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미국만큼 중요한 나라는 없지만 그 만큼 미국에 대해 무지하지 않나 싶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생활을 경험하기는 하지만 내가 보기에 그들 중 대부분은 미국의 겉 모습만 알 뿐 실제 사회구성원리나 사람들의 생활에 대해서는 무지해보인다. 미국을 굳이 가지 않더라도(오히려 미국 생활이 많은 편견을 갖게 할 것이다.) 미국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책이나 인터넷, 미디어(TV, 영화, 드라마)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헐리우드 영화를 통해 미국을 이해하는 것 또한 하나의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영화는 영화 나름의 의미외에도 한 국가의 사회상과 민족, 국가의 집단심리, 그리고 한 시대의 문화를 읽어내는 중요한 문화텍스이다. 특히 대중매체가 주종을 이루는 미국의 경우, 미국영화는 미국사회와 문화를 반영하는 거울의 역할에 충실하기에 미국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해 집에 남겨진 아이들에 대한 우려가 대두될 때 '나 홀로 집에'라는 영화가 만들어졌고, 자연재해에 대한 불안이 있을 때는 '볼케이노', '딥 임팩트', '아마겟돈' 등이, 인간복제·가상혀닐 등이 사회적 관심사일 때 '매트릭스', '아일랜드' 등이 영화가 개봉되었다. 지은이는 이런 관점에서 미국의 여러 모습들을 엿보려 하고 있다. 미국적 가치관, 아메리칸 드림, 물질주의와 잃어버린 목가적 꿈,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법치문화, 개인의 자유, 인종문제, 가정관 그리고 미국의 영웅 등을 통해 미국 사회를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지은이는 영화 '아메리칸 뷰티'가 미국사회의 여러 모습을 보여준다고 한다. 주인공 레스터는 미국의 교외 중산층을 대표하지만 가장으로써의 위치를 상실한 현대 가정의 모습이다. 미국의 가정의 붕괴, 동성애, 마약, 섹스 그리고 혼외정사 등 가치관이 상실된 미국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저자는 이외에도 그런 레스터가 딸의 친구를 보며 연애감정을 느끼고 운동을 하려는 장면은 끊임없이 젊어지려고 하는 미국을 상징한다는 것을 읽을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자유분방한 레스터와 해병대 대령 출신 피츠의 대립은 도덕적 해이에 빠져있는 자유주의와 비인간적 위선의 길을 걷고 있는 보수주의 모두를 비판하고 있다고 폭 넓은 해석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영화를 통해 미국의 현재 처한 사회상과 그 뒤에 숨어있는 원인 혹은 책임에 대한 비판을 읽을 수 있다.
미국영화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가정을 지키려는 부모의 역할이다. 가끔은 무모하게 보이기도 할 정도로 바쁜 순간에도 가족을 챙기는 모습을 미국영화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직접적으로 가정을 파괴하는 악당으로 부터 가족을 보호해내고(가정이 파괴되어 가고 있는 미국의 현재의 사회상) 때로는 액션영화 등에서도 가족이야말로 가장 소중한 존재이다.(가정이 사회생활의 기본임을 강조) 우리는 얼핏 미국에서는 가족의 개념이 약한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미국의 생활근간이 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가족이라는 점을 영화에서 쉽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문화적인 텍스트로 영화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아주 훌륭한 책이다. 그러나 내가 이 책에 대해 별 셋이라는 인색한 평가를 내린 것은 아무래도 지은이의 방식으로 일반인이 영화를 통해 미국사회를 엿 보는 것이 쉽지는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겉으로 보여지는 사회상을 읽어내는 것은 충분하지만 그 이면에 숨어있는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싸움까지 읽어내기에는 힘들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그렇지만 사후적으로 읽어 미국사회를 이해하는데는 아주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