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인 에어 납치사건
재스퍼 포드 지음, 송경아 옮김 / 북하우스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제인에어 납치사건 - 제인에어라는 책의 인용은 거의 없는 제인에어에 관련된 책. '만약 루이스 캐롤이 추리소설을 썼다면 '제인에어 납치사건'과 같은 작품이 탄생했을 것이다'라는 말에 동감.
앞부분을 읽으면서 뭔가 좀 이상해 작가 연혁을 봤더니 아니나다를까 영화산업에서 20여년 이상을 일했다고 나온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의 작가 재스퍼 포드라는 사람이 문학에 문외한이라 못박을 수 없다. 오히려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이 아닐까?
몇년 전 마이너리티라는 영화를 보지 않았다면 이 책의 전개과정이 쌩뚱맞게 느껴졌겠지만 어딘지 익숙한 시간의 흐름과 문학작품과 맞물리는 작가의 상상력이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만들었다.
사실은... 제인에어를 읽은지 꽤 오랜 세월이 지났기에 내용의 전개에 자신이 없었다. 그래서 처음부터 헷갈리기 시작했다. 제인에어가 이랬나?
조금씩 읽어나가면서 나의 기억력을 탓하지 않고 작가의 상상력이 보이기 시작하니 나로서는 감히 어찌해 볼 수 없는 이야기들을 이렇게 풀어놓는 것을 보면서 칭찬을 아낄 수는 없다. 더구나 작가가 늘어놓는 이야기들은 영상매체로 담아내려고 하는 의도가 들어있다기보다는 '문학 텍스트' 자체만이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게 한 것 같아 더욱더 좋다.
책을 읽으며 느낀거지만 이 책은 정말 '제인 에어'에 대한, 아니 모든 문자로 씌어진 문학에 대한 찬사라고 생각된다.
어떤이는 읽으면서 이 책이 황당무계하다고 느낄지도 모르겠다. 지루해 할지도 모르겠고.. 하지만 나는 그러한 황당함이 오히려 더 재미있었다. 작가의 애교있는 상상력이 무척 마음에 든다. 스스로 제인 에어를 훼손했다며 인용하는 글을 읽을 때는 큰소리로 웃기까지 했으니 내게 이 책은 정말 재밌는 책이었다.
[나는 제인 에어를 상상히 훼손해 버렸다. 그녀의 창가에서 내가 외친 '제인, 제인, 제인!' 소리는 그 책을 영원히 바꿔놓았다. 그것은 내가 받은 훈련에 반하는 것이었고, 내가 지키기로 맹세한 모든 것에 반하는 것이었다. 나는 그것을 로체스터의 상처와 손필드의 소설에 대해 내가 느끼는 책임을 뉘우치는단순한 행위 이상으로 생각지 않았다. 나는 의무가 아닌 동정심에서 행동했고, 때때로 그것은 나쁘지 않았다. - 서즈데이 넥스트의 일기] <본문에서 따옴>
재스퍼 포드는 제인 에어를 훼손했다며 이렇게 글을 쓰고 있지만, 오히려 이러한 글로 인해 완벽한 결말을 찬양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