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시보다 곶감
사람들은 글 잘 쓰는 사람을 부러워한다. 머릿속에서는 온갖 화려한 스펙타클이 난무하지만 막상 그것을 꺼내 글( 혹은 말 )로 표현하려고 하면 아무것도 생각이 나지 않는다. 검은 도화지에다 검정 크레파스로 그림을 그리는 꼴이니 그림이 나올 리 없다. 더군다나 요즘은 SNS 같은 " 개인 글쓰기 소통 창구 " 가 있으니 더욱 글쓰기에 대한 갈망을 느낀다. 그럴 때 찾는 책이 << 문장 강화 훈련 >> 이나 << 글쓰기 교본 >> 따위'다. 물론 그들이 글쓰기 요령을 배워서 " 문학 " 을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 문학적인 (유려한) 글 " 을 쓰고 싶다는 욕망은 가지고 있다. 가계부를 쓰기 위해서 글쓰기 요령을 배우는 이는 없지 않은가 ? " 시발, 갑자기 눈물이 났엉. ㅠㅠ " 라는 표현보다는 " 한겨울에 언 수도가 봄볕에 녹아 느닷없이 녹물을 쏟아내듯, 눈물이 터졌다. " 가 더 근사하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나도 작문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 문장 강화 훈련 >> 이나 << 글쓰기 교본 >> 따위 책을 꽤 많이 읽었다. 읽을 때마다 무릎 탁, 치며 아, 했다. 읽을 때는 내 작문 실력이 귀여니 소설에서 김훈 소설로 " 점프 컷 " 되리라는 달콤한 상상을 하며 읽었다. 책을 읽고 나서 실력이 향상되었는지 알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읽은 책에 대한 독후감을 그 자리에서 바로 써보는 것이다. 그런데 웬걸 ?! 실력이 " 점프 컷 " 하기는커녕 문장을 " 전부 cut " 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시발, 갑자기 눈물이 났엉. ㅠㅠ 좀 묵혔다가 세월이 흘러야 제대로 된 실력이 나올까 ? 그럴 가능성도 없었다. 책을 덮고 나면 3초 후에 내용을 잊어버리는 닭대가리형 인간이었으니 먼 훗날을 기약하는 것은 언감생심이었다.
툭 터놓고 말해서 나에게 글쓰기 관련 책은 글쓰기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결론은 귀에 박히도록 듣던 말이 진리'였다. "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 ! " 작문 실력 향상을 위한 길라잡이 책 한 권 읽었다고 몸에 축적될 리 없다. 그래도 작문 실력을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향상시키고 싶다면 글쓰기 교본'보다는 시집'을 읽는 게 도움이 된다. 만약에 글쓰기 교본이 작문 실력을 1% 향상시킨다면 시집은 실력을 10~ 20% 향상시킬 수 있다. 내 실력이 늘었다는 소리가 아니라 글쓰기 향상을 위해서는 글쓰기 교본보다는 시집 읽기가 효과가 좋다는 소리다. 산문이 원석이라면 운문은 보석'이다. 시는 원석'에 지나지 않는 돌덩어리를 깎고 깎고 깎고 깎은 후에 얻게 되는 작은 결정체'다.
누누이 하는 말이지만 : 시는 한 페이지를 채 채우지 못한 짧은 분량이지만 그 과정을 보면 쓰고, 찢고, 쓰고, 찢는 과정을 반복한 후 얻게 되는 결정체'다. 이 과정에서 쓸데없는 형용사, 부사, 접속사, 조사 따위는 모두 제거된다. 껍데기는 가고 알맹이만 남은 것이요, 단감이 가을 내내 말라서 곶감이 되는 과정'이다. 부피는 줄어들었지만 단맛은 오히려 강하다. 시를 읽는 것보다 더 좋은 글쓰기 수업은 없다. 점심밥 한 끼 아껴서 시집 한 권 사서 읽으면 당신의 작문 실력은 향상될 수 있다. 속담에 " 잘 싸우는 장수에게는 내버릴 병사가 없고, 글 잘 쓰는 사람에게는 내버릴 글자가 없다 " 는 말이 있다. 구구절절 옳은 소리'이다. 수전 손택이나 황현산 산문을 읽으면 그들이 얼마나 많은 글자를 깎고 오랜 시간 가을 볕에 말렸는지를 알 수 있다.
홍시는 맛있다. 하지만 문장은 홍시처럼 물렁물렁한 맛이 나면 안 된다. 문장은 곶감처럼 쫀득쫀득해야 제맛이다. 홍시보다는 아, 곶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