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령)을 보는 중학생이 받는 민트색 메모지로 시작하는 민트색 표지의 도서관 귀신 이야기(?)책.

최애 시리즈 완독 전엔 이승을, 특히 도서관을 못 떠나는 혼이 있다. “너머”로 가기 전에 그 책 한번만 다시 읽어야 겠다는 혼도 있고. 이승의 못다 읽은 한이 이렇게나 크다.
그런 책귀신들을 잘 보내는 살풀이 주문은 바로 … 이야기, 책 그 자체다?! (책 표지에 써있는대로임)


경고: 이 소설 폭력 수위가 얼마나 무시무시하냐면

도서관 책을 찢어서 태운다!!!!
그것도 회원증 받은 당일에 대출 힌 책을!!!!!!
(사서샘들 비명)

경고2: 도서관 책 귀신 청소년 다 나와도 밋밋한 편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괭 2024-08-09 08: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진짜 호러네요 ㅋㅋㅋㅋㅋ 당일대출 책 불태우기 꺄아아아악😱😱😱😱😱

유부만두 2024-08-09 15:19   좋아요 1 | URL
도서관 카드 발급 받은 날에요!!!!
새 책으로 보상(?)은 합니다만 그 폭력 장면은 무서웠어요.

psyche 2024-08-10 0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 여름 특히 덥다던데 그래서 호러 읽는 중?

유부만두 2024-08-10 07:14   좋아요 0 | URL
이건 귀신 나와도 안무섭다가 책을! 찢고 막!

여름이라 아무거나 읽는 중이에요. 너무 더워요.
 

밑줄

내 작품을 예로 들자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치히로는처음에 터널 안으로 들어갈 때와 나중에 나올 때가 완전히 똑같습니다. 어머니의 손에 달라붙어서 두려워하는 얼굴을 하고 걷는 모습이 그렇습니다. 그것을 보고 전혀 성장하지 않은 거 아니냐고 하는 비평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아무리 의지할 만하지 않아도, 보통 초등학생이 부모에게서 떨어져서 온전히 자립하는 것은불가능한 일입니다.
때가 될 때까지 아이는 부모의 보호 아래에 있어야 합니다. 서둘러서 성장할 필요는 없는 겁니다. 빨리 성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것은 단지 부모에 대한 불신에 지나지 않습니다. - P100

일본의 영화계에서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작품을 ‘쟈리모노(1), 유아물)‘라고 했었습니다. 이때 입장료를 내는 것은 어른이므로, 유아물은 주로 어른들에게 지명도가 높은 명작, 예를 들어 집 없는 아이』 같은 것들이 선호되었지요. 그런 작품에다가 작은 동물이 ‘미끄러지고, 넘어지는 어린이용 웃기기 장면을 추가하여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것을 만들면 된다고 하는 발상이 누름돌같이 우리 머리 위에 얹혀 있었습니다.
나는 이런 유아물류의 발상이 싫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내게는
"오리지널로 만들게 해 달라."라고 말할 만큼의 자신감이 없었습니다. - P106

간단히 말해서 아동문학이란 "어떻게 해도 안 돼, 이것이 인간이라는 존재야."라는 엄격하고 비판적인 문학과는 달리, "태어나길 잘했구나."라고 말하는 문학입니다. 살아 있길 잘했구나, 살아도돼, 하는 식으로 아이들에게 응원을 보내는 것이 아동문학이 태어난 기본적인 계기라고 생각합니다. - P163

‘아이들을 향해 절망을 말하지 마라‘는 겁니다. 아이들 앞에 섰을때, 우리는 그런 입장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보통 때 아무리 니힐리즘과 데카당스로 넘치는 이야기를 떠들어댔어도, 눈앞에 아이가 있을 때는, ‘이 아이가 태어난 것을 소용없다고 말하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강하게 일어나는 법입니다. -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읽는 미쓰다 신조의 소설.
잘린 머리나 도조 겐야 시리즈를 읽지 않았지만 1950년대 말 일본 대학 도서관 지하의 민속자료 연구실에서 오가는 이야기는 낯설지 않다. 괴담 나누기는 미야베 미유키의 에도 시리즈를, 교수와 문학과 학생을 중심의 ‘추리‘는 기타무라 가오루 시리즈를 떠올리게 했다. 하지만 그 공포와 폭력의 수위는 매우 높다.

등장인물들은 모두 각자의 역할을 갖고 있다. 민속학자 도조 겐야는 이야기를 채집해서 (영적 능력이 있는) 여학생 도쇼 아이에게 편지나 전화로 전달한다. 아이는 대학원생이자 작가인 덴큐 마히토에게 구두로 풀어 전한다. 그리고 대화하듯 덴큐는 아이에게 기담의 수수께끼, 혹은 범죄의 배후를 밝혀낸다.

지방 어느 산골의 살인과 요괴의 출현은 지역사람들의 구전(내가 봤슈)과 교수, 아이의 개입을 거쳐 덴큐에 닿고 그의 추리 기록이 다시 미쓰다 신조, 김은모 역자의 손을 지나 독자인 나에 와 닿았다. 그러니 애초의 그 입 찢어진 귀신이나 목없는 혹은, 잘린 목의 악한 기운이나 두꺼비인간 없이 안전하게 읽을 수 있다. 그러니 살해된 피해자들에 대해 연민은 옅어지고 귀신/망자 혹은 살해범들을 향한 궁금증만 커진다.

책 마지막은 미쓰다 신조의 시리즈로 연결된다. 이미 작가의 팬이라면 더 재미있게 읽을 책이다. 난 범죄 해석이 너무 억지스러워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범인을 밝혀낸 다음의 일 처리도 석연치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사람은 전화번호를 교환한다. 그러고는 일어서서나간다. 여자는 젊고 아주 예쁘다. 남자는 중년이며 겉모습이 트렌디하다. 어쩌면 그 남자는 자신이 이 카페에서 젊고 예쁜 여자들을 유혹하는 습관이 있던 사르트르쯤 된다고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 P47

글쓰기는 허구라는 조건만 충족시키면 <용납될 수>있는가? 여기에서처럼 후회의 부인을 통해 범죄를 정당화함으로써 글쓰기가 범죄를 더 악화하지 않는가?
다비드 본의 그 글귀를 본 이상, 선택해야 한다. 글쓰기는 윤리 밖에 위치한다. 혹은 글쓰기는 계속 윤리의 영역에 속한다. - P90

(일식)
검은색 원반이 태양 앞을 미끄러지듯 지나 서서히 줄어드는 모습을 계속 지켜봤다. 1시 40분, 달이 태양 앞을 완전히 지나갔다. 서러운 느낌, 어린 시절 영화나 바닷가에서의 하루가 끝나 버리면 찾아들던 바로 그 감정. 내게 원심력으로 작용하는 공허감. - P1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ames (Hardcover) - 2024 전미 도서상(National Book Awards) 후보작
Percival Everett / Doubleday Books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클베리 핀의 모험>의 재해석. 허크의 길동무(?) 노예 짐이 들려주는 그의 이야기.

멍청해 보인 그가 실은 볼테르를 읽고 ‘표준어’를 사용할 줄 안다? 주인 판사의 서재에서 몰래 읽으며 쌓은 문해력으로 그가 도망길에 절실하게 원하는 물건은 … 종이와 필기구다? 언어와 지식이 갖는 힘을 강조하며 계급을 비틀었다고나 할까. 하지만 이 모든건 숨기고 짐과 동료 노예들은 백인이 원하는 흑인을 연기하며 목숨을 이어간다.그들은 잔인한 노예제와 백인의 가식을 꿰뚫어 보고 얄팍한 사기꾼들을 극한의 인내심을 갖고 (터뜨리며) 상대한다.

트웨인의 소설에서 위트와 사회 고발을 가져오지만 후반부에선 수동적 ‘자유’ 대신 투쟁을, 폭력과 복수를, 무엇보다 자유와 “자기 자신”을 선택하는 짐/제임스가 나온다. 무섭게 웃기고 무겁게 강렬하다. 허크와의 관계를 ‘새롭게’ 풀어낸 부분과 여성 인물들이 소비되는 방식이 아쉬워서 (그건 토니 모리슨을 더 읽도록하자) 별 하나를 감히 뺐다. 번역된다면 노예 말투는 또 충청 지역 사투리일 것인가. 아 그건 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