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 0.250 타자와 0.333 타자의 차이



                                                                                                            메이저리그 백 년 기록1)을  기준으로 하자면  :  메이저리그 평균 팀타율은 대략 " 2할 5푼대 " 이다. 이 말은 메이저리그 타자들이 각자 한 경기당 평균 " 4타수 1안타 " 를 생산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니까 타자가 하루에 안타 1개를 생산했다면 어디 가서 으스대지는 못하지만 그렇다고 주눅들 필요도 없다는 말이다. 9명의 타자들이 평균 한 경기당 1안타를 생산하니 구단이 한 경기를 통해 뽑아낼 수 있는 평균 안타 수는 대략 " 9개 " 다.  여기에 평균 득점은 " 4점대 : 4.63 " 이다.

선발 투수가 6이닝 이상을 소화하고 3실점 이하2)로 막으면 " 퀄리티 스타트(QS) " 라고 하는데, QS는 방어율과 함께 선발 투수를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즉, 메이저리그 소속 팀 평균 득점이 4점대 : 4.63   이기에 선발 투수가 3실점 이하 6이닝 3자책점을 ERA로 환산하면 4.50    로 막으면 팀이 경기에서 승리를 거둘 확률이 높다는 계산에 따른 셈법 적용인 셈이다. 위 내용을 종합하면 이렇다      :      ① 타자 한 명당 평균 타율은 0.250대(4타수 1안타)이다 ② 한 경기당 팀이 뽑아낼 수 있는 안타는 평균 9개다 ③ 한 경기당 팀 득점은 4.63이다. ④ 타자는 한 경기당 평균 4번(에서 5번) 정도 타석에 들어선다.

이 평균값을 토대로 야구를 정의하자면  :  야구란 1/4의 확률을 이용하여 최대한 점수를 많이 뽑아내는 전략 게임'이라 할 수 있다. 야구는 " 1/4의 미학 " 인 셈이다. 그렇다면 투 아웃 이후에 단타를 연속으로 네 개를 생산해서 점수를 내는 상황은 확률적으로 봤을 때 행운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왜냐하면 1/4이라는 " 경우의 수 " 가 한 이닝에서 연속으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만약에 연속 단타 4개로 1점을 얻었다면 확률적으로 봤을 때 그것은 카드 뽑기'에서 같은 모양의 카드를 연속으로 4번 뽑는 꼴과 같다. 야구 경기에서 중요한 것은 안타를 연속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이 아니다.

1/4의 확률을 적용해서 순열을 기계적으로 나열하자면 첫 번째 타자, 두 번째 타자, 세 번째 타자는 안타를 생산하지 못하고 네 번째 타자 타석에서야 비로소 안타를 생산하게 된다. 그 이후도 이런 패턴이 반복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안타를 생산하지 못하는 쩌리-들에 속하는 3/4의 내용이다. 야구 경기에서 안타를 생산하지 못하는 상황은 다양하다. 안타를 생산하지 못했다고 해서 그 선수가 반드시 경기에서 아웃된 것은 아니다. 비록 안타는 생산하지는 못했지만 볼넷을 골라서 1루에 출루할 수도 있고, 몸에 맞아서 1루에 출루할 수도 있다. 또한 상대 수비수의 수비 실책으로 1루에 진출할 수도 있다.

만약에 첫 번째 타자가 사구(四球)로 출루를 하고,  연속으로 두 번째, 세 번째 타자가 사구(死球 : 데드 볼)와 수비 실책으로 출루를 해서 만루 상황이 된다면 네 번째 타자는 확률적으로 보았을 때 안타를 칠 확률이 매우 높다.  팀에서 실력이 가장 탁월한 타자에게 4번 타순을 배치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야구란 스포츠는 " 아따, 참말로 얄궂게도 " 아웃 세 개'로 이닝은 끝난다.  만약에 이닝을 " 삼자범퇴 " 로 끝내지 못하고 볼넷이나 실책으로 타자를 출루시키면 기회는 1/4를 생산할 확률이 높은 네 번째 타자에게 온다. 야구에서 가장 무서운 타자는 4번 타자가 아니라 네 번째 타자'다.


이래저래 숫자 4와 관련이 깊은 운동 종목인 셈이다.  다시 한번 반복해서 말하지만 야구는 1/4의 미학이다. 사실, 0.250(4타수 1안타)과 0.333(3타수 1안타)의 차이를 결정하는 것은 방망이로 야구공을 정확히 때리는 능력보다는 야구공을 정확히 볼 줄 아는 선구안에 달려 있다.  우리가 타자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척도로 생각하는 " 타격감 " 은 야구 선수라면 모두 다 대동소이한 능력'를 갖췄다고 봐야 한다. 성적이 좋은 타자는 안타를 생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볼넷이나 희생타3) 를 잘 만든다. 볼넷, 데드볼, 희생타(희생번트, 희생플라이) 따위는 타수를 계산할 때 인정이 안된다.

그렇기에 안타 1개와 볼넷 1개를 얻은 타자는 " 4타석 1안타 " 의 성적을 냈지만 타율을 계산할 때 쓰이는 지표는 타석이 아니라 타수여서 최종적으로 " 3타수 1안타 " 의 성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좋은 타자는 실패'를 좋은 방향으로 만드는 선수다. 반대로 성적이 나쁜 타자는 실패의 내용이 나쁘다. 볼넷보다는 삼진 아웃이 많고, 희생타를 쳐야 할 때 병살타를 치기 일쑤이며 외야 깊숙한 곳에 뜬공을 날려야 할 때에는 보란듯이 내야 뜬공으로 물러난다. 이러한 실패는 당연히 타수를 계산할 때 포함이 된다. 둘 다 한 경기당 안타는 한 개를 생산했지만 타율은 0.333와 0.250이라는 엄청난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 간극은 당연히 몸값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만약에 당신이 구단주로서 선구안은 없지만 타고난 타격감으로 단타를 많이 쳐서(멀티 히트) 타율을 0.333로 만든 선수와 비록 한 경기당 평균 안타 한 개만 생산하지만 볼넷, 데드볼, 진루타, 희생플라이 따위를 많이 생산해서 타율이 0.333이 선수 중에 한 명을 골라야 한다면 누구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 선택일까 ? 내가 구단주라면 후자를 선택하겠다. 1/4의 역설을 염두에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A라는 선수가 안타를 쳐서 출루를 한다면 다음 타석에 들어선 B라는 선수가 안타를 생산하지 못할 확률이 3/4으로 높아진다. 반대로 A라는 타자가 볼넷을 골라서 출루한다면 후속 타자들인 B,C,D 중에서 안타를 칠 확률은 높아진다.

이 안타가 장타일 경우에는 점수가 날 확률도 그만큼 높아진다. 내가 내린 결론은 이렇다. 야구에서 타율이나 안타는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성실하게 볼넷을 고르고, 몸쪽으로 날아오는 공을 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홈런 한 방에 대한 욕심은 버리고 차분하게  진루타나 희생플라이를 생산하는 타자는 화려한 슈퍼스타 못지 않다. 

​-


안타를 친 타자 다음에 타석에 들어서는 타자는 아웃을 당할 확률이 높아지고, 연속 안타를 친 타자-들 다음에 타석에 들어서는 타자는 안타를 친 타자 다음에 들어서는 타자보다 아웃을 당할 확률은 더더욱 높아진다. 인생을 야구의 축소판이라고 하지 않던가 !  내 앞에서 성공이라는 이름의 안타를 펑펑 치는 놈들을 부러워할 필요는 전혀 없다. 너의 성공이 곧 나의 실패 확률을 높이니깐 말이다. 마찬가지로 타인의 실패를 조롱하거나 업신여길 필요도 없다. 너의 실패가 곧 나의 성공 확률을 높여주니깐 말이다. 그들은 내가 안타를 칠 확률을 높여주기 위해서 희생하는 사람들이다. 중요한 것은 화려한 성공이 아니라 건강한 실패'다.

그렇기에 성공한 멘토를 숭배할 필요 없고 실패한 사람을 루저라고 비난할 필요도 없다. 오히려 성공학보다는 실패학이 우리에게는 도움이 된다.

 

 


​                           

1)    최근, 한국 프로야구의 타고투저 현상은 정상이 아니다.  인재풀은 한정되어 있는데 10개 구단으로 운영되다 보니 사회인 야구에서나 활동해야 하는 선수들이 상당수 활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다 보니 핸드볼 점수에 가까운 경기가 연출되는 것이다.

2)   퀄리티 스타트의 역사는 MLB에서 시작된다. MLB에서 1980년대를 거치면서 현재와 같이 선발 투수, 중간 계투, 마무리 투수 등으로 분업화가 됨에 따라 당연히 선발 투수들의 이닝수와 완투율이 줄어들었고, 더불어 선발 투수 투구 결과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이 필요했다. 그래서 저스티스가 처음으로 고안했다. 그리하여 6이닝 동안 3자책점 이하로 막는 것이 기본적인 기준이 되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6이닝 3자책점을 ERA로 환산하면 4.50이라는 수치가 도출된다. 당시 MLB에서는 경기 당 평균 득점이 4.63 점이었다. 즉 선발 투수가 6이닝 3실점으로 막는다면, 자신의 팀이 얻을 것으로 기대되는 득점 (4.63) 보다 덜 실점 (4.50) 했기 때문에 최소한의 승리의 요건을 만족하게 된다. 만약 이 수치를 만족하고 중간 계투 요원이 전혀 실점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면, 투수는 경기에서 승리 투수가 된다 ( 위키백과에서 내용 발췌 )

3)   희생타  :  무사() 또는 1사() 때 타자가 주자를 진루시키기 위해 타자 자신은 아웃되는 것을 예정하고 때리는 번트 또는 플라이. 이것을 성공하여도(플라이는 주자를 홈 인 시킨 경우에 한함) 타수로는 계산되지 않는다. 또 이로 인해 득점했을 경우는 희생 타자 에 대해 타점을 준다. 줄여서 희타()라고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犧牲打, sacrifice hit] (체육학대사전, 2000. 2. 25., 민중서관)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7-07-28 14: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LG 제발 화이팅....
너네는 유일하게 평균자책이 3점대 근처를 어루만지는 팀인데 당최 왜 아직 거기니....

곰곰생각하는발 2017-07-28 14:59   좋아요 0 | URL
대한민국 유일의 3점대 방어율...
하지만 제가 누누이 주장하지만 소총으로는 득점을 얻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냥 엘지 눈 딱 감독 연봉 200억 주고 1년만 애런 저지 영입하면 딱인데 말입니다..

겨울호랑이 2017-07-28 15: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 투수가 안타를 맞는 것보다 사구로 출루시켰을 때 더 기분 나빠하는 이유도 설명되는 것 같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7-07-28 15:30   좋아요 1 | URL
메쟈 기록 통계를 내면 보통 평균 타율은 250입니다. 그리고 한 팀이 평균 안타 9개 생산하죠. 이것도 통계에 따른 평균값. 즉, 타자는 잘 치네 못 치네 해도 결국은 한 경기당 안타 한 개를 생산한다는 겁니다.


연속 안타가 나오는 상황은 확률적으로 봤을 때 좀 낮은 확률이죠. 그렇기에 점수를 낼려면
안타가 나오는 시점 전에 선수들이 안타 없이 출루를 하는 상황을 만들어여죠. 볼넷이나 사구나.. 수비 실수.. 이런 걸로 채운 후 안타를 치면 됩니다. 잘되는 집구석보면 연속 안타 보다는 주자 쌓아놓고 딱 한 번 안타 쳐서 점수 따거나 희플 따위로 점수 얻거나.. 뭐, 그런 거죠..

곰곰생각하는발 2017-07-28 15:42   좋아요 1 | URL
빌리 빈 단장이 유심히 본 것 중 하나는 출루율입니다.
안타가 높으면 출루율은 당연히 높습니다만,
출루율을 높이는 방식은 비단 안타를 생산하는 방법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존의 야구 상식인, 이를 올드스쿨이라 하는데
감독은 타자의 타율에만 신경을 썼습니다.
타율 높은 타자를 선호했죠. 그런데 타율은 높은데 출루율은 저조한 선수가 있습니다.
안타는 많이 치는데 볼넷이나 희생타 이런 것은 잘 못하는..
빌리빈은 타율보다는 출루율에 방점을 찍었죠.
연속으로 안타를 생산해서 점수를 낸다는 게 사실은 높은 확률은 아니거든요..


타율은 조금 낮아도 출루율이 높고, 안타를 많이 생산하지 못하지만 장타를 많이 치는..
그러니까 출루율과 장타율이 높은 선수가 훨씬 뛰어난 거죠...
오클랜드 신화는 바로 거기에 촛점을...

타율 낮다고 거들떠도 안보는 타자들 영입해서 싼 값에 대박 터트렸죠..

겨울호랑이 2017-07-28 15:47   좋아요 0 | URL
예전에 「머니볼」을 본 적이 있는데 곰곰발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이 담긴 것 같네요.. 세이버메트릭스인가..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ㅋㅋ

블랙겟타 2017-07-28 17: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NC(콩씨..ㅜ)팬으로서 야구 관련 글은 추천입니다. 맞아요. 건강한 실패!가 중요한 법이지요.

곰곰생각하는발 2017-07-28 17:22   좋아요 0 | URL
엘지는 출루율도 낮은데 장타율도 낮습니다. 가까스 팀방어율로 버티고 있긴 한데...
이게, 방어율 무너지면 정말 대책없이 추락할 가능성이 높아서 늘 조마조마합니다.
저야 뭐... 이제와서 야구 팀을 바꿔야 하겠습니까. 이래저래 엘지를 응원하긴 하는데..

사실 전 다저스에 관심이 많습니다..

블랙겟타 2017-07-28 17:33   좋아요 0 | URL
네. 저희도 뭐 .. 선발야구보단 불펜야구로 꾸역꾸역 2등하고 있네요..(2등이라는게 기적이지만요..)

다저스하니까 생각나는게 저희 외조부께서 몇년전에 다저스 경기를 즐겨 보시던게 생각나네요. 이름전부는 외우지 못하셨지만 번호로 많은 선수를 기억하셔서 당시 신기했던적이.. 생각나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7-07-29 15:02   좋아요 0 | URL
오, 전 오히려 이름보다 번호라 선수를 기억하는게 더 신기하네요.. ^^
외조부 님 능력자이십니다..ㅎㅎ

마립간 2017-07-28 19: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아요를 눌렀지만, 아랫 문장은 ‘좋아요‘에서 제외입니다.

안타를 친 타자 다음에 타석에 들어서는 타자는 아웃을 당할 확률이 높아지고, 연속 안타를 친 타자-들 다음에 타석에 들어서는 타자는 안타를 친 타자 다음에 들어서는 타자보다 아웃을 당할 확률은 더더욱 높아진다.

공을 친다는 것이 독립사건을, 또는 negative feedback이나 positive feedback을 보이는지 아리송하군요.

곰곰생각하는발 2017-07-29 13:58   좋아요 0 | URL
흠흠.. 제가 수학에는 영 젬병이라... 알기 쉽게 좀 설명해 주십시오.

blueyonder 2017-07-29 17:12   좋아요 0 | URL
사사구로 만루가 만들어졌건, 연속 안타로 만루가 만들어졌건 이것은 이미 일어난 사건입니다. 일어난 사건이 이제 새롭게 일어나려는 사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미로 ‘독립 사건‘이라는 마립간 님의 말씀을 이해합니다. 만루 상황에서 타석에 선 타자가 앞의 상황에 심리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그가 안타 칠 확률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타율입니다.
물론 4연속 안타 나올 확률이 한 번 안타 나올 확률보다 극히 작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미 3연속 안타가 나온 상황(일어나기 어렵지만 일어난 상황)에서 앞으로 안타가 나올 확률은 그냥 1안타 나올 확률(타율)과 동일하다고 생각됩니다.

마립간 2017-07-31 07:54   좋아요 0 | URL
독립 사건은 blueyonder 님이 설명하셨네요.

posive feedback ; 안타를 쳐서 기분이 좋거나, 안타를 쳤다는 것이 그날 컨디션 좋은 것을 뜻하다면 다음 타석의 안타 확률이 높겠죠.

negative feedback ; 안타를 치면서 집중력과 체력을 소모하였다면, 다음 타석의 안타 확률은 낮아지겠죠.

저는 곰곰발 님이 (위 글 속에서) negative feedback에 (숨겨진)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지가 궁금했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7-07-31 13:57   좋아요 0 | URL
두 분 보충 말씀 잘 들었습니다. 수학에 잼병이라 말뜻을 잘 몰랐는데 이젠 이해가 가네요.. ㅎㅎ


마립간 님의 말씀에 약간 덧대어 제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

야구는 뒤로 갈수록 투수보다는 타자에게 유리한 종목입니다. 야구는 그렇게 큰 체력적 소모는 없죠.
타자는 오히려 뒤로갈수록 공을 익숙하게 보이게 된다고 생각됩니다. 첫 번째 본 공보다는 세 번째 본 공이 익숙하듯이..
그래서 투수는 대부분 첫 번째 타자를 만날 때는 잘 던지다가 순 번이 2,3번 다시 마주하게 되면 난타를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와같다면 2017-07-28 2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야구와 확률의 관계가 이리 매력적이다니!

예전에 류현진이 못사는 집 소년 가장처럼, 승을 기록하지 못하고 퀄리티 스타트 기록만 세우고 있던 모습이 생각나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7-07-29 13:59   좋아요 1 | URL
류현진이 아마도 한국 야구에서 연속 퀄리티스타트 최다기록 보유자일걸요 아마... 제가 알기로는 그렇습니다..
26회 연속이었나 그랬죠.. 아닌가..

곰곰생각하는발 2017-07-29 14:01   좋아요 1 | URL
29 경기 연속 qs였균요.. 한국 신기록이 아니라 세계 신기록이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