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진 1. 보온 - 세상 모든 것의 기원 오리진 시리즈 1
윤태호 지음, 이정모 교양 글, 김진화 교양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흔히 '교양'이라고 말하는 단어를 깊이 파고들고 싶었다" 라고 했는데, 이 장대한 프로젝트의 첫번째 책이 '보온'이라니. 게다가 미래에서 온 로봇이 등장한다는데 '봉투'라니. 사실 책을 처음 받고 대충 훑었을 때 이건 뭔가, 싶었다. 그러고는 만화니까 나중에 여유있으면 펼쳐봐야지 하고 그대로 책탑에 쌓아뒀었다.

그런데 며칠 전 갑자기 속이 안좋아 먹은 것을 다 토해내고 이틀을 드러누워 있으면서 이 책을 펼쳐들어봤다.

만일 내가 아프지 않았다면 그대로 그렇게 책탑에 쌓여있었을지도 모를 이 책을 펼쳐들게 된 것은 행운이라고 해야할까? 아파 죽겠는 마음에도 아픈것이 다 나쁜결과만을 주는 건 아니라는 엉뚱한 생각에 빠져들었다. 어떻게 백권이나 되는 책을 보냐? 라는 생각이었는데 역시 윤태호 작가님의 '오리진'은 끝까지 함께 하고 싶다는 생각을 굳히게 만들고 있다.

 

오리진,은 세상 모든 것의 기원을 의미한다. 그렇게 거창한 주제의 첫 시작이 '보온'이라니. 조금 뜬금없어 보이기는 했지만 그래도 이야기를 어떻게 끌어나갈지 궁금하기는 했다. 그런데 이야기는 인공지능로봇을 개발하다 망해버린 회사에서 시작한다. 아니, 그보다 첫 시작은 그렇게 생각해야하는 것일까? 아무리 과학 기술이 발달한다하더라도 인류에게 필요한 것은 기술의 발전이 아니라 마음의 성장이라고. 서로의 온정을 느끼며 살아가야만 하는 것이 인간일지 모른다고.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것은 미래에서 온 인공지능 로봇 봉투의 활약이다. 현재의 시간에서 부도난 인공지능로봇 회사에 근무하는 동구리 박사의 후손이 먼 미래에서 21세기에 맞는 인공지능로봇을 보낸다. 그 회사에 투자를 했다가 미래와 희망을 잃게 된 가장 봉황씨는 우여곡절끝에 회사연구원 네명을 셋방에 들이게 되고 인공지능로봇은 봉황씨의 둘째가 되어 봉원에 이은 봉투라는 이름을 갖고 생활하게 된다.

처음 이런 스토리가 굳이 필요할까, 라는 생각을 했는데 글을 읽을수록 역시 스토리와 짜임새는 허투루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봉투의 등장은 사람에게 중요한 '보온'의 의미에 대해 자연스럽게 알게 되어간다. "생명유지의 본능, 살려면 기본적으로 자기 체온을 유지해야 하고 그것이 생존의 기초'인 것이다. 또 그 '보온'의 의미는 논리영역만 활성화시킨 인공지능로봇에 비활성화된 '생각'이 열리면서 그것이 연민을 드러내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같은 따스함이면 같아질 수 있을까" 라는 봉투의 물음은 '보온'에 대해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렇게 생각하고보니 부도난 회사의 연구원들을 연민의 정으로 집에 데리고 온 봉황씨의 이야기나, 추위에 떨고 있는 길고양이들을 따뜻하게 품에 안아 준 봉투의 이야기 모두가 생명의 기원인 보온의 또 다른 의미를 보여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거기에 더 확장하여 지구의 보온은 지구환경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한다. 이렇게까지 생각을 확장하려 하고 있을 때 본 스토리가 끝나고 이정모, 김진화의 보온에 대한 추가설명이 이어진다. 전문적으로 깊이 파고들지는 않지만 그래도 교양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쌓는데는 모자람이 없다. 이 두가지 형태의 이야기가 하나로 합쳐져 생명의 기원인 '보온'의 한꾸러미를 완성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또 마음에 남는 이야기는 이정모 작가의 말로 대신하련다. "보온은 세상 모든 것의 기원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는 더위에 고생하고 추위에 목숨이 위태로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세상 모든 이를 안아주자. 우리 가슴에 봉투의 마음을 품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