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를 방해하는 요소(들)
여전히 발터 벤야민의 << 아케이드 프로젝트 1,2 >> 를 읽고 있다. 묵은지도 아니고 1년째 묵히고 있으니 난감하다. 굳이 변명을 하자면 1년 사이에 이사를 두 번이나 했다. 짐을 쌌다 - 풀었다 - 쌌다 - 풀었다를 반복하니 생활 리듬이...... 포장 이사'라고는 하지만 책은 내 손으로 다시 정리해야 해서 이사하기 전에 미리 우체국에 가서 4호 박스를 구입해서 쌓아두었다. 이사한 후'로도 박스 해제 작업은 차일피일 미루다 보면 한 달이 지나기 일쑤였다. 나는 내 사전에 내 독서를 방해하는 모든 것을 < 오호츠크 시밤바 > 로 규정했다. 쉽게 말해서 좆같다는 것이지. 무엇보다도 내 독서를 방해한 요소는 놀랍게도 박근혜'였다. 집중력 저하의 원인은 박근혜였던 것이다. 책을 읽는 데 갑자기 < 혼 > 과 < 우주의 기운 > 이 등장하는 바람에 포인트를 놓쳤다. 아스트랄한 지랄'에 밥맛이 뚝 떨어졌다. 책을 읽다가 그네 생각만 하면 느닷없이 괄약근을 조이게 된다. 읽던 책을 덮고는 혼잣말을 한다. 오호츠크, 오호츠크....... 하지만 마냥 썩힌 것은 아니다. << 아케이드 프로젝트 >> 을 읽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들레르를 다시 읽어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마침 기생충학자 서민 교수님이 << 파리의 우울 >> 이란 책을 선물로 보내주셔서 보들레르를 읽다가 그쪽으로 빠졌다. 또, 그런 방식으로 빅토르 위고의 << 레미제라블 >> 을 다시 읽다 보니 아케이드 프로젝트'는 진도가 거의 나가지 못했다. 신기하다. 이 책은 파리의 복잡한 지하도 같다. 무수한 샛길로 빠져야 한다. 이 책을 매조지하고 나면 사사키 이타루의 << 야전과 영원 >> 을 읽을 계획이다. 푸코/라캉/르장드르 읽기'이니 만만치 않은 독서가 될 것 같다. 우선 이 책을 선물하신 새벽 님에게 무한 감사 ! 슬쩍 몇 장 훑어본 결과....... 어렵다 ! 다음 목표는 << 자본론 >> 이다. 내가 읽은 책은 그 유명한 분홍책'이었다. 아침 9시에 도서관에 도착해서 마감 시간을 알릴 때까지 읽었다. 그렇게 삼 일 동안 주구장창 << 자본론 >> 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때는 잘 읽혔다. 그때는 박근혜가 없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