커닝엄 씨는 도주하는 범인을 침실 창문으로 목격했고 아드님인 알렉 커닝엄 씨는 뒷문 쪽 복도에서 그자를 봤습니다. 비명소리가 들린 시각은 1145이었고요.”

 

    

Comment :

quarter’‘15을 나타내는 명사다.

 

It’s (a) quarter to four nowI’ll meet you at (a) quarter past.

지금이 415분 전이니까, 415분에 보자.

 

(출처: 네이버 영어사전)

 

‘to’‘~분 전의 의미로 사용되는 전치사다. 그러므로 ‘quarter to twelve’‘1215분 전이라고 해석해야 한다. ‘1215분 전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12시가 되기 15분 전의 시간을 의미한다. 그래서 ‘1145으로 해석해도 맞다. <시간과 공간사 구판>‘1225분 전이라고 오역했는데, <시간과 공간사 구판>을 표절한 것으로 의심되는 <동서문화사>오역을 살피지 않고 답습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qualia 2017-06-28 16: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글을 뒤늦게 발견했네요. 몇 가지 제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제 문장이 건조체라 읽는 분들한테는 좀 따지고 든다는 느낌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따지고 드는 건 절대 아니니 걍 담담하게 읽어주시면 좋겠네요.)

⑴ [···] have had a clearer insight that ten generations of his masters.”

→ 위 인용문 가운데 that은 than의 오타 같은데요. 맞는지요?

⑵ cyrus 님께서는 《‘ten generations’를 ‘몇 대(代)’라고 오역한 판본들이 있다》고 하셨는데요. 물론 엄밀히 말하면 오역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걸 글자 그대로 《10대》라 하지 않고 《몇 대(代)》라고 번역한 것은 오역이라기보다는 번역자의 재량이라고 판단됩니다. 일종의 의역이라고도 할 수 있죠. 그냥 여러 대(代)에 걸친 선조들을 가리키기 위한 편의상의 번역이란 것입니다. 위 문맥에서 《ten generations》가 어떤 단서를 제공하는 복선 같은 표현이 아니라면, 즉 걍 관용적으로 여러 세대를 가리키는 관용적 표현에 그친 것이라면, 《몇 대(代)》라는 번역을 오역이라고 판정하기에는 지나친 감이 없지 않느냐 하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물론 원문 그대로 《10대》로 직역하는 게 여기서는 가장 좋다고 봅니다.

⑶ It was quarter to twelve [···]

위 문장을 《12시 15분 전》이라고 번역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왜냐면 원문을 모르는 상태에서 번역문만 가지고 판단하면, 《12시 15분 전》이란 표현은 《12시 15분이 되기 전의 아무 때》를 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우리 언제 만날까? 낮 12시 15분 전이면 아무 때라도 좋아.》와 같은 사례에서는 낮 12시 15분이 되기 이전의 시간들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해서 이런 혼동을 피하기 위해, 보통은 《15분 전 12시》라고 표현하고 대부분 그렇게들 씁니다. 이렇게 표현하고 번역하면 전혀 혼동할 우려가 없지요.

요컨대 It was quarter to twelve를 《12시 15분 전》으로 번역하는 것은 틀린 것은 아니지만, 혼동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15분 전 12시》로 번역하거나 아예 《11시 45분》으로 번역하는 게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2017-06-28 16:15에 작성]

----------------------------------------

[추가 말씀]

예컨대 위 번역본들의 몇몇 번역 사례를 한번 봅시다.

① 비명이 들린 것은 저녁 12시 15분 전이었어요.

② 총성이 울린 것은 밤 열두시 15분 전이었지요.

③ 비명 소리를 들었을 때가 밤 12시 15분 전이었다고 합니다.

위 번역 사례들 모두 《quarter to twelve》를 《12시 15분 전》이란 식으로 번역했지요. 그런데 과연 저런 번역문들을 읽고 저것이 가리키는 정확한 시각이 11시 45분이라고 이해할 사람들이 몇이나 될까요? 물론 50% 이상은 정확하게 이해할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게 90%가 넘는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10% 정도는 12시 15분 이전의 어떤 시각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면 《12시 15분 전》이란 표현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애매모호한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애초에 이런 혼동을 없애려면, 《15분 전 12시》 혹은 《11시 45분》과 같이 혼동의 우려가 없는 확실한 표현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여기서는 사건 발생의 정확한 시각이 중요한 원문을 반영해 《15분 전 12시》라고 번역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2017-06-28 16:57에 추가 작성]

cyrus 2017-06-28 17:30   좋아요 1 | URL
제가 qualia님의 글과 댓글을 한두 개 본 것이 아니라서 qualia님이 따진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요. 이제는 익숙해졌어요. 오히려 제가 건조체를 쓰는 편이라서 가끔 오해를 받을 때가 있어요. ^^;;

(1) 정확하게 보셨습니다. 원문을 확인해보니까 제가 ‘than’을 ‘that’으로 잘못 썼어요.

(2) qualia님의 말씀을 듣고 보니 제가 성급하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제 의견이 의역을 무시하는 의도가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겠군요. qualia님의 의견을 반영해서 내용을 수정하겠습니다.

(3) 저도 처음에 ‘12시 15분 전’이라는 표현을 보면서 긴가민가했습니다. 번역본들마다 시간 표시가 제각각 달라서 이거만 계속 보니까 힘들었습니다.. ㅎㅎㅎ 저는 ‘11시 45분’으로 번역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15분 전 12시’라는 표현이 생소하게 느껴집니다.

qualia 2017-06-28 17:51   좋아요 1 | URL
cyrus 님, 그렇게 받아들여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아하, cyrus 님께선 《11시 45분》이란 번역이 더 낫다고 보시는군요. 그렇죠. 혼동의 우려가 없는 정확한 번역이고 표현이니까 확실히 나은 번역임에는 틀림없다고 봅니다. 그런데 《15분 전 12시》 같은 표현이 생소하시다고 하는 건 의외입니다. 왜냐면 여기 중부 지방에서는 이런 표현 많이 쓰거든요. 일 약속 시간 정할 때나 사건 발생 시간 등을 말할 때 우리 중부 지방에서는 아주 흔히 쓰는 표현이거든요. cyrus 님 지방에선 잘 안 쓰는 표현인가 봅니다. 아무튼 세세한 점까지 다시 생각해볼 수 있게 만드는 cyrus 님의 번역본 비교·대조 작업, 비판 작업은 매우 유익하고 그 의미가 정말 크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쭈욱~~ ^^

cyrus 2017-06-28 17:57   좋아요 1 | URL
제가 사는 곳이 대구입니다. 군 복무했을 때 생활관에 같이 지낸 선, 후임, 동기 대부분 서울 경기 출신이라서 서울말을 알아듣는 데 힘들었습니다. 서울 경기 출신 사람들도 제 경상도 사투리를 이해하지 못했어요. 경상도 사투리의 억센 억양 때문에 오해를 많이 받았습니다. ㅎㅎㅎ

제가 하는 작업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긴 글을 꼼꼼하게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 작업만큼은 포기하지 말아야겠습니다. ^^
 
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제24회 영남일보 책읽기賞 독서감상문 대회에 출제한 글입니다.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인 것은 분명하다. 우리는 그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인간은 뇌가 있음으로써 문화를 만들고 역사를 기록한다. 무기를 발명해 맹수나 큰 동물들을 사냥하는 것도, 농업을 통해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도 모두 뇌의 덕이다. 자연계를 통틀어 농사를 짓고 산업을 일으킨 종은 인간이 유일하다. 실제로 사회성이 높은 생물들은 하나같이 지구상에서 가장 영리하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현명한 인류)’라고 부른다. 그러나 인류가 똑똑할지는 몰라도 결코 현명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우리가 이룩한 문명을 통해 굶주림, 질병, 폭력 등을 막을 수 있는 보호막을 만들었다고 자부했다. 인간은 희망과 환상을 필요로 한다. 인간은 모든 면에서 현재가 과거보다 나아졌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나아질 것이라 믿고 싶어 한다. 첫 번째 믿음은 (god)이 존재하며, 이 세계에는 장엄한 신의 계획이 내재하여 있다는 것이었다. 인류는 수천 년간 권위는 신에게서 나온다고 믿었다. 그다음은 진화론이다. 진화론의 등장으로 신의 역할이 줄어들었다. 인간은 진화론을 내세워 자신의 우월성을 정당화했다. 진화가 인간이라는 종을 탄생시키기 위해 진행되는 과정이며 인류의 발전은 곧 진보의 역사라고 믿었다. 거의 맨몸으로 짐승을 사냥하며 생활하던 시절에 비한다면 지금의 인간은 엄청난 진보를 이룬 것처럼 보인다. 놀라운 과학 문명의 발달로 편리한 물품과 풍족한 음식에 둘러싸여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있는 듯하다. 이 시점에서 인류보다 더 위험한 것이 있는지 한 번은 의문을 가져볼 만하다. 이것은 우리의 삶에 매우 근본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호모 데우스(Homo Deus)’라는 책의 제목은 매우 도전적이다. 호모 데우스의 등장이 호모 사피엔스보다 더 우월한 종의 탄생으로 이어질지 모른다는 암묵적 두려움의 근원을 표면에 그대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전작 사피엔스(김영사, 2015)로 전 세계인들로부터 단숨에 주목받은 유발 하라리(Yuval Harari)는 또 한 번 술술 읽히는 언어로 넓은 오지랖을 과시하고 있다. 농업 혁명부터 과학 혁명까지, 전통적 인본주의에서 기술적 인본주의까지 종횡무진으로 누비면서 어렵거나 심각하지 않게 미래의 총체 상을 손에 잡힐 듯 그려준다.

 

인류는 인본주의와 자유주의적 사회 분위기 속에서 더 이상 신은 필요 없어!’라고 큰소리쳤다. 하지만 하라리는 전통적 인본주의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진화과정에서 지능과 의식이 출현했듯이 인간과 비슷한 알고리즘의 등장으로 자유의지의 의미가 희미해진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우리가 온라인 공간에서 자유롭게 정보를 선택해서 읽고 공유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 우리는 알고리즘 체계 내부에서 제한된 선택만 하고 있을 뿐이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검색엔진이나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는 알고리즘의 거대한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우리는 거대한 알고리즘의 체계 속에 살고 있으며 현대사회는 알고리즘에 의해 조합되는 사회라 부를 수 있다.

 

 

 

알고리즘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사회에 데이터(data)를 숭배하는 새로운 신흥 종교 데이터 교가 등장한다. 기술의 진보가 가져다준 혜택을 누린 인간은 더 이상 한계를 갖지 않는 신을 만들려고 한다. 하라리의 표현을 빌리자면 인류가 신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생명공학과 사이보그 기술에 힘입어 신이 된 인간, 호모 데우스는 데이터 교를 만들어 낸다. 하라리는 데이더 교가 지배하는 세상이 되면 인류는 신체적 · 정신적 측면에서 상당한 한계에 직면한다고 전망한다. 데이터 교가 인간의 삶을 지배하면 결국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모두 알고리즘의 결과가 되는 셈이다. 자신의 판단 따윈 사라지고 모든 것을 데이터에 의존하게 된다. 하라리의 전망이 허황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볼 상상임이 틀림없다.

 

 

 

 

 

하라리는 호모 사피엔스의 종말을 경고하기 위해 방대한 인류사를 책 한 권에 빼곡히 담아냈다. 근성이 느껴지는 그의 자료 수집에 경의를 표한다. 하지만 호모 데우스를 냉정하게 단 한 줄로 평하고 싶다. “시작은 창대했으나 끝은 미약했다.” 데이터가 지배하는 세상을 경고하는 하라리의 주장은 새로운 게 아니다. 그리고 우린 이미 알고리즘이 주는 편익에 익숙해졌다. 어떤 언론은 호모 데우스서평 제목을 하라리표 호러 극이라고 썼다. 그 제목을 보면 마치 밀레니엄이 임박한 데 따른 공포감을 생생하게 묘사하기 위해 호들갑 떨던 언론들의 모습이 떠올린다. ‘호러 극은 과장된 표현이다. 데이터 중심의 사회를 경계하는 전망은 빅 데이터의 강점이 주목받던 2013년부터 나왔다. 빅토르 마이어 쇤버거와 케네스 쿠키어 공저의 빅 데이터가 만드는 세상(21세기북스, 2013), 루크 도멜의 만물의 공식(반니, 2014), 한병철의 심리정치(문학과지성사, 2015)만 읽어 봐도 데이터에 의존하는 사회 현상을 경고하는 전망을 확인할 수 있다.

 

진화론적 자본주의(또는 인본주의)’를 중립적으로 바라본 하라리의 입장에 대해 유감스럽다. 진화론적 자본주의는 신자유주의의 기원,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적자생존과 거의 유사하다.

    

 

진화론적 자본주의는 갈등은 한탄할 일이 아니라 박수 칠 일이라고 주장한다. 갈등은 자연선택의 원재료로 진화를 추동한다. 누군가는 어쩔 수 없이 다른 이들보다 우월하고, 따라서 인간의 경험들이 서로 충돌할 때는 최적자가 다른 모든 이를 누른다. 우월한 인간은 열등한 인간을 억압할 권한이 있다. 우리가 이런 진화 논리를 따른다면 인류는 점점 더 강해지고 점점 더 최적자가 되어 결국에는 초인간을 낳을 것이다. (유발 하라리, 350)

 

히틀러와 나치는 진화론적 인본주의의 극단적 형태를 대표하는 한 가지 사례일 뿐이다. 나치즘의 공포 때문에 진화론적 인본주의의 통찰에 눈을 감아서는 안 된다. 나치즘은 진화론적 인본주의에 특정 인종차별주의 이론들과 초강력 민족주의 감정이 결합해서 생겨난 산물이었다. 모든 진화론적 인본주의자가 인종차별주의자는 아니며, 인류가 더 진화할 잠재력이 있다고 믿는 세력이 반드시 경찰국가와 강제노동수용소의 설치를 요구하는 것도 아니다. (유발 하라리, 355~356)

    

 

사회진화론에 기반을 둔 인종차별주의는 여전히 세계 곳곳에 깔렸다. 그들은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이 통곡할 정도로 진화론을 왜곡한다. 사회진화론과 진화론적 자본주의는 사람의 권리와 존엄성을 철저히 배제한 자기중심적인 논리이다. 진화론과 비교할 수 없는 조야한 논리일 뿐이다. 이 논리를 지향하는 사람들은 사회 전반의 시스템까지 자신들의 틀 속에 종속적으로 편입시키려고 했다. 그러한 과정에서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증오심을 폭력과 차별을 통해 표출한다. 모든 진화론적 인본주의자가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해도 그들의 논리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하라리가 잘못 알고 있는지 아니면 번역본이 인쇄되는 과정에서 나온 오식인지 잘 모르겠다. 프랑스의 소설가 아나톨 프랑스(Anatole France)가 노벨 문학상을 받은 연도를 잘못 적었다.

 

1923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아나톨 프랑스와 아름답고 재능 있는 무용수 이사도라 던컨의 만남에 관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아마 실화는 아닐 것이다. 던컨은 당시 인기 있던 우생학 운동을 거론하며 내 외모와 당신의 머리를 물려받은 아이가 태어난다고 상상해봐요!”라고 말했다. 그러자 프랑스는 이렇게 대꾸했다. “좋지요. 하지만 내 외모와 당신의 머리를 물려받은 아이가 태어나면 어떻게 될까요.” (82~83)

 

프랑스가 노벨 문학상을 받은 해는 1921이다.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7-06-27 1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두꺼운 책을 나도 사서 읽어야할까 말아야할까 조금은 고민했는데 너의 리뷰를 보니 그 고민 한 방에 해결됐다. 고마워!

그런데 너의 리뷰는 점점 편집증에 가까운 것 같아.이 꼼꼼함이란...! 덕분에 나야 좋지.ㅋㅋ

cyrus 2017-06-27 19:37   좋아요 0 | URL
도서관에 빌린 책은 더 꼼꼼하게 읽어요. 대충 읽거나 다 못 읽고 책을 반납하면 다시 읽을 일이 없거든요.. ^^;;

alummii 2017-06-27 1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꼼꼼함 좀 보소... !!^^전 언제쯤 이런 리뷰를 쓸 수있을까요 부럽부럽

cyrus 2017-06-27 19:37   좋아요 0 | URL
저 말고도 리뷰를 열심히 쓰는 분들이 많습니다. ^^

꼬마요정 2017-06-27 19: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책 샀단 말이에요ㅜㅜ

cyrus 2017-06-27 19:41   좋아요 1 | URL
소장 가치가 높은 책입니다. 반품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책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라서 반박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박람강기 2017-06-27 2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습니다.. 사실 저도 절반정도 읽었는데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아서 진도가 나가지 않는 중입니다. 그래도 다 읽어는 봐야겠습니다..

cyrus 2017-06-28 08:29   좋아요 0 | URL
책의 중간 부분부터 읽어나가는 것이 힘들었어요. 책의 핵심 내용이 챕터 1과 마지막 챕터에 있어서 읽다가 포기하고 싶은 생각을 한 적 있어요. ^^;;

2017-06-27 20: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06-28 08:31   좋아요 1 | URL
《총균쇠》는 몇 년동안 책장에 꽂혀 있는 책입니다. 여러 번 읽으려고 시도했지만, 완독을 달성하지 못한 책입니다. ^^

북다이제스터 2017-06-27 20: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사피엔스>를 읽으시고 제국주의를 중립적으로 쓴 하라리에 대해 비판하셨던 거 기억납니다.
저도 하라리 책 읽을 때마다 중립성 그 점이 불편했는데, 그게 바로 하라리 강점 아닌가 생각됩니다. ^^

cyrus 2017-06-28 08:33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제가 하라리의 관점을 비판한 것은 그가 틀렸다고 주장하고 싶은 것이 아니었습니다. 동의할 수 없었던 것이죠. ^^

목나무 2017-06-28 15: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그래도 cyrus님 리뷰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냉큼 데려오려고 했지만 다른 책들 데려오다보니 이 책 보류중이었는데...
음음~~~ 계속 보류 상태인 걸로...ㅋㅋ


cyrus 2017-06-28 17:36   좋아요 0 | URL
읽을 만한 책입니다. 저는 <호모 데우스>를 하라리의 대표작으로 꼽고 싶습니다. ^^

나비종 2017-07-01 06: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데이터에 의해서든 미래에 나타날 그 어떤 것에 의해서든 인간은 결국 인간이 만든 무언가에 의해 망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호모‘와 ‘데우스‘가 결합된 단어가 책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이겠군요. 이렇게 오만해지다 어디까지 갈런지. . 스스로 그러한 ‘자연‘ 앞에서 항상 겸손해야 할텐데 말이죠.

이사도라 던컨 관련 일화의 대상은 버나드 쇼였던 것 같은데요^^;

cyrus 2017-07-01 15:07   좋아요 0 | URL
인간의 자만심이 지나치면 파멸을 초래하게 됩니다. <호모 데우스>를 읽으면서 바벨 탑 이야기가 생각났습니다. 인간은 신의 목소리를 더 가까이 듣고 싶어서 탑을 세웠지만, 사실은 신이 되기 위해서 탑을 만들었던 거죠. 버나드 쇼와 던컨이 엮이는(?) 일화가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분명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있습니다. 버나드 쇼 대신에 아인슈타인이 등장하는 일화도 있습니다. ^^
 

 

 

루이스 캐럴(Lewis Carrol)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많은 작가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소설이다. 시계를 보며 말하는 토끼를 쫓아가다가 땅굴로 떨어진 후 겪게 되는 모험은 다양한 환상들을 창조해 내는 상상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 마틴 가드너 Alice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거울 나라의 앨리스(북폴리오, 2005)

* 루이스 캐럴 주석과 함께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오월의봄, 2015)

* 스테파니 로벳 스토펠 루이스 캐럴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만나다(시공사, 2001)

* 미셸 투르니에 미셸 투르니에의 푸른 독서노트(현대문학, 2008)

* 다니엘 지라르댕, 크리스티앙 피르케르 논쟁이 있는 사진의 역사(미메시스, 2011)

    

 

 

하지만 캐럴이 유난히 여자아이들에 집착했던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캐럴은 어린 소녀들의 사진을 찍는 것을 좋아했다. 그중 그가 가장 좋아했던 소녀가 앨리스 리들(Alice Liddell)이었다. 이 소녀는 크라이스트처치(Christchurch) 대학 학장의 둘째 딸이었다. 캐럴은 크라이스트처치 대학의 수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었다. 학장과 친하게 지내면서 학장의 세 딸과 우정을 쌓을 수 있었다. 이때 당시 캐럴의 나이는 30, 앨리스 리들은 10세였다. 캐럴은 학장의 세 딸과 보트를 탈 때마다 자신이 지어낸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앨리스 리델이 그 이야기를 책으로 만들어달라는 부탁을 한 계기로 위대한 작품 하나가 탄생한 것이다.

 

 

 

 

그런데 평생을 독신으로 살아간 캐럴이 소아성애자였는지 여부는 지금도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캐럴은 소녀들의 부모에게 동의를 받고, 소녀들의 누드 사진을 찍었다. 이를 놓고 어린 소녀에 대한 캐럴의 관음증을 의심한 사람들이 있었다. 특히 프랑스의 소설가 미셸 투르니에(Michel Tournier)는 캐럴이 계집아이들에 대한 이상한 열정을 가졌다고 지적했다. (미셸 투르니에 : 61) 투르니에의 해석에 따르면 캐럴은 리들이 소녀에서 숙녀로 성장하는 과정을 두려워했다. 왜냐하면, 소녀와의 순수한 우정(캐럴이 소아성애자라고 믿는 사람들은 소녀와의 우정을 ‘비정상적인 사랑이라고 말한다)이 변하기 때문이다. 투르니에의 해석은 틀린 말이 아니다. 캐럴은 아이들을 신이 빚어낸 순결한 존재로 생각했다. 그러나 캐럴의 이상한 열정은 단순히 작가 개인의 성적 취향으로 보기 어렵다. 아이를 순수한 존재로 여기는 것은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통념이었다. 캐럴뿐만 아니라 다른 사진작가들도 벌거벗은 아이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었고, 어린이 누드 사진이 있는 연하장이 나오기도 했다. (스테파니 로벳 스토펠 : 40, 41, 46)

 

 

 

 

 

 

 

 

 

 

 

 

 

 

 

 

    

 

* 피치 핏 로젠 메이든 신장판(학산문화사, 2013)

    

 

 

캐럴은 분명 이상한 나라(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의 수학자. 그는 자기보다 스무 살이나 어린 앨리스와의 우정을 영원히 간직하고 싶었고, 앨리스를 시간이 지나도 영원히 변하지 않는 순수한 존재로 만들려고 했다. 일본의 2인조 만화가 그룹 피치 핏(PEACH-PIT)로젠 메이든은 캐럴과 앨리스와의 기묘한 관계를 떠올리게 하는 만화이다. 사실 이 만화를 보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따온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로젠은 신비한 인형을 만드는 사람이다. 그는 로젠 메이든이라고 알려진 인형들을 만든다. 그가 만든 인형이 스이긴토(1인형), 카나리아(2인형), 스이세이세키(3인형), 소우세이세키(4인형), 신쿠(5인형), 히나이치고(6인형), 키라키쇼(7인형). 로젠 메이든은 특별하다. 등에 태엽을 감아주면 인간처럼 살아 움직인다. 그런데 로젠 메이든이 눈을 떠서 살아 움직이면 절대로 피할 수 없는 잔인한 게임에 돌입한다. 그 게임이 바로 앨리스 게임이다. 슬프게도 로젠 메이든은 서로 싸우기 위해 만들어진 존재이다. ‘엘리스 게임에 승리해서 살아남은 인형은 앨리스가 된다.

 

 

 

 

 

 

 

 

앨리스는 로젠이 만들어낸 완벽한 소녀를 상징하는 이상형이다. 그래서 인형들은 자신을 만들어 준 로젠을 아버지라고 부르며 그를 만나기 위해 앨리스가 되려고 한다. 앨리스 게임에 집착하는 인형은 자신과 친하게 지내는 인형과 목숨 걸고 싸워야 한다. 로젠의 이상한 열정이 인형 자매들을 고생하게 만든 셈. 아무리 싸움 구경이 재미있다고 해도 로젠의 기이한 욕망이 만들어낸 앨리스 게임을 생각하면 자매 같은 인형끼리 싸우는 상황이 불편하게 느껴진다. 이 만화의 남자 주인공 사쿠라다 준도 앨리스 게임을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5인형, 그러니까 로젠이 다섯 번째로 제작한 로젠 메이든 신쿠는 로젠이 가장 아끼는 인형이다. 그래서 제1인형 스이긴토는 자신에게는 한참 아래인 동생이나 다름없는 신쿠가 아버지에게 사랑받는 것을 싫어해서 신쿠를 질투한다. 신쿠와 스이긴토는 잘못된 악연으로 인해 앙숙 관계가 된다. 묘하게도 캐럴은 학장의 세 딸 중 유독 둘째 딸 앨리스를 편애했다. 캐럴의 소설에 나오는 앨리스는 고양이를 좋아하는데, 실제로 세 자매는 두 마리의 얼룩 고양이를 키웠다. (마틴 가드너 : 74) 그런데 앨리스가 될 가능성이 높은 신쿠는 고양이를 엄청 싫어한다.

 

루이스 캐럴과 로젠은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몰랐다. 이 세상에 완벽한 존재란 없다는 점. 완벽함에 대한 추구가 지나칠수록 사랑하는 대상을 잃을 수 있다. 캐럴과 앨리스 리들의 관계가 어떠한 이유로 깨졌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완벽한 소녀를 꿈꾼 캐럴의 이상한 열정이 소중한 우정을 한순간에 깨뜨린 원인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로젠은 자신만의 앨리스를 만나기 위해 로젠 메이든을 제작했다. 그렇지만 로젠이 원하는 앨리스는 없다. 로젠의 사랑을 얻기 위해 폭력을 사용해서 자매를 쓰러뜨려야 한다는 규칙의 앨리스 게임은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제로섬 게임(zero sum)이다. 현실에 동떨어진 사랑은 반드시 집착을 동반한다. 그리고 왜곡된 사랑의 최후에는 파멸만이 있을 뿐이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qualia 2017-06-27 12:51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루이스 캐럴은 소아성애도 있었고 집착도 심했던 것 같습니다. 역설적으로 그런 일종의 소아성애와 집착이 없었다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도 없었으리라 봅니다. 누구나 루이스 캐럴 같은 성향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걸 자기 조절하고 자기 통제하는 것이 관건이지요. 루이스 캐럴은 나중에 앨리스에 대한 모든 접근이 금지됐다고 하죠. 인간은 일종의 감각 입출력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각을 비롯한 여러 다양한 감각이 들어오거나, 그런 감각을 받아들이면, 그 감각에 반응해 반드시 어떤 출력을 내놓게 되어 있습니다. 감각 입출력기로서의 생물체가 지구상에 출현해 진화하고 생존해온 가장 근본적 원리라고 봅니다. 그런 감각 입출력기는 아름답고 감미롭고 부드럽고 달콤하고 향기로운 것에 감도와 반응도가 높겠죠.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속성이랄 수 있죠. 그러나 그 감도와 반응도를 조절하지 못하거나 통제하지 못하면 인간에겐 그게 소아성애가 되고 집착이 되는 거겠죠. 우리는 모두 그런 감각 입출력기라고 봅니다.

cyrus 2017-06-27 18:15   좋아요 0 | URL
어린 소녀를 대하는 캐럴의 태도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중 하나가 qualia님의 의견과 조금 비슷합니다. 어떤 학자는 캐럴이 소아성애 성향이 있다는 가정에 따라 죽을 때까지 자신의 성적 취향을 절제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캐럴은 대단한 절제력을 가진 것입니다. 성인이 된 리들 자매가 캐럴을 선량한 아저씨라고 회고하는 것을 보면 캐럴이 세 자매에게 음흉한 행동은 안 했던 것 같습니다.

alummii 2017-06-27 13: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루이스 캐럴에게 이런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었다니 ..놀랍네요!

cyrus 2017-06-27 18:16   좋아요 0 | URL
작가의 생애도 앨리스 이야기 못지않게 흥미롭습니다. ^^

곰곰생각하는발 2017-06-27 13:5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제가 알기로는 리델의 사진을 찍는 것은 부모가 동의했지만 누드를 찍는 것에 동의했다는 말은 못 들은 것 같습니다. 제가 본 사진에는 누드는 없었고, 그냥 살짝 어깨가 보이는 ?! ㅎㅎㅎㅎ

뭐... 하튼.. 캐롤이 말을 더듬어서 성인과의 관계가 어색했다는 말도 있고..

cyrus 2017-06-27 18:20   좋아요 0 | URL
생전에 캐럴이 어린이를 찍은 사진들을 폐기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학자들이 여러 가지 추측과 상상을 해요. 그 폐기된 사진 중에 앨리스 리들의 누드 사진이 포함될 수도 있어요. 캐롤이 말더듬이인 건 맞아요. 그게 콤플렉스라서 캐럴의 성격은 소심해졌고, 자신의 결함을 문제 삼지 않는 아이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했을 겁니다. ^^

곰곰생각하는발 2017-06-27 18:40   좋아요 1 | URL
사실, 저도 루이스 캐롤에 대해 관심이 매우 많은 편인데
이 양반, 사실 좀 레오나르도 다빈치과‘죠.
여러 방면에서 천재적이었습니다.
사진학에서도 이 사람은 매우 중요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아마도 부모 동의 하에서 리델 누드를 찍지는 못했을 것이고
몰래몰래 부모 몰래 찍다가 부모에게 발각이 되지 않았을까 조심스레 추측합니다.
부모가 나중에는 리델과 접근 금지 시키잖아요. 아마도 캐롤이 몰래 찍은 리델 누드 사진에 빡쳤다는 설도 있더군요. 저도 여기에 한 표 !

하여튼 무슨 연유인지는 모르나 리델 부모가 캐롤에 대해 심한 충격과 배신감을 느낀 것은 분명합니다..


cyrus 2017-06-27 18:43   좋아요 0 | URL
캐럴, 이 사람 재미있고 수수께끼가 많아요. 그래서 앨리스 이야기를 보면 볼수록 캐럴의 삶이 생각나고, 이를 근거로 여러 가지 해석을 할 수 있잖아요. 곰발님의 말씀대로 캐럴은 이과와 문과를 넘나든 천재였습니다. 그가 ‘동화 작가‘로만 알려진 게 아쉬워요.
 
이렇게 읽을 거면 읽지 마라
다오얼덩 지음, 김영문 옮김 / 알마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고전은 후세에 전범이 될 만한 옛날 작품 또는 책을 의미한다.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Mark Twain)은 고전을 사람들이 입에는 자주 올리면서도 막상 읽지 않은 작품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사람들은 어떤 책을 두고 귀중한 지적유산이니 하며 자랑스럽게 말한다. 그런데 누군가가 그 책을 읽어보았느냐고 질문하면 선뜻 대답하지 못한다. 굳이 마크 트웨인의 익살이 아니더라도, 읽자고 결심해 책장 앞에만 서면 손이 잘 가지 않는 책이 고전이다.

 

이렇게 읽을 거면 읽지 마라(알마, 2017)는 애서가의 마음에 떨떠름한 과제로 남아 있는, 가깝고도 멀기만 한 동양고전에 이르는 길을 알려주는 책이다. 그런데 꼬불꼬불하고 높기만 한 고전을 알려주는 중국인 길잡이가 까탈스럽다. 제목부터 심상치 않다. 이렇게 읽을 거면 읽지 마라(不必讀書目). 다오얼덩(刀爾登)비판적 고전 읽기를 중시하는 칼럼니스트이다. 그런데 그의 비판 수위가 좀 세다. 그는 그 유명한 손자병법을 읽을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오늘날 손자병법전쟁 같은 사회에 승리하기 위해 읽어야 하는 필독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무한경쟁의 시대 속에 사는 사람들 모두 생존할 수 있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 알게 모르게 사람들은 손자병법의 지식을 실천으로 옮기면서 살고 있다. 손자병법을 완독하지 않아도 누구나 지피지기면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라는 말을 기억한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손자병법에 등장하는 어구 중에서도 승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전략이다. 그런데 그러한 전략은 경영학 교재에 나오는 내용이다.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알고 국제시장에서의 마케팅 기법을 파악하게 되면 그만큼 경쟁하기 쉽다. 이 때문에 전 세계 기업들은 자사의 기술 및 전략을 숨기고 경쟁 기업의 그것을 알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산해경은 중국이 자랑하는 최고(最古)의 동양 신화이다. 작년에 포켓몬 Go’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을 때 이와 유사한 산해경 Go’가 출시된 적이 있다. 게임 이용 방식은 포켓몬 Go’과 거의 유사하다. 중국 고대의 신화집에 나오는 요괴들이 스마트폰 화면에 나타나면 손오공이 머리에 쓰는 금고아를 씌워 포획하면 된다. 산해경을 비판적으로 읽은 다오얼덩은 산해경 Go’를 보고 무슨 생각을 했을지 궁금하다. 그는 산해경에 나오는 구절을 오독해서 근거 없는 중국 우월의식에 빠지는 것을 경계한다. 그리고 이렇게 읽으려면 안 읽는 것이 낫다라고 일침을 가한다.

 

다오얼덩이 읽지 말라고 당부하는 동양 고전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는 것들만 소개하면, 논어, 노자, 맹자, 장자, 이백(이태백), 주역, 삼국지, 서유기, 수호전 등이 있다. 우리는 고전을 전통으로 받아들여 고전 읽기를 통해 현대 사회 문제점의 해결책을 찾으려고 한다. 그러나 다오얼덩은 공평한 마음을 가진 독자라면 고전이 제시하는 교훈이 오늘날에는 무효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고 말한다. 다오얼덩은 비판적 독서를 주저하는 독자들이 곤경에 빠지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를 아끼지 않았다. 그래서 어떤 고전을 소개할 때 그것의 장점을 먼저 소개한 다음 비판점을 알린다. 고전 작품의 줄거리를 요약하기보다는 주제, 문학적 의의 등 작품 해제 쪽에 무게를 둠으로써 독자들이 고전 작품을 직접 찾아 읽도록 신경을 썼다.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고, 하라고 하면 더 하기 싫은 게 사람 마음이다. 다오얼덩의 책을 읽으면 굳이 안 읽어도 되는 고전을 한 번쯤이라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하지만 한 번 사는 인생에 읽어야 할 책이 엄청 많다. 다오얼덩이 소개한 고전은 평생을 두고 읽어도 다 못 읽는다. 그래서 다오얼덩의 책 한 권 제대로 읽고 나면 50여 권의 동양 고전을 섭렵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이 책을 읽는 독자, 바로 우리의 마음가짐이다. 읽지 않은 책을 읽은 척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빈 수레가 요란하다는 속담처럼 알맹이 없는 요란한 말로 고전이 중요하다면서 호들갑을 떤다. 그리고 자신의 지적인 면모를 상대방에게 과시하기 위해 언변으로 치장하기에 바쁘다. 안 읽는 것보다는 한 번이라도 읽어보려는 시도하는 것이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 읽다가 포기하면 된다. 완독 달성이 독서의 전부가 아니다. 그래야 설득력 있는 비판적 독서가 가능해진다. 이 책, 이렇게 읽을 거면 읽지 마라의 독서가 우리에게는 능동적 독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6-24 19: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06-25 06:15   좋아요 0 | URL
저도 안 읽은 고전이 많습니다. 이 책을 보면서 조금 위안이 되었습니다. ^^

겨울호랑이 2017-06-24 2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표지에 있는 책들중 상당수 책들을 못 읽었네요... 책의 내용을 알고 있어야 잘못 읽는다는 것도 깨달을텐데요... 한참 멀었음을 깨닫게 됩니다...

cyrus 2017-06-25 06:21   좋아요 2 | URL
저는 삼국지를 안 읽어봤어요. 삼국지에 재미가 느껴지지 않았어요. 어렸을 때 저보고 삼국지 안 읽는다고 핀잔 준 녀석들이 있었어요. 그런데 그들이 읽은 삼국지가 이문열 버전입니다. 이문열 버전만 읽으면 삼국지를 제대로 이해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을 겁니다. ^^;;

AgalmA 2017-06-26 0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삼국지 안 끌려서 안 읽었어요. 그 방대한 양에 투자한 만큼 내가 얻을 수 있는 게 많을까 심리가 늘 끼어서요ㅎ cyrus님 일화처럼 그걸 읽은 사람들이 뭔가 대단한 걸 넌 모른다! 으스대거나 핀잔 줄 때 많이 써서 더 기를 쓰고 읽고 싶게 만들긴 하죠ㅋ 읽어보니 별거 아니던데 맞받아쳐 주고 싶기도 하고ㅋㅋ 그런데 시간은 한정되어 있고 모든 고전이 모두에게 양식이 되지는 않아요. 전공자라면 모르겠지만 모두가 다 전문가가 될 이유는 없잖아요? 사람의 한계상 현실불가능한 부분도 있고요. 인공지능 인류 인종이 되면 문제는 달라지겠지만.
다오얼덩이 말하는 것처럼 유통기한 지난 정보나 틀린 이론도 많아서 최신 업데이트된 책들을 더 선호하게 돼요.

cyrus 2017-06-27 07:59   좋아요 0 | URL
저도 AgalmA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비판적 읽기를 강조하지 않고, 무조건 고전을 읽으라고 할 수 없습니다. 사실 고전은 재미 없어요. 고리타분한 내용도 있고요.. ㅎㅎㅎ
 

 

 

To Sherlock Holmes she is always the woman.” 코난 도일(Conan Doyle)의 단편소설 보헤미아 스캔들(A Scandal in Bohemia)의 첫 문장이다.

 

 

 

 

 

 

 

 

 

 

 

 

 

 

 

 

     

* 셜록 홈즈 전집 5 : 셜록 홈즈의 모험(황금가지, 2002)

* 셜록 홈즈 전집 4 : 셜록 홈즈의 모험(시간과 공간사, 2002)

* 셜록 홈즈의 모험(동서문화사, 2003)

* 셜록 홈즈의 모험(문예춘추사, 2012)

* 주석 달린 셜록 홈즈 1 : 셜록 홈즈의 모험(현대문학, 2013)

* 셜록 홈즈의 모험(더클래식, 2014)

* 셜록 홈즈의 모험(코너스톤, 2016)

* 셜록 홈스의 모험(엘릭시르, 2016)

    

 

이 작품에서 홈즈는 보헤미아 국왕으로부터 그의 연인이었던 아이린 애들러(Irene Adler)가 가진 문제의 사진(국왕과 애들러가 같이 찍은 것)을 되찾아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홈즈는 애들러가 사진을 어디에 숨겼는지 알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눈치를 챈 애들러는 다른 사진만을 남겨두고 해외로 떠난다. 콧대 높은 남성 우월주의자 홈즈가 유일하게 자신의 패배를 인정한 여성이 애들러다. 그래서 홈즈는 그녀를 세계에서 유일한 여성(the woman)’이라고 부른다.

 

 

 

 

 

 

 

 

 

 

 

 

 

 

 

 

 

 

* 셜록 홈즈 전집 6 : 셜록 홈즈의 회상(황금가지, 2002)

* 셜록 홈즈 전집 6 : 셜록 홈즈의 회상(시간과 공간사, 2002)

* 셜록 홈즈의 회상록(문예춘추사, 2012)

* 주석 달린 셜록 홈즈 2 : 셜록 홈즈 회고록(현대문학, 2013)

* 셜록 홈즈의 회상(더클래식, 2014)

* 셜록 홈즈의 회고록(코너스톤, 2016)

* 셜록 홈스의 회상록(엘릭시르, 2016)

    

 

 

홈즈가 존경할 정도로 영리하고 대담한 여성이 있는가 하면, 홈즈에게 외면 받은 비운의 여인도 있다. 이 비운의 여인은 머스그레이브 가 의식문(The Musgrave Ritual)에 등장하는 레이첼 하웰즈(Rachel Howells).

 

다음 내용은 작품의 줄거리 및 결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레이첼은 머스그레이브 가문의 저택에서 일하는 하녀이다. 그녀는 저택의 집사 리처드 브런튼(Richard Brunton)과 약혼한다. 그러나 브런튼은 그녀와의 약혼을 파기하고, 다른 여자를 만난다. 실연의 아픔을 겪은 레이첼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척추 뇌막염에 걸린다. 브런튼은 저택 주인 레지날드 머스그레이브(Reginald Musgrave)가 잠든 줄 알고, 늦은 밤 주인의 서재에 들어와 가문의 의식문을 훔쳐본다. 그 날 레지날드는 서재에 가게 되고, 집사의 수상한 행동을 목격한다. 화가 난 레지날드는 집사를 해고하지만, 브런튼은 2주일만 일할 수 있게 해달라고 사정한다. 레지날드는 집사의 사정을 들어준다. 집사는 그날 밤에 있었던 불미스러운 일을 만회하기 위해 열심히 일한다.

 

그러나 소동이 일어난 지 3일 후에 집사가 갑자기 자취를 감춰버린다. 투병 생활로 몸과 마음이 쇠약해진 레이첼은 정신에 이상을 일으키게 되고, 그녀도 사라져버린다. 저택 안의 연못 주변에 레이첼의 발자국을 발견한다. 연못 속을 수색해보지만, 그녀의 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 대신 형체를 알 수 없는 녹슨 쇠붙이가 든 자루를 발견한다. 레지날드는 대학 동창 홈즈에게 집사와 하녀 실종사건을 의뢰한다. 홈즈는 암호 같은 의식문을 해독하여 특별한 것을 숨겨놓은 장소를 찾아내는 데 성공한다. 그 장소는 오랫동안 사람의 발길이 뜸했던 지하실이었다. 그곳에서 브런튼의 시체를 발견한다. 브런튼은 의식문을 해독하여 지하실에 보관된 찰스 1세의 왕관을 찾으려고 한 것이었다. 그는 자신을 사랑하는 레이첼과 함께 지하실에 내려가지만, 브런튼은 보물이 보관된 좁은 공간에 갇히고 만다. 브런튼은 레이첼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녀는 보물을 들고 지하실 밖으로 나간다. 레이첼은 집사의 죽음을 은폐하기 위해 보물을 연못에 던졌고, 연못 주변에 그녀의 발자국이 남아 있는 것이다.

 

사건은 해결되었으나 밝혀지지 않은 수수께끼가 여러 개 있다. 첫 번째 수수께끼. 브런튼의 죽음은 예기치 못한 돌발 사고인가 아니면 우발적인 사고로 가장한 레이첼의 복수극일까. 홈즈는 후자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지하실에 있었던 일을 추리한다. 그는 레이첼이 흥분하기 쉬운 켈트(Celts, 아일랜드와 웨일스에 거주한 고대 민족) 여자라서 브런튼이 방심한 사이에 복수했을 거로 생각한다. 두 번째 수수께끼. 끝내 알려지지 않은 레이첼의 행방이다. 홈즈는 레이첼이 죄의 기억을 간직하고서 영국을 탈출해 도피했다고 추측한다. 홈즈는 레이첼의 행방에 무관심하다. 그의 여성관을 생각해볼 때 레이첼은 홈즈가 기피하는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홈즈는 그녀를 사랑하는 남자를 복수하려고 죄를 지은 히스테릭한 여성으로 인식한다. 그때나 지금이나 히스테리를 감정에 치우친 여성에게 나타나는 정신적 증상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히스테리를 여성만 겪는 병으로 이해하는 편견이 남아 있다. 여성을 혐오하는 남성은 이러한 편견을 근거로 정상적이지 않은 여자들은 히스테리 환자 아니면 미친 여자로 규정했다.

 

80년대 아동용 축약본으로 나온 계림문고 셔얼록 호움즈’(80년대에 '셜록 홈즈'를 이렇게 표기했다) 시리즈에서는 원작을 무시한 결말이 나온다. 번역본의 제목은 <저주받은 왕관>. 이 책에서 레이첼은 미쳐버린 상태에서 홀로 돌아다니다가 늪지에 빠져 죽은 것으로 나온다.

 

 

 

 

 

 

<저주받은 왕관>의 번역자는 하웰즈의 모습에서 오필리아(Ophelia)를 연상했던가 보다. 오필리아는 물에 빠져 죽은 미친 여자의 대명사로 알려져 있다. 수많은 화가들은 오필리아의 죽음을 너무나 아름답게 그려냈다. 그 많은 오필리아를 묘사한 그림 중에 존 에버렛 밀레이(John Everett Millais)가 그린 것이 오필리아의 슬픈 삶을 극적으로 보여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민음사, 1998)

*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 1사절파본(동인, 2007)

*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펭귄클래식코리아, 2010)

*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펭귄클래식코리아, 2014)

*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문학동네, 2016)

*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창비, 2016)

* 디트리히 슈바니츠 슈바니츠의 햄릿(들녘, 2008)

    

 

디트리히 슈바니츠(Dietrich schwanitz)는 오필리아를 미치게 만든 원인을 햄릿(Hamlet)과의 관계에서 찾는다. 오필리아는 자신의 사랑을 거부한 햄릿이 아버지 폴로니우스(Polonius)를 죽인 사실에 큰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그녀는 정신이 불안정한 상태 속에 의미를 알 수 없는 가사의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햄릿45) 한때 저질 사절판으로 알려져 연구가들이 무시했던 1사절판 햄릿에 미친 오필리아의 모습을 알려주는 무대 지시문 한 줄이 적혀 있다. 번역으로 활용된 판본에는 무대 지시문이 없다.

    

 

오필리아가 류트를 연주하고, 머리는 아래로 풀어헤친 채 노래하며 등장한다.

 

(이현우 역, 동인 햄릿 : 제1사절판142)

    

 

신하는 오필리아가 온통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말을 떠들고 다닌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오필리아가 잃은 것은 아버지만이 아니다. 그녀가 사랑했던 연인은 아버지를 죽인 원수가 되었다. 오필리아의 친오빠 레어티스(Laertes)는 복수의 칼날을 햄릿의 가슴에 겨눈다. 오빠가 아버지의 원수를 거론했으니 복수의 피바람 예감은 너무도 당연한 귀결이다. 그녀는 햄릿 근처에 드리워진 죽음의 그림자를 직감했는지 의미심장한 노래를 부른다.

 

 

당신의 참사랑이 남다른 줄

어떻게 아냐구요?

조가비 모자와 지팡이에

가죽신 때문이죠.

 

그분은 가셨어요, 아씨,

돌아가셨다고요.

머리맡엔 새파란 잔디요

발치엔 비석이죠.

 

(최종철 역, 민음사 햄릿151~152) 

 

당신 진실한 사랑 남다른 줄

어찌 알까요?

조가비 모자에 지팡이,

가죽 신발 모양 보고 알지요.

 

그분은 죽었어요, 가셨어요, 아가씨,

그분은 죽었어요, 가셨어요.

머리맡엔 초록 풀잎이 자라고,

발치엔 돌비석 하나.

 

(이현우 역, 동인 햄릿 : 1사절판142)

      

그대 진정한 사랑인 줄

내 어찌 알까요?

조가비 단 모자에 지팡이

샌들 신은 모습일 테죠.

 

그 사람은 죽었다오, 아가씨.

죽어 떠나갔다오.

머리에 푸른 잔디 덮이고

발치에는 비석이 서 있다오.

 

(노승희 역, 펭귄클래식코리아 2010년 초판 햄릿239~240,

펭귄북스 오리지널 디자인 특별판 햄릿185)

      

내가 당신의 애인을

다른 이와 어떻게 구별하느냐구요?

그의 새조개모와 죽장

그리고 그의 가죽신을 보고서.

 

그이는 죽어서 사라졌어요. 마님.

그이는 죽어서 사라졌어요.

그의 머리맡에는 잔디 풀 한 개

그의 발치에는 돌멩이 한 개.

 

(이경식 역, 문학동네 햄릿162)

     

그대 임 어찌 아나

누가 내게 물으면

순례자 가리비 모자,

지팡이와 가죽 신.

 

죽고 없어요, 아씨,

죽고 영영 없어요,

머리엔 푸른 뗏장,

발치엔 묘석 하나.

 

(설준규 역, 창비 햄릿146~147)

 

 

조가비 모자를 쓴 순례자는 사랑하는 연인을 상징한다. 오필리아는 미래에 다다르게 될 순례자, 즉 햄릿의 비극을 걱정한다. 셰익스피어 연구가와 독자 들은 햄릿의 광기가 실제인지 아닌지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을 제시한다. 45장에 등장한 오필리아가 정말로 미쳤는지 아닌지 분석해보는 것도 흥미롭다. 슈바니츠는 오필리아의 광기가 진짜라고 주장한다. (슈바니츠의 햄릿144) 나는 그의 의견에 반대한다. 오필리아는 미치지 않았다. 헛소리에 가까운 노래를 부르고 다니는 오필리아의 행동을 광기 어린 발작의 증상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그녀는 미친 것이 아니라 고민했다. 오필리아는 햄릿처럼 존재론적 고민 속에 빠진다. 아버지가 없는 세상을 살아가는 것도 감당하기 힘든데, 햄릿마저 포기해야 하는 세상을 나는 살아갈 수 있을까? 그것이 문제야.’ 그녀는 분명한 결정을 취하지 못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에 부닥쳤다.

 

레이첼 하웰즈와 오필리아. 이 두 사람은 정상안정을 유지하는 사회가 낙인찍은 비정상적 인물이다. 가부장제에 기반을 둔 사회에서 심각한 정신장애를 가진 여성은 결혼할 기회가 없다. 가부장제에서 비롯된 편견은 여성의 광기를 비장상적’, ‘합리적 이성이 불가능한 상태로 인식하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여성 광기의 원인을 가부장이 될 연인을 잃은 상실감에서 찾는다. 그것을 내면화한 독자는 레이첼과 오필리아의 복잡한 감정 상태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다. 그냥 그녀들을 미친 여자라고 단순하게 생각할 뿐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6-24 14: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06-24 16:41   좋아요 0 | URL
좀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지만, 홈즈 소설에 나오는 여성의 모습이 오필리아와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AgalmA 2017-06-26 05: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생각해보면요. 부모나 연인이 죽어서 혼란한 상태인 인물들이 나왔을 때 여자는 항상 미치고 남자는 미친 척을 하는 거로 설정하죠. 비평가도 작가도 이걸 일반화하고 경향화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걸 잘 짚어 주셨어요.
그에 비하면 도선생은 남녀 구분두지 않고 병적인 개인을 다뤄서 좋아요ㅋ 다들 이 구역에선 내가 더 미쳤어 하는ㅋㅋ;;

cyrus 2017-06-27 08:02   좋아요 1 | URL
도끼 선생, 당신은 대체... ㅎㅎㅎ

여성의 광기는 여성이 남성보다 하등하다는 편견을 강화하기 위한 근거가 되었어요. 남성의 광기를 낭만화하는 경향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