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과학 - 우리가 세상을 읽을 때 필요한 21가지
마커스 초운 지음, 이덕환 옮김 / 까치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는 <The One Thing You Need to Know: 21 Key Scientific Concepts of the 21st Century>이다. 21가지 주제를 가지고 살펴보는 현대 과학(특히 물리학) 여행이라고 할 수 있다. 원제를 보면 21세기와 맞추기 위해 21가지 주제를 골랐음을 알 수 있다. 지구 온난화, 판 구조론이나 진화론, 뇌, 인간의 진화 등 물리학 외의 주제도 살짝 있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16가지는 물리학 주제이다. 저자가 물리학 전공자라서 어쩔 수 없어 보인다. 


이 책의 장점은 과학적으로 중요한 주제에 대한 간결하면서도 정확한 설명이다. 각 챕터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시간이 부족한 이들이 핵심적 과학 주제에 대해 적은 시간을 들여 파악할 수 있다. 단점 또한 짧은 챕터와 간결한 설명이다. 긴 호흡으로 읽도록 서술된 책이 아니기 때문에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은 이들은 관련된 다른 책들을 읽고 싶어질 것이다. 


중간에 번역이 좀 이상한 부분이 있다(특히 상대성이론 관련한 부분). 이것 때문에 별 하나를 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세상이 다시 돌아간다. 멈췄던 숨을 내쉬며 다시 돌아가는 세상을 바라본다. 


내가 이 세상에 뿌렸던 씨앗 중에 제일 소중한 것은 무엇일까. 나는 무엇 때문에 이 세상에 있는 것일까.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에 대한 다음의 동영상을 보면 내 자신이 부끄러워진다. 


https://www.youtube.com/watch?v=2dsOG3F1NNo


문득 떠오른 성경 구절: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 고린도전서 13:13


사랑은 희생을 필요로 할 것이다.  


다음은 Adele이 부른 위의 노래 가사이다. 


When the rain is blowing in your face

And the whole world is on your case

I could offer you a warm embrace

To make you feel my love


When the evening shadows and the stars appear

And there is no one there to dry your tears

I could hold you for a million years

To make you feel my love


I know you haven't made your mind up yet

But I would never do you wrong

I've known it from the moment that we met

No doubt in my mind where you belong


I'd go hungry, I'd go black and blue

I'd go crawling down the avenue

No, there's nothing that I wouldn't do

To make you feel my love


The storms are raging on the rolling sea

And on the highway of regret

The winds of change are blowing wild and free

You ain't seen nothing like me yet


I could make you happy, make your dreams come true

Nothing that I wouldn't do

Go to the ends of the earth for you

To make you feel my love


To make you feel my love


---


비바람이 얼굴에 몰아치고

온 세상이 어깨를 짓누를 때

당신을 따뜻하게 안아 줄게요

당신이 내 사랑을 느낄 수 있도록


땅거미 지고 별이 나타나도

눈물 닦아줄 이가 아무도 없을 때

백만 년 동안 당신을 안아 줄게요

당신이 내 사랑을 느낄 수 있도록


아직 마음 정하지 못한 걸 알아요

하지만 결코 당신에게 해 될 일은 하지 않을 거에요

처음 만났을 때부터 알았어요

당신이 누구 사람인지 어떤 의심도 없었죠


배고파도 좋아요 슬퍼도 괜찮아요

거리를 기어갈 수도 있어요

그래요 난 모든 걸 다 할 수 있어요

당신이 내 사랑을 느낄 수 있도록


거친 바다와 후회의 고속도로에

폭풍이 몰아치고

변화의 바람이 사납게 날뛰어요

나 같은 사람을 당신은 본 적이 없을 거에요


당신이 행복하게, 꿈을 이루도록 할 거에요

난 모든 걸 다 할 수 있어요

당신을 위해 지구 끝까지라도 갈 거에요

당신이 내 사랑을 느낄 수 있도록


당신이 내 사랑을 느낄 수 있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격정세계
찬쉐 지음, 강영희 옮김 / 은행나무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찬쉐殘雪(1953~). 우리 식으로 읽으면 잔설이다. 녹지 않고 남아 있는 눈. 필명인데, 읽기 전에는 남성 작가인줄 알았다. 소설의 줄거리는 단순하다. 한 문단이면 요약할 수 있다. (하지만 스포일러일 수 있어 하지 않겠다.) 책은 본문만 681페이지이다. 문학가들의 이상향을 그린다는 평이 많은데, 동의하기도 하고 동의하지 않기도 하다. 이상향이란 실제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알라딘 서재를 보면 이 세계에는 문학을 사랑하는 이들이 많지 않나. 


찬쉐가 남성 작가라고 생각하고 읽기 시작했을 때는 '이儀' 아저씨가 작가를 투영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문학으로 인해 생활에서도 횡재한다.) 중간에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작가가 여성인 것을 깨닫게 됐다. 마침 '한마寒馬'가 소설의 중심 인물로 나올 때였는데, 그럼 한마가 작가 본인을 투영한 인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마의 삶이 작가가 생각하는 이상적 삶인가.) 


<XXXX>나 <XXXXX5>, <XX XX XX>와 같은 책을 읽고 토론하고 감상을 나누며 삶에 적용하고자 애쓰는 문학청년들을 보면서 딴 세상 얘기구나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많이 언급되는 <XXXX>와 같은 책을 읽지 못한 나는 어떻게 삶의 '결계'를 풀고 그 수준 높은 '경지'에 들어가겠는가. (내가 과도하게 냉소적임을 인정한다. 작가는 등장인물들의 삶을 통해 문학의 가치를 보여주고 싶었으리라.) 


소설을 한 문구로 요약하면 '문학청년들의 연애와 성장담'이다. 솔직히 기대보다 재미없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25-03-23 23: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책을 보고 느낀 생각이 저랑 비슷하네요. 독서 모임 선정 도서 아니었으면 끝까지 안 읽었을 거예요.. ^^;;

blueyonder 2025-03-24 06:40   좋아요 1 | URL
저도 어떻게든 끝내야한다는 생각으로 읽었습니다. ^^; 독서 모임은 없었지만요.

그레이스 2025-03-24 22: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문제가 해결되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ㅋ

blueyonder 2025-03-25 06:25   좋아요 1 | URL
네 이렇게 문제가 해결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래서 이상향에 대한 얘기인지 모르겠네요. ^^
 















열역학 제2 법칙을 다루는 5장의 내용으로, 열역학 제2 법칙이 어떻게 지구 위의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좋은 설명이다. 


  궁극적으로 우주는 하나의 거대한 증기기관이고, 뜨거운 별과 차가운 진공 상태의 우주 공간 사이의 온도 차이가 지구만이 아니라 우주 전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을 가능하게 만든다. 실제로 지구는 정확하게 태양으로부터 흡수한 만큼의 에너지를 우주 공간으로 내보낸다. 그렇지 않으면 지구는 점점 더 뜨거워졌을 것이다."* 햇빛의 광자는 절대온도 0도보다 대략 6,000도나 더 높은 온도(태양 표면의 온도)로 지구에 도달하고, 지구는 절대온도 0도보다 대략 300도 높은 온도의 광자를 방출한다. 광자의 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한다. 결국 지구는 태양으로 받는 광자 1개당 6,000/300개, 즉 20개의 광자를 방출한다는 뜻이다. 같은 양의 에너지를 광자 20개에 나누어 가지고 있는 상태가 광자 1개에 가지고 있는 상태보다 더 무질서하다는 사실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이 지구의 모든 변화가 발생시킨 일이 우주의 엔트로피를 얼마나 증가시키는지를 정량적으로 보여준다.

  지구는 정확하게 태양으로부터 흡수하는 양만큼의 에너지를 우주로 방출한다. 따라서 지구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의 동력 역할을 하는 것은 태양으로부터 도착하는 에너지의 "양"이 아니다. 사실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은 에너지의 "품질"이다. 높은 온도의 태양의 광자는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다. 태양의 광자가 식물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를 포도당으로 합성하는 것과 같은 생물학적 과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능력을 가진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하나하나가 열 에너지의 품질을 떨어트려서 결국에는 유용한 일을 하지 못하는 낮은 품질과 낮은 등급의 열이 된 채로 우주 공간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65~66 페이지, 볼드체 추가)

---

* 실제로 지구는 땅에 흡수되었다가 방출된 후에 대기 중의 수증기와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에 갇힌 열 때문에 조금씩 뜨거워졌을 것이다. 


종종 언급되듯이, '에너지 위기'라는 것은 에너지가 줄어들어 부족해지는 것이 아니다. 에너지는 어떤 형태를 갖던 '보존'된다. 즉,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에너지가 형태를 바꾸면서 품질이 나빠진다. 낮은 엔트로피를 갖는 에너지가 높은 엔트로피를 갖는 에너지로 바뀌는 것이다. 


생명체는 살아가기 위해 낮은 엔트로피를 필요로 한다. 낮은 엔트로피가 모두 높은 엔트로피로 바뀌어 더 이상 엔트로피의 변화가 없는 상황을 '열 죽음'이라고 부른다. 우주는 열 죽음으로 끝나리라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시민을 100퍼센트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의 말 중에는 공감이 가는 말들이 많다. 언론이 우리나라에서 제일 문제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는 일반인으로서, 종종 언론인들이 사회를 위에서 내려다보며 자신들은 공정하게 보도한다는 태도를 보이는 것에 거부감이 있다. 차라리 자기의 정치색을 드러내고 나는 이 편에서 보도한다고 하는 것이 솔직하지 않은가. 상식과 비상식의 문제에서도 공정하기 위해 양쪽의 발언을 동일한 비율로 보도한다는 태도가 정말 공정한 것인가.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5-03-19 20: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베터라이프 2025-03-20 20: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언론 대다수가 말하는 공정성이 면밀하게 입증된 사항이 아니라 그저 “우리는 이렇다”고 끝나고 있죠. 여기에 일반인은 물론 언론 영역의 전문가의 비판이라도 거의 비이성적인 태도를 보이는 게 우리 언론의 단면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실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blueyonder님 글을 잠시 보다 이런저런 생각이 드네요. 제가 자주 눈팅하고 있습니다 ^^

blueyonder 2025-03-21 10:41   좋아요 1 | URL
저도 베터라이프 님 올리시는 글을 자주 들여다봅니다. ^^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2025-03-25 10: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03-26 20:4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