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벼운 마음
크리스티앙 보뱅 지음, 김도연 옮김 / 1984Books / 202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글을 쓸 때 잉크로 쓰지 않는다. 가벼움으로 쓴다.
설명을 잘했는지 모르겠다. 잉크는 구매할 수 있으나 가벼움을 파는 상점은 없다. 가벼움이 오거나 안 오는 건 때에 따라 다르다. 설령 오지 않을 때라도, 가벼움은 그곳에 있다. 이해가 가는가?
가벼움은 어디에나 있다. 여름비의 도도한 서늘함에, 침대맡에 팽개쳐 둔 펼쳐진 책의 날개들에, 일할 때 들려오는 수도원 종소리에, 활기찬 아이들의 떠들썩한 소음에, 풀잎을 씹 듯 수천 번 중얼거린 이름에, 쥐라산맥의 구불구불한 도로에서 모퉁이를 돌아가는 빛의 요정 안에, 슈베르트의 소나타에서 언뜻언뜻 보이는 가난 속에, 저녁마다 덧창을 느릿느릿 닫는 의식에, 청색, 연청색, 청자색을 입히는 섬세한 붓질에, 갓난아기의 눈꺼풀 위에, 기다리던 편지를 읽기 전에 잠시 뜸을 들이다 열어 보는 몽글몽글한 마음에, 땅바닥에서 ‘팡‘하고 터지는 밤껍질 소리에, 꽁꽁 언 호수에서 미끄러지는 개의 서투른 걸음에. 이 정도로 해 두겠다. 당신도 볼 수 있듯, 가벼움은 어디에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벼움이 믿을 수 없을 만큼 드물고 희박해서 찾기 힘들다면, 그 까닭은 어디에나 있는 것을 단순하게 받아들이는 기술이 우리에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68~69 쪽)
크리스티앙 보뱅의 <가벼운 마음> 소설의 한 대목이다.
가장 대표적인 문장이지 않을까? 싶다.
소설의 한 대목인 것인지,
에세이의 한 대목인 것인지,
헛갈릴 정도로 아름다운 문장들의 향연이다.
소설 속 화자는 가벼움으로 글을 쓴다고 했다.
가벼움이란 무엇인가?
문장을 읽으며 내게 다가온 그 가벼움의 뜻은 아름다운 시선으로 사물을 집요하게 관찰하는 습관인 것으로 들린다.
단순하게 받아들이는 기술적 가벼움으로 글을 쓴다는 것은 평범한 우리들에겐 조금 버거운 기술일 듯 하다.
단순하게 받아들이되, 내 주변 모든 것에 애정을 담은 시선이 포함되어야지 않을까, 싶다.
나는 단순하게 받아들이라고 하면, 정말 단순하게 잘? 받아들일 수 있다. 단순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똑같지만, 출력되는 질이 달라지는 게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이 문제일 것이다.
단순하게 받아들인다는 그 차이점에 한동안 꽂혀,
이 문장을 몇 번을 읽어보았고, 문장을 옮겨 기록해 본다.
따라 적다 보니 느낌은 또 새롭다.
그래서 묘한 소설이다.
문득,
책을 처음 읽었을 때, 내 주변의 가벼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단순하게 들숨과 날숨이 떠올랐다.
들숨은 유영하는 먼지를 들이마신다. 그 먼지 속엔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갇혀 있는 나의 잡생각들이 응집되어 있을 것이다.
둥둥 떠다니는 잡생각들의 먼지는 가벼울 수 있겠다.
날숨은 그 먼지들이 내 몸 기관 기관마다 죄다 훑어 모든 근심과 걱정거리를 섞어서 뱉어낸다. 그래서 날숨은 가볍지 않고 조금은 무거울 수 있겠다.
나의 가벼움은 그저 무게를 다는 용도의 가벼움으로 비유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아름다운 소설을 가볍게 만들어 버린 첫 번째 황당함이 있었다.
그리고 두 번째의 황당함.
바스티엔 오르맹. 엘리자베스의 사촌 자매다. 우리는 그녀를 위해 한밤중에 파티를 연다. 그 시간은 그녀가 무언가를 깨작거리며 먹는, 몇 안 되는 순간이다. 거식증인 바스티엔은 천사의 빵을 먹고 산다. 다시 말하면, 공기 말고는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 그녀의 부모는 농부다. 그들 집에서는 서로 얘기를 나누지 않고, 그저 먹는다. 말을 안 한다는 건, 말을 삼키는 것이다. 그녀의 엄마는 아침마다 부엌에서 닭을 자르고, 토끼 뼈를 바르고, 포도주 소스를 휘젓고, 대파파이와 쌀케이크를 굽는다. 한 번은 그 집에 초대받아 갔다가 배탈이 나서 나왔다. 우리 어머니는 그렇게 많은 음식을 차린 적이 없고, 난 그것에 익숙하다. 식탁에서 서너 시간을 보내는 그 집의 식사는 거의 살인 행위나 마찬가지다. 바스티엔의 엄마는 견딜 수 없이 세심한 배려와 해롭기 그지없는 선의의 말로 살인자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한다.
많이들 먹어라. 마음껏 먹어. 너희 나이 때는 항상 배고프잖니. 그러니 더 먹도록 해.
(87~88 쪽)
방학동안 아이들에게 밥을 차렸다.
밥을 차리는 게 귀찮지만 그래도 꾹 참고 차렸다.
(어쩌면 투비에 요리 사진을 올리며 글쓰기를 하는 것에 더 큰 목적이 있었기에 꾹 참고 차렸다는 게 솔직한 마음이다.
나는 차렸고, 사진을 열심히 찍었고, 아이들은 글쓰기 대용의 밥상을 먹어 치운 어쩌면 실험 대상? 이었다. 얘들아, 미안^^)
매일같이 먹는 집밥을 차리는 게 지겹듯, 매일같이 먹는 행위도 지겨웠을 것이다. 그래도 돌아서면 늘 배가 고파지니 어쩔 수 없이 밥을 차리고, 반찬을 차린다. 좋아하는 반찬은 금방 동이 나지만, 좋아하지 않는 반찬은 계속 다음 끼니에 올라온다.
그럼 반찬도 빨리 없애야 하고, 방학 때만이라도 살이 쪘음 싶은 부모마음에 나도 저 말을 똑같이 하곤 했었다.
˝많이들 무라. 맘껏 무라. 느그들 나이 때는 맨날 배고플 땐데 또 좀 있다가 배고프다 하지 말고, 지금 바로 많이 무라.
더 무라. 더더더....˝
위가 작은 아이들은 배 부르다고 난리다.
아이들의 위는 맛있는 반찬이 나올 때는 커지고,
맛 없는 반찬이 나오면 왜 작아지는 걸까?
암튼 혹시 나도 더 이상 못 먹겠다는 아이들에게
‘견딜 수 없이 세심한 배려와 해롭기 그지 없는 선의의 말로 살인자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한다.‘ 이 문장처럼 완벽하게 수행 중인 것인가?
읽으면서 혼자 황당해 하며, 웃었다.
이 아름다운 소설은 그래서 조금 특별한 소설로 다가온다.
아름다운 문장 속에서 나는 왜 이런 문장이 기억에 더 오래 남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아이들에게 해줬던 모종의 살인 행위였던 집밥 사진 몇 장을 올려 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18/pimg_786074123375045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18/pimg_786074123375045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18/pimg_786074123375045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18/pimg_786074123375046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18/pimg_786074123375046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18/pimg_786074123375046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