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한국 현대사 - 피와 순수의 시대를 살아간 항일독립운동가 19인 이야기
안재성 지음 / 인문서원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헌영, 이현상, 김삼룡...

그리 낯선 이름은 아닌데 왠지 낯설게 느껴진다. 솔직히 지금도 우리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빨갱이'라는 것으로 모든 기록은 덮어져버리곤 한다. 간도특설대원으로 항일독립운동가들을 잡아가는 매국행위를 한 백선엽은 한국전쟁때 혁혁한 공로를 세웠다는 이유만으로 칭송받고 있는데 말이다.

그래서 우리의 역사를 생각하면 언제나 마음이 답답해지고, 왠만해서는 떠올리고 싶지 않은 과거의 역사에 '만약에'라는 걸 자꾸 떠올려보게 된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모든 것이 그렇게 이상하게 흘러갔다 하더라도 친일청산만이라도 되었더라면...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우리의 역사는 반쪽이 될수밖에 없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목숨을 바쳐 항일투쟁을 했다 하더라도 그 사람의 사상의식의 뿌리가 사회주의에 있고 노동운동을 했다면 그의 업적은 슬그머니 사라지고, 해방 후 북한으로 넘어가기라도 했다면 그 사람의 존재조차 사라져버린 역사를 배워왔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문학에서조차 정지용이라거나 백석의 시는 세월이 흘러 해금이 되어서야 비로소 우리에게 존재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물며 정치권력을 잡음으로써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정치가들에게 있어서 사상의식에 대한 공격은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것이기에 사상검증이 되지 않은 이들의 항일독립활동은 소리소문없이 묻혀버리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에 실려있는 항일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이야기는 그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품성에 대해 과장되지도 않고 미화시키지도 않으면서 동시대인의 증언이나 기록으로 사실적 접근을 했다는 것 역시 글에 대한 신뢰를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가지 좀 아쉬운 것은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항일독립운동가 19인'의 이야기가 담겨있는데 그 시대의 조선공산당이라거나 그들의 노동운동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이들의 행적이 더 크게 와닿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는 것이다.

 

혹독한 일제의 감시와 고문을 이겨내고 해방 이후 오히려 친일로 몰리거나 사상범으로 몰려 처형을 당했던 항일독립운동가들의 최후는 더욱더 마음이 아프다. 저자의 이야기처럼 그들에 대해 증언을 해 줄 이들도 사라져가고 찾아낼 수 있는 기록들도 점점 찾기 힘들어져가고 있다. 더 늦기전에 조국의 독립과 자유와 평등을 위해 살다간 그들의 삶을 제대로 조명하여 그 위대한 삶의 여정을 우리가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더 많은 이름들이 있을 것이고 이 책에도 독립활동을 한 수많은 이름들이 나오지만 적어도 그 모두를 아우르는 19인의 이름만이라도 기억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박헌영, 이관술, 이주하, 김형선, 이승엽, 홍남표, 김삼룡, 이현상, 이순금, 김무정, 권오직, 홍덕유, 이강국, 임화, 박진홍, 김명시, 최용달, 정칠성, 김원봉. 그리고 무명씨들... 내가 아는 이들, 내가 아직 모르는 이들... 모두를 기억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