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athematics: The Loss of Certainty (Paperback)
Morris Kline / Oxford Univ Pr / 1982년 6월
평점 :
이 책을 통해 배우는 것은, 많은 통념과 달리, 수학조차도 '진리'가 아니라는 점이다. 논리를 통해 증명한 수학의 정리는 변하지 않으며 영원하리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인식이, 모든 것이 변해도 수학의 정리들은 변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쌓아올린 수학 자체는 진리라는 생각을 낳았다. 하지만 잘 인식하지 못하는 수학의 토대 문제는, 수학이 무모순한 체계라는 보장이 없으며, 그 체계 내에 있는 모든 명제를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여러 노력이 '실패'했으며, 모든 수학자가 동의하는 하나의 수학 체계는 없다고 말한다. 역사를 살펴보면, 타당하다고 생각했던 증명이 시대가 바뀜에 따라 타당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경우도 있으며, 수학도 결국 경험에 기반한 과학과 마찬가지로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학문 체계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자연과학과 같은 거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자연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시작됐던 수학이 이제는 과학과는 동떨어져 '순수수학'으로서 발전하는 것에 대해 저자는 한탄한다. 현대 수학은 너무 다기해져 수학자 누구도 자기의 좁은 분야를 벗어난 다른 수학 분야에는 문외한이며, 논문은 쏟아져도 이후 어떤 응용이 있을지 아무도 모른다. 저자는 뉴턴, 아인슈타인, 힐베르트, 바일 등 수학자들이 위대한 물리학자이기도 했던 시절을 그리워한다. 하지만 시대가 바뀔 것 같지는 않다.
수학조차도 진리가 아니라는 깨달음, 인간은 점차 순진함에서 벗어나는 듯 싶다. 수학의 위대함조차도 유용성에 있다는 말에 난 동의한다. 많은 뛰어난 이들이 수학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수학이 인간 존재와는 별도로 객관적 실체가 있다는 플라톤주의적 생각을 했지만, 결국 모든 것은 아름다운 꿈이다. 꿈을 좇아 사는 것은 행복하지만, 꿈이 깨지면 좌절하게 된다. 하지만 만약 꿈이 이루어진다면 그 다음은 의미가 없는 것인가. 그런 의미에서도 꿈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좋다. 떠오르는 이미지는 시지프이다. 카뮈가 얘기했듯 좌절 속에서도 삶 그 자체에서 의미를 찾고 그냥 노력하는 것 속에 인생의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닐지. 읽어보지도 못한 한강 작가의 말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또 아름다운가'를 경험하며 살게 된다. 가능하다면 세계의 아름다움에 물 한 방울을 더하는 이가 되고 싶다.
마지막으로, 개인적인 기록: 이 책을 처음 만난 것은 아마도 고등학교 2학년 때이다. 학교 도서관에서 처음 책을 봤고 읽고 싶었다. 당시는 대우학술총서의 하나로 출간됐었다(지금 번역서는 다른 판본이다). 원서가 1980년에 출간됐으니 얼마 안 돼 번역된 듯 싶다. 제목은 <수학의 확실성>이었다. 당시는 아마 여러 이유로, 특히 나의 무지로 인해 읽지 못했고, 이후는 삶이 바쁘다는 핑계로 역시 손대지 못하다가 원서 <Mathematics: The Loss of Certainty>를 사 놓은 지도 어언 20년은 족히 넘은 것 같다. 번역서에는 없는 원서의 제목 "The Loss of Certainty"를 보고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것 같았다. 이제야 이렇게 마지막 장을 넘기며, 내 인생의 무대도 다음 장으로 넘어간다는 생각이 든다. 사 놓은 지 10년, 20년 넘어가는 읽고 싶은 책은 아직도 여러 권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