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펜화로 읽는 한국 문화유산 - 펜 끝에서 살아난 우리 건축 천년의 아름다움
김영택 글.그림 / 책만드는집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세밀한 묘사를 하는 경우에는 하루 온종일 그려도 10x10cm 정도밖에 못 그린다. 그러니 펜화가라도 어찌 지겹지 않겠는가"(198)
책을 읽다가 역시 그렇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처음 펜화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나는 절대 그릴 수 없는 그림일꺼라고 생각했었기때문이다. 그림을 잘 그리고 싶어서 드로잉 연습을 시작해봤지만 날마다 꾸준히 같은 그림을 그려내는 것이 그렇게까지 어렵고 지겨운 것임을 절실히 깨닫기도 전에 그림 연습을 때려치우곤 했었기 때문에 더욱 더 펜화의 그림에 담겨있는 정성을 알 수 있었다.
펜화를 그리는 저자 역시 지겨움을 토로하며 꾀를 내어 손재주 좋은 후배에게 연필로 그려놓은 밑그림을 따라 단순히 선만 그려넣게 했지만 전혀 다른 그림이 된 것을 보고 선 하나도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그러니 정말 이 책에 도판으로 실려있는 저자의 펜화는 그만이 그릴 수 있는 유일한 그림인 것이다.
저자가 처음부터 펜화를 그린 것이 아니라 디자인을 전공하고 세계적인 디자이너로 성공까지 했다는 이야기는 놀라웠다. 그리고 그렇게 성공을 했지만 우연히 프랑스에서 펜화를 접하고 그때부터 펜화를 그리기 시작해 이렇게 멋진 작품을 그려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림을 다시 봐도 역시 감탄이 절로 나온다.
그래서 '펜화'에 중점을 두고 처음에는 그림만 바라보고 한꼭지씩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아무래도 저자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먼저였기 때문이었는데 글을 읽다보니 오히려 펜화로 읽는 '한국 문화유산'에 중점을 둬야 할 것 같기도 하다. 그만큼 우리 문화 유산인 건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역사에 대한 이야기까지 하나 버릴 것없이 소중하다.
지난 번 수막새에 대한 책을 읽었었는데 그때 정확한 우리말이 무엇인지 궁금해 검색하며 찾아봤지만 확신을 할 수 없었다. 그런데 이 책에 '수막새'의 본래 이름은 '막새'이고 암막새는 '내림새'가 맞는 이름이라고 한다. 우리의 전통 특수 기와를 재현한 전설의 와장 김영림 여사가 가르쳐준 것이라고.
펜화는 대상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는데 그림이나 사진과는 또 다른 정교함으로 펜화만의 매력을 더해주고 있다. 우리 지역의 그림이 없어서 조금은 아쉽지만 나중에 저자의 펜화와 실제 건축물이나 나무, 풍경을 보며 비교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또 그냥 그렇게 봤던 펜화의 매력도 달리 느껴질 것 같고 저자가 그려낸 펜화의 원대상이 있는 세상도 달라 보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괜한 설레임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