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
줌파 라히리 지음, 이승수 옮김 / 마음산책 / 2015년 9월
평점 :
세상이 이렇게 불공평해도 되는 건가? 누구는 모국어로 간신히 리뷰를 쓰고 있는 마당에 인도에서 태어난 줌파 라히리는 영어로 소설을 써 각종 문학상을 휩쓸더니 이번에는 이탈리아어로 소설을 냈다. 이탈리아에 대한 ‘사랑의 은유’라며.
밀라노 스칼라 극장에서 오페라를 관람한 적이 있다. 2층에 칸막이로 된 좌석이었다. 이탈리아 소년이 멀찍이 뒤에서 구경하길래 앞쪽으로 와서 보라고 얘기했었는데 그것 때문인지 공연이 끝나고 나서도 소년은 계속 나에게 우호적인 웃음을 지어보였다.
소년은 일본인이냐고 묻고서는 두서없이 애니매이션 이야길 꺼냈다.
‘아, 일본 애니매이션이 이탈리아에서도 인기구나!’
소년를 기쁘게 해주고 싶은 마음에 그나마 아는 이탈리아 어를 말했다.
“부에노 쎄라”
‘와, 뭐지, 이 장중함은? 단지 인사말을 했을 뿐인데.’
이야기가 장황했다. 요점만 말하자면 줌파 라히리의 20년간의 이탈리아어에 대한 애정에 충분히 공감한다는 것이다. 내가 불어를 공부한 건 오로지 알랭 래네 감독의 <히로시마 내 사랑>때문이었다. ‘와, 이건 시잖아!’
현실에서 프랑스인들이 하는 말을 듣고는 어찌나 실망했던지. 이건 뭐 돼지들의 꿀꿀거림? 불어에 대한 환상이 처참히 깨졌다. 그 어떤 프랑스인도 <히로시마 내 사랑>의 주인공처럼 음절 하나하나를 음미하듯 시처럼 말하지 않았다.
불어를 공부하게 된 이유를 말하면 교수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그 영화 그저 그렇던대. 영화 속 불어가 딱히 뛰어난 것도 아니구.”
“그 시나리오 뒤라스가 썼거든요. 교수님은 뒤라스를 읽어 보기는 했어요?”
라고 말하진 않았다. 굳이 뭐 하러??
언어는 쓰지 않으면 잊혀지기 마련이다. 나는 이제 불어를 거의 모른다. 줌파 라히리는 이탈리아어에 대한 애정을 유지하기 위해 20년간 이탈리아어를 공부하고 외국어인 이탈리아어로 소설을 쓸 정도였으니 가히 대단한 노력이고 열정이다.
단편 <변화>는 그녀의 이탈리아어에 대한 미칠듯한 열정과 사랑을 드러낸다. 낯선 도시에 어느 집안으로 들어간 번역가는 자신의 스웨터를 벗고 집주인이 권한 스웨터를 입어본다. 집으로 돌아가려는 번역가는 원래의 스웨터를 찾을 수 없고 집주인은 번역가에게 낯선 스웨터를 내밀고 그것이 번역가의 스웨터라고 말한다. 할수없이 번역가는 남의 스웨터를 입고 집으로 돌아온다. 다음날 번역가는 스웨터를 입어보자 잃어버린 스웨터를 다시 찾고 싶지도 보고 싶지도 않았다.
스웨터는 언어에 대한 은유다. 옷은 언어다. 자신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스웨터(이탈리아어)는 이제 자신의 것이 된다.
새로운 언어는 새로운 인생을 사는 것이다. 더 이상 기존의 언어로 생각할 수 없다. 처음부터 새로 시작해야만 한다. 그것은 변신이고 새로운 도약이다. 그 결정체가 이 작은 책이다.
그러므로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고 클 것이다.
밑줄 그은 문장
p76. 말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삶은? 결국 같은 것이리라. 말이 여러 측면과 색조를 갖고 있고 그래서 복합적인 특성을 갖고 있듯 사람도 인생도 마찬가지다. 언어는 거울, 중요한 은유다. 결국 말의 의미는 사람의 의미처럼 측정할 수 없고 형언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p128. 그는 이탈리아어를 소유하고자 하는 나의 갈망을 언급하면서 이렇게 썼다.
“새로운 언어는 새로운 인생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문법과 고문이 당신을 바꾸고, 다른 논리와 감정으로 이끌어 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