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세이건의 목소리로 직접 듣는 'pale blue dot'의 의의. 우주 속 인간의 의미. 지구의 소중함. 


빈 공간의 우주, 그 속에 떠 있는 먼지 위의 존재인 우리. 


That's here. That's home. That's us. On it everyone you love, everyone you know, everyone you ever heard of, every human being who ever was, lived out their lives. The aggregate of our joy and suffering, thousands of confident religions, ideologies, and economic doctrines, every hunter and forager, every hero and coward, every creator and destroyer of civilization, every king and peasant, every young couple in love, every mother and father, hopeful child, inventor and explorer, every teacher of morals, every corrupt politician, every "superstar," every "supreme leader," every saint and sinner in the history of our species lived there--on a mote of dust suspended in a sunbeam. 


The Earth is a very small stage in a vast cosmic arena. Think of the rivers of blood spilled by all those generals and emperors so that, in glory and triumph, they could become the momentary masters of a fraction of a dot. Think of the endless cruelties visited by the inhabitants of one corner of this pixel on the scarcely distinguishable inhabitants of some other corner, how frequent their misunderstandings, how eager they are to kill one another, how fervent their hatreds. Our posturings, our imagined self-importance, the delusion that we have some privileged position in the Universe, are challenged by this point of pale light. Our planet is a lonely speck in the great enveloping cosmic dark. 


In our obscurity, in all this vastness, there is no hint that help will come from elsewhere to save us from ourselves. The Earth is the only world known so far to harbor life. There is nowhere else, at least in the near future, to which our species could migrate. Visit, yes. Settle, not yet. Like it or not, for the moment the Earth is where we make our stand. It has been said that astronomy is a humbling and character-building experience. There is perhaps no better demonstration of the folly of human conceits than this distant image of our tiny world. To me, it underscores our responsibility to deal more kindly with one another, and to preserve and cherish the pale blue dot, the only home we've ever known.

- Carl Sagan, Pale Blue Dot, 19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청난 민간인의 살상을 낳았던 고고도 전략폭격은 2차 대전 중 탄생했다. 처음으로 전략폭격을 수행했던 폭격기 승조원 또한 막대한 희생을 치렀다. 제트기와 미사일로 인해 다시는 반복되지 않을 역사이다. <Masters of the Air마스터스 오브 디 에어>는 영국에 기지를 두고 독일 점령 지역 및 독일 본토 폭격을 맡았던 미국 제8 공군에 대한 이야기이다. 국역판은 2권으로 나뉘어 출간됐다. 전쟁사 전문 번역가가 맡아서 번역은 전반적으로 깔끔해 보인다. 


  This was an air front. From recently built bases in East Anglia, a new kind of warfare was being waged--high-altitude strategic bombing. It was a singular event in the history of warfare, unprecedented and never to be repeated. The technology needed to fight a prolonged, full-scale bomber war was not available until the early 1940s and, by the closing days of that first-ever bomber war, was already being rendered obsolete by jet engine aircraft, rocket-powered missiles, and atomic bombs. In the thin, freezing air over northwestern Europe, airmen bled and died in an environment that no warriors had ever experienced. It was air war fought not at 12,000 feet, as in World War I, but at altitudes two and three times that, up near the stratosphere where the elements were even more dangerous than the enemy. In this brilliantly blue battlefield, the cold killed, the air was unbreathable, and the sun exposed bombers to swift violence from German fighter planes and ground guns. This endless, unfamiliar killing space added a new dimension to the ordeal of combat, causing many emotional and physical problems that fighting men experienced for the first time ever. (p. 2)

  이스트앵글리아는 항공전에 있어서 최전선이었다. 이곳에 세워진 지 얼마 안 된 항공기지들은 '고공 전략폭격'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전쟁을 수행하는 곳이었다. 고공 전략폭격은 전쟁 역사상 유례도 없었고, 앞으로 다시 반복될 수도 없는 지극히 이례적인 사건이었다. 장기적이고 전면적인 전략폭격 전쟁에 필요한 기술은 1940년대 초반까지 아직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이 전례 없는 전쟁이 끝나갈 무렵, 이 기술은 제트엔진 항공기, 로켓추진 미사일, 원자폭탄의 등장으로 이미 구식이 되었다.

  폭격기 승무원들은 북서 유럽 상공의 차갑고 희박한 공기 속, 역사상 그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혹독한 환경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갔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항공전은 1만 2,000 퍼트(3,600미터) 상공에서 벌어졌으나, 이 새로운 항공전은 그보다 2, 3배 높은 고도에서 벌어졌다. 성층권에 가까운 이곳의 환경은 폭격기 승무원들에게는 적보다 더 치명적이었다. 하늘은 눈부시도록 아름다웠지만, 기온은 살인적일 만큼 춥고, 대기는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로 밀도가 낮았다. 그리고 눈부신 햇살 속에 노출된 폭격기들은 독일 전투기와 대공포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익숙지 않은 이 끝도 없는 살인 공간은 전투로 인한 시련과는 또 다른 차원의 시련을 안겨주었으며, 지금껏 그 누구도 겪어보지 못한 수많은 정신적 및 신체적 문제를 야기했다. (1권 11~12 페이지)

In October 1943, fewer than one out of four Eighth Air Force crew members could expect to complete his tour of duty: twenty-five combat missions. The statistics were discomforting. Two-thirds of the men could expect to die in combat or be captured by the enemy. And 17 percent would either be wounded seriously, suffer a disabling mental breakdown, or die in a violent air accident over English soil. Only 14 percent of fliers assigned to Major Egan's Bomb Group when it arrived in England in May 1943 made it to their twenty-fifth mission. By the end of the war, the Eighth Air Force would have more fatal casualties--26,000--than the entire United States Marine Corps. Seventy-seven percent of the Americans who flew against the Reich before D-Day would wind up as casualties. (p. 7)

한 가지 불편한 진실을 말하자면, 1943년 10월 당시 제8 공군 폭격기 승무원 중 무사히 파견 기간(비행 임무 25회)을 마친 것은 전체 인원의 4분의 1도 안 된다. 작전에 참가한 대원 중 3분의 2는 작전 중 사망하거나 적의 포로가 될 팔자였고, 17퍼센트는 심각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부상을 입거나 영국 내에서 항공기 사고로 사망할 운명이었다. 1943년 5월, 영국에 도착한 이건 소령의 폭격전대원 중 25회의 작전 임무를 무사히 마친 비율은 14퍼센트에 불과했다.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제8 공군의 전사자 수는 무려 2만 6,000명으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병대의 전사자 수보다 많았다. '노르망디상륙작 전Normandy invasion 이전까지 독일에 대항해 출격한 미국 항공병 중 무려 77퍼센트가 죽거나 부상당했다. (1권 20 페이지)


애플 TV에 이 책을 기반으로 한 동명의 미니시리즈가 있다(2024년 1월 26일 처음 방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비 딕 - 하 열린책들 세계문학 215
허먼 멜빌 지음, 강수정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큐멘터리 비슷하게 진행되다가 드라마로 끝이 난다. 뱃사람들이 초원이라고 부르는 잔잔한 바다, 갑자기 폭풍이 일어나는 사나운 바다, 그 속에 숨어 있는 악마 같은 흰 고래. 이 모두 자연의 한 모습이다. 몇 년씩이나 땅을 밟지 않고 바다에 머무는 고래잡이 뱃사람들의 삶을 조금이나마 간접체험하다가 결국 자연에게 압도된다. 인간은 왜 자연과 대결하고자 하는 것일까. 헛될지라도 흰 고래와의 대결을 통해 자신을 증명하려는 에이해브 선장의 모습은 한계를 넘어서려고 분투하는 인간의 숭고함인가 아니면 광기인가. 그 장엄함에 존재의 비극적 아름다움을 느끼게 된다.  


인간의 역사는 자연 정복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인간들은 자연의 물질적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 부단히 애를 써 왔다. 이제 인간은 자연을 압도하여 권력을 마구 휘두르다가 오히려 인간의 생존 자체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 인간의 어리석음이고, 압도당한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 자연의 위대함이다. 


책은 매우 다층적이다. 야만인이라고 부르는 이들의 고귀함부터 자연의 아름다움과 사악함, 거기에 얽힌 인간 문명의 위대함과 어리석음까지. 결국 느끼는 것은 만물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는 것이다. '천지불인天地不仁', 그저 그뿐이다. 


참고로, 난 이 책보다 <하트 오브 더 씨> 영화를 먼저 봤는데, 두 이야기는 괴물 흰 고래가 나온다는 것, 그리고 그로 인해 난파한다는 것 외에 줄거리상 큰 공통점은 없다. 영화에 멜빌이 등장인물로 나와서 난 <모비 딕>의 주요 줄거리가 <하트 오브 더 씨>와 상당 부분 겹치지 않나 생각했다. 전혀 그렇지 않다. 


책 속 몇 구절:


  향유고래가 평상시 헤엄치는 자세를 보면 머리 앞면이 수면과 거의 수직을 이룬다는 걸 알 수 있다. 앞면의 아랫부분은 돛의 아래 활대 같은 아래턱을 끼운 긴 구멍을 더 깊숙이 들여놓기 위해 상당히 뒤로 기울어졌으며, 입은 머리 바로 아래쪽이라 사람으로 치면 입이 턱 밑에 있는 셈이다. 그뿐 아니라 고래는 겉으로 드러난 코가 전혀 없고, 그나마 있는 코(분수공)는 머리 위에 있으며, 눈과 귀는 머리 양쪽으로 전체 몸길이의 3분의 1 지점에 달렸다. 그러므로 이제 향유고래의 머리 앞부분에는 아무 기관이 없고 어떤 민감한 것도 돌출되지 않은, 그야말로 무신경하고 꽉 막힌 벽이라는 걸 이해해야 한다. (89~90 페이지)

  영원토록 경뇌유를 짤 수 있다면! 하지만 나는 오래 반복된 경험을 통해 인간이란 어떤 경우에도 결국 자신이 얻을 수 있는 행복에 대한 환상을 낮추거나 최소한 변경해야 한다는 걸 알았다. 행복은 지성이나 공상이 아닌 아내와 사랑, 침대, 식탁, 안장과 난롯가, 시골 같은 곳에 놓아야 한다. 나는 이제 이런 것들을 모두 깨달았기 때문에 기름통을 영원토록 짤 준비가 되어 있었다. 밤에 그리는 환상의 상념 속에서 나는 줄지어 선 천사들이 저마다 경뇌유 통에 손을 담그고 있는 천국을 봤다. (210 페이지)

숭고한 비극의 계보를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결국은 근원을 알 수 없는 신들의 계보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건초를 말리는 반가운 태양과 부드러운 심벌즈 소리처럼 은은한 가을의 보름달 앞에서도 이것만은 인정해야 하는데, 신들도 늘 즐거운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날 때부터 인간의 이마에 새겨진, 지워지지 않는 슬픈 낙인은 다름 아닌 그것을 새긴 자들의 슬픔의 흔적이다. (282~283 페이지)


<"입이 턱 밑에 있는 셈"이라고 멜빌이 묘사한 향유고래의 모습. 고래에는 수염고래와 이빨고래의 두 소목이 있는데, 향유고래는 이빨고래 중 가장 큰 종이라고 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25-10-10 17: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하트 오브 더 씨>가 모비딕을 오마주한 작품인줄 알았는데 모비딕을 읽다 보니 중간에 고래와의 사투를 소개하는 글에서 모비딕 보다 이전에 발생한 실제 사건으로 묘사되고 있더군요.


blueyonder 2025-10-10 17:53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실제로 발생했던 포경선 에식스 호의 얘기에서 멜빌이 영감을 받았던 모양입니다. 살아남은 선원에게 얘기를 듣는 멜빌의 모습이 영화에서 그려져서, 전 <모비 딕> 소설이 실화에서 영향을 더 많이 받았는 줄 알았습니다.

서곡 2025-10-15 14: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하트 오브 더 씨 영화 봤는데 내용은 가물가물하네요...옛날 영화 모비딕이 있더라고요

blueyonder 2025-10-15 14:36   좋아요 1 | URL
저도 이제 영화 봤던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 그래도 엄청난 크기의 고래가 범선을 침몰시키는 과정을 놀라는 마음으로 봤던 것 같습니다.
모비딕 영화도 있었던 모양이군요. 이것도 나름 재미있을 것 같네요.
 















<모비 딕> 하권을 읽고 있다. 피쿼드호는 이제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인도양에 진입했으며 향유고래 한 마리 사냥에 성공했다. 읽다보면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이 가끔 나온다. 원문을 찾아보며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인용문의 밑줄은 모두 내가 추가한 것이다. 


사냥하여 죽인 향유고래를 어떻게 해체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67장). 고래는 배 옆에 고정되어 있다. 고래 가죽을 벗기는 과정에 대한 얘기. 


  제일 먼저, 으레 녹색을 칠하는 도르래의 여러 육중한 장치들 중에서 커다란 절단용 도르래는 혼자서 도저히 들 수 없을 만큼 무겁다. 이 엄청난 포도송이를 휘청휘청 주 돛대까지 끌어 올린 다음 갑판에서 가장 튼튼한 뒤쪽 돛대 꼭대기에 단단히 묶는다. 이제 이 복잡한 장치를 들고 나는 닻줄 같은 밧줄 끄트머리를 양묘기에 연결하고, 도르래의 커다란 아래쪽 토막을 고래를 향해 내리는데 여기에는 무게가 50킬로그램에 달하는 커다란 갈고리가 달렸다. (40 페이지)


도르래 뭉치("이 엄청난 포도송이")를 돛대에 고정하는 설명이다. 밑줄 친 부분을 보면 도르래 뭉치를 주 돛대까지 끌어올린 후 뒤쪽 돛대 꼭대기에 묶는다고 나온다. 주 돛대로 끌어올린 후 왜 뒤쪽 돛대에 묶지? 뭔가 머리에 잘 떠오르지 않는 그림이다. 다음은 원문이다.


  In the first place, the enormous cutting tackles, among other ponderous things comprising a cluster of blocks generally painted green, and which no single man can possibly lift—this vast bunch of grapes was swayed up to the main-top and firmly lashed to the lower mast-head, the strongest point anywhere above a ship's deck. The end of the hawser-like rope winding through these intricacies, was then conducted to the windlass, and the huge lower block of the tackles was swung over the whale; to this block the great blubber hook, weighing some one hundred pounds, was attached. (p. 330)


원문에서는 main-top으로 끌어올린 후 lower mast-head에 고정시킨다고 나온다. main top이 주 돛대의 어느 부분이라면 lower mast-head는 주 돛대의 아래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뒤쪽 돛대가 아니라 같은 주 돛대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이상한 부분이 해소된다. 


그 다음 이상한 부분은 피쿼드호가 항해 중 만난 제로보암호의 고래—모비 딕—사냥 이야기(71장)에 나온다. 고래 사냥은 고래잡이 배에서 내린 작은 보트를 타고 한다(61, 62장 등에 설명이 나와 있다). 이 보트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2명이 있는데, 한 명은 항해사가 맡는 보트장이고 다른 한 명은 작살잡이다. 보트장은 보트 뒤쪽에서 키를 잡으며 보트에 탄 선원들—노잡이—를 지휘하여 보트를 고래가 있는 곳으로 가게 한다. 보트가 고래에 접근하면 보트 앞에서 다른 선원들과 함께 노를 젓던 작살잡이가 일어나 밧줄에 연결된 작살을 고래에게 던진다. 작살이 고래에게 명중하면 고래는 도망치려고 한다. 하지만 작살이 단단하게 박혔다면 고래는 결국 한참을 도망치려 시도하다가 힘이 빠져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러면 보트장은 작살잡이와 자리를 바꿔 보트 앞으로 가서 고래를 창으로 마구 찔러 숨통을 끊는다. 바다가 피로 물드는 잔인한 장면이다. 그런데 다음 장면을 보자. 


항해사 메이시가 보트 앞머리에 서서 자기 부족 특유의 거침없는 에너지로 고래를 향해 격렬한 외침을 토해 내며 작살을 던질 기회를 노리는데, 이런! 커다란 흰 그림자가 바다에서 솟구치더니 부채질이라도 하는 것처럼 재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에 노잡이들은 잠시 숨을 죽였다. (59 페이지)


고래는 이미 작살을 맞았다(몇 줄 위에 “마침내 작살 하나를 깊숙이 꽂는 데 성공했다”고 나온다). 그런데 이 고래에게 항해사가 다시 작살을 던질 기회를 노린다니? 원문은 이렇다. 


Now, while Macey, the mate, was standing up in his boat's bow, and with all the reckless energy of his tribe was venting his wild exclamations upon the whale, and essaying to get a fair chance for his poised lance, lo! a broad white shadow rose from the sea; by its quick, fanning motion, temporarily taking the breath out of the bodies of the oarsmen. (p. 345)


항해사는 작살(harpoon)을 던질 기회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 창(lance)으로 찌를 기회를 노리고 있는 것이다. 


그 다음 부분. 제로보암호의 선장 일행이 타고 온 보트로 편지를 건네주려고 하는 장면이다. 몇 년씩 항해하는 고래잡이배들은 서로 편지를 싣고 와 전해주기도 한다. 제로보암호에 전염병이 돌아 보트 위의 사람들은 피쿼드호로 올라오려 하지 않는다. 


그[에이해브]가 편지를 들여다보는 동안 스타벅은 길쭉한 삽자루를 가져왔는데, 칼로 끝을 살짝 찢은 편지를 삽자루에 끼워 보트를 배에 더 가까이 대지 않고도 넘겨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61 페이지)


뭔가 부자연스럽다. 편지 끝을 칼로 살짝 찢어 삽자루에 끼운다니? 다음은 원문.


As he was studying it out, Starbuck took a long cutting-spade pole, and with his knife slightly split the end, to insert the letter there, and in that way, hand it to the boat, without its coming any closer to the ship. (p. 346)


원문을 보면 칼로 삽자루 끝을 조금 쪼개 그 틈에 편지를 끼워 보내려 함을 알 수 있다. 훨씬 자연스럽고 튼튼한 고정 방법이 아닌가? 왜 편지 끝을 찢어 끼운다고 했는지... 


이 장의 마지막 부분이다. 이제 제로보암호는 떠났다. 그런데...


  막간극이 끝난 후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을 다시 시작한 선원들은 이 엉뚱한 사건과 관련된 기이한 얘기들을 한참 주고받았다. (62 페이지)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을 다시 시작했다고 나온다. 고래 가죽은 이미 다 벗겼고 고래 몸통은 떠내려 보낸 후인데 다시 고래 가죽 벗기는 일을 한다니? 


  As, after this interlude, the seamen resumed their work upon the jacket of the whale, many strange things were hinted in reference to this wild affair. (p. 347)


원문은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이 아니라 ‘고래 가죽에 하는 일’을 다시 시작했다고 나온다. 고래 가죽 해체 작업이라고 하는 것이 맞겠다. 다시 가죽을 벗긴다고 하니 헷갈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명 입자


                       우주선에서 발견된 입자는 대부분 오래 산다. 물론 오래 산다는 말도 상대적이다. 실험물리학자들은 어떤 입자가 10^-8초에서 10^-10초 정도 살다 가면, 그 입자는 수명이 길다고 하고, 심지어 안정된 입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주선에서 발견된 케이온이나 람다, 시그마, 크시 하이퍼론은 모두 이 정도로 오래 산다. 수명이 긴 입자는 모두 약력에 의해 붕괴한다. 그러니까 힘의 세기가 약할수록 입자의 붕괴는 천천히 일어난다. 이런 입자들은 가늘고 길게 산다. 전자기력은 약력보다는 강하지만 강력과 비교하면 훨씬 약하다. 전하가 없는 시그마는 전자기력에 의해 람다와 광자로 붕괴하는데, 대략 10^-20초 정도 산다. 전자기력에 의해 붕괴하는 입자들의 수명은 10^-15초에서 10^-20초 정도다.

  그런데 어떤 입자들은 정말이지 눈 깜짝할 사이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그런 입자를 통칭해서 공명 입자(reonaince particle)라고 부른 다. 이런 입자는 대략 10^-23초 동안 존재한다. 이 시간이 얼마나 짧은 시간인지 한번 비유로 느껴보자, 우주의 나이는 대략 138억 년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의 나이를 1년이라고 하면, 백 년을 사는 인간은 0.2초 정도 살다 가는 찰나의 존재다. 케이온의 수명을 1년이라고 하면, 공명 입자는 1억 분의 1초 남짓 존재한다. 공명 입자와 비교하면 케이온 같은 낯선 입자는 그야말로 영겁의 시간을 사는 셈 이다.

  공명 입자는 양자역학에서 나오는 공명 현상과 다를 바가 없다. 어떤 원자에 파장이 짧은 빛을 쪼여주면 원자는 들뜬 상태가 된다. 그러니까 바닥 상태에 있던 전자가 광자가 전해 주는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로 양자 도약을 한 것이다. 들뜬 상태로 올라간 전자는 아주 잠깐 그곳에 머물다가 광자를 내놓으며 다시 바닥 상태로 내려온다. 이때 원자에서 나오는 광자의 에너지는 수 전자볼트밖에 되지 않는다. 원자핵도 마찬가지다. 감마선을 쪼여주면 들뜬 원자핵이 되었다가 감마선을 내놓으며 다시 바닥 상태로 내려온다. 이 때 나오는 감마선의 에너지는 수백만 전자볼트다. 공명 입자도 비슷하다. 양성자가 파이온이나 광자와 충돌하면 들뜬 양성자가 되거나 아니면 새로운 중입자가 되었다가 다시 양성자로 돌아온다. 그런데 원자나 원자핵과 달리 들뜬 상태의 양성자나 새로 생긴 공명 입자는 에너지가 매우 높아서 바닥 상태의 양성자로 내려오면서 중간자를 내놓거나 수억 전자볼트의 광자를 방출한다. 게다가 공명 입자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에너지와 질량이 서로 같다는 사실과도 관련이 있다. 공명 입자의 질량은 양성자에 가해진 수억 전자볼트의 에너지와 양성자의 질량을 합한 것과 같다. 그래서 공명 입자는 에너지와 질량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입자이기도 하다.

  공명 입자의 흔적은 우주선 연구가 한창이던 1940년대 초부터 어렴풋이 알려져 있었다. 볼프강 파울리와 시드니 댄코프(Sidney M. Dancoff)는 이미 1942년에 파이온과 핵자가 충돌하면 공명 입자가 생길지도 모른다고 예언했다. 파이온이 발견되기 전인 1946년에 파울리는 《핵력의 중간자 이론》이라는 책을 썼다. 여기서 파울리는 파이온과 양성자가 결합하면 스핀이 3/2인 새로운 입자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스핀이 3/2인 입자를 언급한 것이었다. (185~187 페이지)

  핵자로 통칭하는 양성자와 중성자는 전하 외에는 같은 입자라 해도 무방했다. 아이소스핀 대칭성 아래 양성자와 중성자는 한 형제였다. 양과 밀스는 아이소스핀 대칭성을 게이지 대칭성의 하나로 간주했다. 게이지라는 말은 1929년에 수학자 헤르만 바일(Hermann Weyl)이 전자기력과 중력을 합쳐 보려고 전개한 이론에서 나온 말이다. 어떤 물체의 길이를 잴 때, 센티미터 자를 쓰든 인치 자를 쓰든 물체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게이지 대칭성이란 자를 바꿔 재더라도 성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양자전기역학은 게이지 대칭성을 만족하는 이론 중에서 가장 단순하다. 게이지를 변환해도 전하는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양자전기역학은 게이지 불변이라고 말한다. 게이지 불변이면 입자들 사이에 힘을 매개하는 게이지 입자가 반드시 존재한다. 양자전기역학에서는 광자가 전하를 띤 입자들 사이에 힘을 매개하는 게이지 보손(gauge boson)이다. (328~329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