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19세기 영국 여성 작가들의 소설을 연달아 읽고 있다.
오늘 아침에 읽은 (토요일 브런치는 빅토리안 시절의 고딕 소설입니다, 라고 밀어본다) 조지 엘리엇의 '벗겨진 베일'. 고딕 답게 죽음 나오고, 심령 현상 나오고, 불가사의한 초능력 나오고, 천재 친구 나오고, 욕망과 비뚤어진 마음 나오고, 그래도 피할 수 없는 운명(아니고 운) 같은 사랑 나오고, 넘치도록 많은 재산과 땅과 하인들 나오고, 배신 나오고, 그래도 결국 죽는다는 운명(아니고 명줄) 나온다.
조지 엘리엇이 브론테의 영향을, 그리고 메리 셸리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충분히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 바탕에 깔린 잔잔한 여성 혐오랄까, 아니면 자기 분열적 자기 혐오의 감정들. (이 분석은 산드라 길버트와 수전 구바의 <다락방의 미친 여자>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과하게 어렵거나 억지스럽지 않아서 한 호흡에 읽을 수 있지만 브론테의 절절한 우울 (정말 '빌레뜨' 읽다가 울었어요. 샬럿의 우울증, 외톨이의 묘사는 너무 생생해서 살짝 무섭기도 했어요. 나...나도 미친 걸까...), 메리 셸리의 인물 묘사에는 못미친다. 하지만 그녀의 열쩡, 소설쓰기에 대한 자신감과 (누구를 향하는지는 불분명한) 엄청난 시기와 질투는 느껴진다. 그래서 이 소설의 주인공들은 다 싫었다. 그래도 싫은데 동질감을 찾게되는 '빌레뜨' 인물들도 아니고, 싫은데 장엄한 '프랑켄슈타인'도 되지 못한다.
미래를 얼결에 체험하듯 보는 나약한 (하지만 여성처럼 예쁘장한) 남자 주인공 래티머, 그는 강인한 인상의 아름다운 여자 버사('제인 에어' 로체스터의 본부인 이름)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미래의 불길한 환영은 저주처럼 찾아와 계속 래티머를 아프게 (자꾸 쓰러짐. 고딕 문학의 빠질 수 없는 설정이 바로 기절하기) 하고 죽음의 환영은 피할 수 없어 사실이 된다. 래티머는 자신의 죽음도 본다. 그리고 아내의 무서운 계획도 알아버린다. 그에게는 두번째 초능력, 다른 사람들의 속마음을 들을 수 있는 능력까지 있기 때문이다. 저급한 사람들의 속내는 너무나 괴롭다. '베일'은 들춰져 버려서 그는 그 잔인한 인간의 더러움을 봐야만한다. 눈을 감아도 들리는 그 증오와 오만, 거짓과 계략들. 그 와중에 죽었던 사람을 살려내는 '실험'에 참여하는 래티머. 그 죽음과 부활은 버사의 숨겨진 진실을 폭로한다. 두둥. (하지만 별로 긴장감은 없...)
읽게는 되는데 막 감탄할 만한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읽다가 책장 위에 떨군 보리차 몇 방울이 종이에 흡수 되지 않고 또로록 굴러가는 것은 신기했다. 워터프루프 입니다, 이 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