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가의 문장수업 - 미움받을 용기 고가 후미타케
고가 후미타케 지음, 정연주 옮김, 안상헌 감수 / 경향BP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누구나 책을 쓸 수 있다?
고가 후미타케에 의하면 문체는 두 가지 요소에 의해 달라진다.
문장의 어미를 평서체와 경어체로 나누기
‘나’, ‘저’, ‘필자’등 주어로 나누기
또한 문체는 리듬이다. 저자에 따르면 리듬은 감각적인 요소가 아니라 논리적인 결과다. (고가 후미타케는 논픽션 작가다.) 따라서 문장의 리듬은 논리 전개에 의해서 결정된다. 여기서 다른 작가와의 차별점은 저자의 접속사에 대한 강조다. 고종석은 접속사를 되도록 쓰지 말라고 말했었다. 한동안 고종석의 말만 믿고 접속사 안 쓰려고 무던히 노력했는데......
써도 되는 거얌?
저자는 문장을 마치 영화처럼 다루라고 말한다.
카메라 기법처럼 문장으로 거리감을 조성하기, 도입부를 영화 예고편처럼 쓰기.
흥미를 유도하는 도입의 3패턴
1. 임팩트 우선형 : 강렬한 결론을 클로즈업처럼 보여준 후, 롱 숏으로 빠지기
2. 감질 내기형 : 슬금 슬금 정보를 노출하면서 결정적인 내용은 감추기.
3. Q&A 형 : 질문과 대답으로 구성. 재미는 덜하지만 가장 간단한 도입.
논리적인 문장의 3단계
주장 : 문장을 통해 전하고 싶은 주장
이유 : 주장을 호소하는 이유
사실 : 이유를 보강하는 객관적 사실
리뷰를 쓰다보면 이유를 보강하는 객관적 사실에 소홀해진다.
그러다보니 우격다짐이 되곤 하는데, 독후감도 ‘객관적 사실’에 치중해야 할까.
다수보다는 특정한 사람을 향해 써라.
아, 그렇다면 경어체로 써야할까? 편지처럼?
‘남의 일’이 아닌 독자의 일로 만들어라.
새겨들을 조언이다. 독자가 ‘남의 일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게끔 해야 한다.
독자가 스스로 가설을 세우게 하라.
기승전결이 아닌 기전승결로 구성하라.
아하.
서두에는 자신의 주장과는 정반대인 일반론을 제시하라.
예시.
기 흔히 달콤한 음식은 다이어트의 적이라고 말한다.
전 하지만 먹고 싶어지면 케이크나 도너츠를 먹어도 좋다.
승 (먹어도 좋은 이유, 객관적 사실 등)
결 너무 참기만 하는 다이어트는 오래 지속할 수 없다.
독자보다 먼저 트집을 잡아라
리뷰 쓸 때 이걸 전혀 안 했다. 그냥 윽박지르기!!
반론을 고려한 본격적인 구성의 예시.
1. 주장. 고등학교는 일본사를 필수 과목으로 삼아야 한다.
2. 이유. 세계사가 필수 과목이고 일본사가 선택 과목인 현 상황은 이상하다.
3. 반론. 한편, ‘국제화에 대응하려면 세계사가 중요하다’는 반대의견도 있다.
4. 재반론. 그러나 국제 사회에서 자국의 역사나 문화를 말할 수 없는 쪽이 더 문제다.
5. 사실. 실제로 다른 나라는 자국의 역사 교육에 힘쓰고 있다.
6. 결론. 이후로도 국제화는 계속 진행될테니 일본사 교육이 중요하다.
‘눈이 번쩍 뜨이는 요소’는 전체의 30%로 충분하다.
‘70% 정도는 남이 알고 있는 사실로 채우고, 그래야만 한다’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한 원고는 쓰기 힘들다?
저자에 따르면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보다 모르는 분야일수록 쓰기 쉽다고 한다.
‘아무것도 모르는 독자’의 입장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쓸까’가 아니라 ‘무엇을 쓰지 말까’이다.
잘라 내라! 잘라 내라! 잘라 내라!
문장을 읽으면 영상이 떠올라야 한다.
세부를 묘사하면 영상이 떠오른다고 한다. 말콤 글래드웰 글들은 마치 소설처럼 읽힌다.
세부 묘사에 치중하기 때문일테지.
가장 유용한 조언은 역시 맨 마지막에.
글을 쓰다 막히면 폰트를 바꿔라.
아하! 이런 생각을 전혀 못했다. 폰트를 바꾸기도 하고, 워드 프로그램을 바꾸거나, 가로 쓰기를 세로 쓰기로 바꿔보라고. 글이 안 써질 때 실험해 봐야겠다.
고가 후미타케는 글쓰기에 재능 따위는 없다고 잘라 말한다. 그에게 좋은 문장이란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고, 그 행동까지도 움직이게 하는 문장’이다.
저자의 조언을 받아들여 알라딘 ‘Thanks to’의 달인에 도전해 볼까.
리뷰만 읽으면 저절로 ‘땡스 투’를 누르고 책을 사게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