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레이] 클리프행어 : 렌티큘러 풀슬립 한정판 - 무삭제판
레니 할린 감독, 실베스터 스탤론 외 출연 / 그린나래미디어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클리프 행어 : 놓치면 후회하실 겁니다 !



                                                    정색을 하고 말하겠다. 영화 << 클리프 행어 >> 는 놓치면 후회할 만한 영화'다. 이 영화 줄거리를 10자 이내로 요약하자면 " 놓/치/면/후/회/하/실/겁/니/다 " 일 것이다. 록키 산악 공원 구조 대원이었던 실베스타 스텔론은 동료의 손을 놓치는 바람에 동료를 잃는다. 그는 이 끔찍한 사고 때문에 평생 죄책감에 시달린다. 그가 이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는 일은 똑같은 상황을 재현해 놓고 다시 기회를 주는 것이다. 한때,  록키 발모어로 불렸던 그는 과연 동료를 구조할 수 있을까 ?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놓치면 후회할 일이 비단 이 영화 속 주인공뿐이랴. 멜로드라마라는 장르도 놓치면 후회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다. 다음은 놓치면 후회하게 될 분야를 소개하기로 한다.

서평은 서평가가 쓴 글이다. 그러니까 " 서평이냐 / 감상(문)이냐 ? " 라는 문제는 형식의 문제가 아니라 자격의 문제인 셈이다. 마찬가지로 평론은 평론가가 쓴 글이다. 일개 무명 독자가 평론가가 쓴 글보다 뛰어난 평론을 썼다고 해서 그것이 평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문제도 결국은 글쓴이의 " 자리(자격) " 에 대한 문제로 귀결된다. 즉, 서평과 독후감은 어떻게 썼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누가 썼는가가 중요하다. 굳이 독후감과 서평을 나누자면, 독후감은 음식 맛을 평가하는 것이고 서평은 음식 맛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자는 맛있다 / 맛없다, 라고 단순하게 논평하면 된다. 하지만 후자는 단순하게 맛있다 / 맛없다, 라는 논평만으로는 부족하다. 어떤 음식에 대해서 맛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면

재료의 식감, 영양학적 평가, 향미 따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서 논평을 내놓아야 한다. 드라마 << 대장금 >> 에서 임금(임호 扮)이 " 마디꾸나 ~ " 라고 말했을 때 그는 서평가의 입장이 아니라 일반 독자의 입장에서 내놓은 독후감이다. 장금이'라고 다를까 ?  어린 장금이가 " "제 입에서는 홍시 맛이 났는데 어찌 홍시라 생각했느냐 하시면 그냥...." 이라 말할 때 그녀는 서평가의 입장이 아니라 일개 무명 독자로써 맛을 평가한 것이다. 이해는 간다. 그녀는 당시에 어렸으니깐 말이다. 만약에 어른이 된 장금이에게 이 질문을 던졌다면 말을 흐리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처럼 맛에 대한 평가는 누구나 할 수 있다. 책에 대한 평가도 마찬가지'다. 각자의 취향에 따라서 좋은 책과 나쁜 책을 구별할 수 있다.

여기에 덧대어,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면 더 좋은 글'이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약은 약사에게 서평은 서평가에게 진단을 받는 것이 최선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 가지 더 첨언하자면 형식의 굴레에서 벗어나서 삼천포로 빠지는 서평을 좋아한다.  정희진의 << 정희진처럼 읽기 >> 에서 저자는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을 책을 핑계로 다른 이야기를 한다. 이 삼천포행 궤적이 논점 이탈로 읽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사유의 확장처럼 읽히기도 한다. 나는 경제를 이야기하는 데 파리가 날아다닐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아나운서는 어이가 없네, 라며 유아스러운 천진난만한 웃음을 터뜨렸지만 그것은 파리의 자유이다. 경제와 파리는 무관하다. 사실, 좋은 서평(가)은/는 좋은 책은 좋다고 말하고 나쁜 책은 나쁘다고 말하는 것이다.

서평가가 좋은 책을 좋다고 말하는 것은 비교적 쉽다. 좋은 이유를 말하는 것도 어려운 고백이 아니다. 하지만 나쁜 책을 나쁘다고 말하는 데에는 작은 용기가 필요하다. 서평가는 알게 모르게 저자와 출판사 관계자들과 인연을 맺기 때문이다. 심한 경우는 이해 당사자와 소송이 걸리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서평가는 칼칼한 < 칼 > 보다는 달달한 < 달 > 을 선택한다. 달을 선택한 자는 대중으로부터 칭찬을 받고, 칼을 선택한 자는 대중으로부터 욕을 먹기 일쑤다. 서평을 비평 영역으로 확장하면 이해하기 쉽다. < 달 > 을 선택한 신형철은 대중으로부터 온갖 칭찬을 얻는다. 문학을 사랑하기 때문에 쓴소리를 할 수 없다는 고백 앞에서 독자는 그 진심을 믿는다.  " 으따, 멋져부러 ~ "  

반면, < 달 > 보다는 < 칼 > 을 쥔 조영일 문학평론가는 대중으로부터 욕을 먹기 일쑤다. 신경숙도 까고, 황석영도 까고, 김애란도 깐다. 대중이 좋아하는 작가들만 까니 미울 수밖에 없다. 그래서 독자들은 그가 인정 욕구에 시달려서 모든 작품에 대해 어그로를 끈다고 생각한다. 나는 조영일을 지지하는 편이다. 내가 신형철을 지지하지 않는 이유는 그가 이해당사자인 문학인에게 좋은 말만 한다는 데 있다. 좋은 책을 좋다고 말하는 것은 하수요, 기회주의'다. 치세(治世)에서 < 예쁜 말 > 을 하는 것은 나쁘지 않지만,  난세(亂世)에서 " 예쁜 말 " 은 나쁜 말이다. 굶어죽는 시대에 아름다운 금수강산을 이야기하는 것은 폭력이다. 신형철은 문학이 위기인 시대이기 때문에 문학을 하는 이에게 용기와 위로를 주기 위해 예쁜 말을 한다고 변명하지만,

문학이 위기일 수록 중요한 말은 " 뼈 아픈 말 " 이다. 옛날, 호랑이가 담배 피던 시절에 정영일이라는 영화평론가가 있었다고 한다. 그는 kbs << 명화극장 >> 에 소개될 영화에 대한 소개'를 했다고 한다. 일종의 명화극장 예고편인 셈이다. 예고편이란 관객에게 호기심과 기대감을 높여서 시청률을 높이고자 하는 전략이다. 그러다 보니 정영일은 소개할 영화의 장점은 부각시키고 단점은 감출 수밖에 없었다. 그는 소개를 끝마칠 때가 되면 " 놓치면 후회하실 겁니다. " 라는 멘트를 날렸다고 한다. 일말의 양심 탓일까 ? 소설가 최인호는 정영일이 활짝 웃으면서 영화를 소개하면 좋은 영화이고 무표정한 얼굴로 딱딱하게 영화를 소개하면 나쁜 영화'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웃으면서 " 놓치면 후회하실 겁니다 " 라고 말하는 것은 무표정한 얼굴로 " 놓치면 후회하실 겁니다 " 는 전혀 다른 의미였던 것이다. 서평도 마찬가지다. 대충 읽고 대충 쓰는 출판 담당 기자(혹은 서평가)의 서평을 분간할 줄 알아야 한다. 책에 대한 자신의 입장은 보이지 않고, 목차 순서대로 나열된 줄거리 요약만 있는 서평은 대부분 무표정한 얼굴로 < 이 책 놓치면 후회하실 겁니다 - 부류 > 인 경우일 가능성이 높다. 이 글이 영화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해서 끝까지 읽은 사람에게는 미안하다. 하지만 당신에게도 일말의 잘못은 있다. 내가 무표정한 얼굴로 놓치면 후회한다고 미끼를 던졌을 때 당신은 알아차렸어야 했다.

 

" 클리프 행어, 놓치면 후회하실 겁니다 ! "

 

 

 


댓글(3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지객 2016-01-21 18: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서평을 소설처럼 쓰시는군요. 이 짧은 글에 반전도 있고 재미도 있고 느낀점도 있고...... 재미있는 글 잘읽었어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1 18:49   좋아요 1 | URL
제 글은 서평도 아니고 잡글이죠. 영화에 대한 글도 아니고...
항상 쓰다 보면 이상하게 엉뚱하게 갑니다. 주의력결핍장애인 것 같기도 하고...
글쓰는 환경이 후딱 썼다가 다시 조금있다 후딱 쓰고 해서리.. 통일성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장소] 2016-01-21 1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하...그렇죠..그 손을 놓으면 니 인생이 뭐가 된다고?
트라우마!
이시대에 좋은 책만 좋게 포장해 쌓는 글을 읽으면 뭐가 된다고?
신형철! (응?)

이해당사자 ㅡ가 될지도 모른다..그걸 노리는거얏! (그게 좋을..걸 그랬나...?)

웃다 갑니다..

영화에 낚시 ㅡ제대로...그래서.
영화줄거리는?
생각 안나서 그러는데..버티컬 리미트 ㅡ랑 저 햇갈리나봐요...알려주셈~~!!^^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1 18:46   좋아요 1 | URL
버티칼... 음... 안 봤습니다.. ㅎㅎ..
이것도 산악 영화죠 ?
클프행어 내용은 간단해요. 동료 손을 놓치는 바람에 트라우마가 생긴 남자는
구조대원을 그만 둡니다.
그러다가 구조를 해야 될 상황이 발생해서 다시 찾아가는...
보면 람보 서사하고 비슷해요..

2016-01-21 18: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21 18: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clavis 2016-01-21 18: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오늘도 사람을 낚으신?ㅋ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1 18:45   좋아요 1 | URL
제가 루어 낚시 전문입니다.. ㅎㅎ

clavis 2016-01-21 18: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문용어에 약해요ㅠ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1 18:48   좋아요 1 | URL
아, 루어 낚시란 진짜 미끼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장난감 미끼를 가지고 물고기를 유인합니다.
이 장만감을 루어라고합니다. 색이 화려하죠... 색에 현혹되어서 물고기들이 일단 물고 봅니다.....
제 글은 다 가짜입니다.. ㅎㅎ

[그장소] 2016-01-21 18:55   좋아요 0 | URL
낚시의 한종류입니다.^^

stella.K 2016-01-21 18: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오늘 글 마디습니다. 근데 뼈가 씹혀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1 18:49   좋아요 1 | URL
세꼬시는 원래 뼈 채 먹어야 고소하죠.. 세꼬시 좋아하십니까 ?

stella.K 2016-01-21 18:52   좋아요 1 | URL
세꼬시...? 잘 모르겠네요. 내가 먹어봤나??

오늘은 또 이 주제로 하루가 가네요.
글 써야하는데...ㅠㅠ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2 08:02   좋아요 0 | URL
세코씨 드셔보십시오. 아삭아삭해서
씹는 맛이 있어요..
꼬들꼬들하고...
아, 오늘은 세꼬시에 소주 한 잔 걸쳐야겠ㄴ요...

clavis 2016-01-21 18: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컬러풀하지요.장만감처럼.
발님.건승 건필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2 08:02   좋아요 1 | URL
네에 고맙습니다. 클라비스님..

흐르는강물처럼에 나오는 낚시가 루어낚시입니다..

[그장소] 2016-01-21 2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ㅡ분명 ㅡ그것에 저는 동의 해요.
우리나란 비평하는 구조를 잘못 이해하는지도 몰라요.
다른 의견을 받아들이는걸 못견뎌하거든요.
사람들이 단체를 이룰수록 뜻을 하나로 뭉쳐 버리고 너도 같지..이런식이니까요...
거기서 좀 다르면 이봐..이봐..튀어나오면 튕겨나가는 법이라고...이러죠.
그러니 스스로 찟는 송곳이 안되려니..으휴..
비평가는 없어요. 진정한 의미의 비평가는....

아니..비난과 비평을 같이 놓고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2 08:01   좋아요 1 | URL
비난과 비판을 구별하지 못하잖아요.
저를 포함해서 한국인은 피가 뜨거워서인지
아니면 논쟁의 세련된 기술을 애초에 배우지 못해서인지
비판에도 욱하고
비난에도 욱하고...


[그장소] 2016-01-22 08:14   좋아요 0 | URL
일단 회자의 중심에 있다는것 자체가 좋은 기회라는 걸 ㅡ성장 할 수있는 , 물론 너무 사로잡혀선 곤란하지만 ㅡ모르거나 , 알아도
기회가 아닌 꺼꾸로뜨리는 기횔 삼는
구조가 ㅡ그건 사로잡히는 것이겠지만 ㅡ되는
것이 안타까워요. 충분히 개선의 여지와 다 함께 성장하는 좋은 발판을 좀 만들면 좋을텐데 잘되는것을 의도적으로 막는 분위기가 만연하다 ㅡ랄까요 ㅡ그래서 더 자라지 못하게 그만큼만 해 ㅡ하는 냥 ㅡ칭찬으로 일색인거라고 봐요.
잘하고 있어 ㅡ이게 진짜 잘하고 있어서가 아닌거죠. 더 자랄까봐 ..아예 싹이 자랄 틈을 안주는 거랄까요..잘 자라라..물을 주는데 뿌리 썩도록 주는 형국 ..인셈...비판과 비난일색으로 물어뜯기 역시나 솎아내지 않아 저들끼리 헝클어 지도록 하는 것과 같고요...다 같이 망해야 해...이런 심리 ㅡ슬픈일이예요..피해의식이 많이들 깔린...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2 13:40   좋아요 1 | URL
나쁜 책을 나쁘다고 말할 용기가 없는 것은 그나마 양호합니다.
나쁜 책을 좋다고 말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다는 겁니다.
이건 정말 나쁜 비평이거든요.

[그장소] 2016-01-22 15:26   좋아요 0 | URL
이런 시대에 그저 책을 내는 수고라니...하고 저는 그 품에 드는 것을 함부로 내치고 싶지 않아서 좋은걸 찾으려 애를 씁니다만. 있죠.
대체 왜 썼나...싶은 책 ㅡㅎㅎㅎ일단 저는
서평 .비평 이 부분을 가급적 읽지 않으려 합니다.


기억의집 2016-01-22 06: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영일이 있었다고 한다..... 곰곰님 젊으신가요?

중요한건 뭔가를 찾아내는 거 아닐까 싶네요. 킹이 문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부여받은게 평론가 레슬리 피들러에 의한 거 보면... 다들 문학적으로 싸구려라고 욕할 때 피들러가 킹을 재조명하고 나서 킹을 대하는 게 달라졌으니깐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2 07:58   좋아요 1 | URL
알죠.... 옛날 옛날을 강조하다 보니 그리되었습니다.. ㅎㅎ..

기억집 님 말씀 듣고 피들러 찾아보니 흥미롭네요... 혹시 국내에 이 분 책이 나온게 있나요...?


수다맨 2016-01-22 13: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국에서 비판적 서평(여기에는 비평도 포함된다 봅니다)을 쓰면서 살아 남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예 은둔자의 삶(미국의 미치코 가쿠타니)을 택하고, 대중의 미움을 받는 존재(조영일)로 살아가야지요. 외국이야 얘기가 많이 다를 테지만, 한국에서 비판적 평자의 자리에 서려면, 일 년에 (글과 관련된 수익이) 1000만원 미만으로 살아가겠다는 배짱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2 13:39   좋아요 1 | URL
장정일 있잖습니까.. ㅎㅎㅎㅎㅎ.
수다맨 님 말씀이 맞습니다. 비판적 서평은 결국 밥줄을 끊어놓습니다.
작가 혹은 문필가라면 천만원 미만으로 살아갈 용기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코멕 메카시를 보십시오. 그도 은둔 하며 오두막에서 굶어가며 살았잖습니까..

samadhi(眞我) 2016-01-24 0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곰발님 글에 너무 익숙(?)해졌나 봐요. 이제 제목만 봐도 알아차립니다. ㅎㅎㅎ 그냥 웃지요. 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4 14:36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ㅋ 이제 스타일을 좀 다시 재정비할 필요가 있겠네요..

samadhi(眞我) 2016-01-24 14:40   좋아요 0 | URL
저는 그게 좋은데요.
바꿔도 금방 알아낼 거예요. ㅋㅋㅋ 허구와 현실을 넘나드는 장르를 좋아하는데
곰발님 뻥카가 제 맘에 쏙 들어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4 14:51   좋아요 0 | URL
그렇죠 ? 오호, 진아 님이 지지해주시는군요.
제가 보르헤스를 좋아합니다. 이 양반 소설을 보면
실제와 허구가 마구마구 섞여서 당최 뭐가 진짜고 어느 부분이 가짜인 지 모릅니다.

samadhi(眞我) 2016-01-24 15:02   좋아요 0 | URL
저 말고도 곰발님 글 좋아하는 팬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그러니 굳세게 밀고 나가세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4 15:24   좋아요 0 | URL
정말 의외로 열성당원들이 의외로 많으셔서 깜짝 놀라고는 합니다.
어쩐 분은 항상 프린트 해서 아침 출근길에서 읽으신다고 하더라고요. 어찌나 고맙던지..

samadhi(眞我) 2016-01-24 15:25   좋아요 0 | URL
그러니 누가 뭐라고 짖어(?)대도 안 딛기(들려) 하시고
쭉 하던대로 하세요
아자!!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4 15:30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짖는 새끼들은 무시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