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5 제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정지돈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5월
평점 :
이장욱의 <우리 모두의 정귀보>와 김금희의 <조중균의 세계>를 재밌게 읽었다. 이장욱은 올해(2015년) 이상 문학상에도 올랐으니 ‘젊은 작가’라기 보단 이제 기성 작가라 불러야 하지 않을까. 대상작인 정지돈의 <건축이냐 혁명이냐>는 새롭긴 하다. 건축에 대한 나의 무지를 깨닫게 해준 점에선 칭찬할 만하다. 과연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뭐라고 불러야 할까. ‘논문 소설’ 혹은 ‘팜플렛 소설’?
알겠다. ‘나 이런 책 읽었어요’도 소설이란 말이지.
윤이형, 백수린, 최은미의 소설은 안 읽힌다.
손보미 소설은 못 읽겠다. 취향 탓일까.
젊은 독자들은 ‘번역체’문장이 자연스러울지 모르지만 나 같은 늙은 독자 입장에선 토 나온다. 외국 소설의 번역체도 못 참아하는 마당에 한국 소설에서마저 번역체 문장을 만나는 건 고역이다.
p부인, “착한 아이가 아니구나.” 누가 저렇게 말할까?
파블로프의 개처럼 이젠 손보미만 떠올리면 토할 거 같다.
책 뒷지엔 각각의 소설가 작품에 심사위원 평이 짧게 실려 있다. 손보미 소설엔 신경숙의 심사평이 쓰여 있다.
편집이 절묘하다. 구세대 표절 작가와 신세대 표절 작가의 조합이라니!
신 : 너도 표절의 맛을 좀 아는구나.
손 : 선생님 따라가라면 아직 멀었어요. 헤~
손보미가 이번엔 누구의 작품을 표절했는지 관심 없다.(알 수도 없고) 신경숙은 억울한 만하다. 한국 문단 자체가 젊은 작가들에게 표절을 권하는데 왜 자기 혼자 당해야 한단 말인가.
젊은 작가상은 등단 십 년 이내 작가의 작품 중 전년도 1월부터 12월까지 한 해 동안 문예지를 비롯한 각종 지면에 발표된 신작 중단편 소설을 심사 대상으로 삼는다고 한다. 그러니까 오늘날 젊은 작가들의 가장 뛰어난 작품인 셈이다.
워낙에 새로운 시도가 없다보니 ‘나 이런 책 읽었어요 소설’을 대상작으로 뽑았나보다.
점점 더 ‘그들만의 리그’다.
암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