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 - 18세기 조선의 문화투쟁
백승종 지음 / 푸른역사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내용과 느낌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꺼내고 싶은 이야기는 그런것이었다. 내게는 생소하기만한 '강이천'이라는 사람에 대한 연구는 도대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었을까? 라는 그런 궁금증. 사실 사학자도 아니고 우리의 역사에 유별나게 관심이 많거나 정통해있는 것도 아닌 그저 평범하게 역사 이야기가 재미있고 사회문화적 상상력이 재미있기만한 내게 이 책은 어떤 의미가 될까 하는 호기심어린 궁금증이 있었을 뿐, 18세기 조선후기의 정치 사회 문화적인 상식도 없는 내가 이 책을 쉽게 읽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없이 그저 단순함으로 책을 펼쳐들고 읽어댔다.

이름없는 불량선비 강이천과 당대 국왕 정조의 문화적 지배권력을 둘러싸고 벌인 18세기 조선의 문화투쟁,이라는 말에 좀 더 현혹되기는 했지만 내가 이 연구서에 좀 더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목차와 내용에서 얼핏 보이는 정감록, 천주교라는 말 때문이었다. 제주 신축교난을 배경으로 한 현기영의 소설 변방에 우짖는 새를 읽으면서 국사시간에 어렴풋이 들어봤던 것 같은 정감록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 정감록은 조선후기에 저변확대된 천주교와 더불어 조선 사회의 문화적 변동을 이끌었다는 것은 내게 생소하기만한 선비 강이천보다 더 관심이 가는 이야기이기도 했다. 

'이 책은 문학사조로서 소품문, 당시 기성권력을 위협하고 있던 <정감록>을 비롯한 종교, 사회운동, 반체제 문화운동으로 인식되던 천주교를 씨줄과 날줄로 삼아 1797년에 일어난 강이천 사건을 파헤친다. 전체적으로 보면 사소한 여러가지 사실을 새로 밝히는 실증적 연구의 성격이 강하다. 하지만 그 시대를 움직인 문화담론으로 새롭게 해석한 데 특징이 있다'
솔직히 저자의 강이천 사건 연구의 글을 읽는 동안 완전몰입이 되지는 않았다. 아무리 객관적이라는 평정심을 유지하려 해도 이미 오랜시간동안 한국천주교회사를 익혀왔고 한국순교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왔기 때문에 조금은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저자의 천주교를 바라보는 시각은 쉽게 와 닿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가 이야기하는 강이천의 사회적 상상력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는 좀 더 깊이 생각해봐야 할 문제로 남겨둘 것이다.

책을 읽어나가는 동안 점점 더 궁금해지는 것은 왜 하필 강이천이라는 인물에 대한 연구와 그의 시각으로 당대의 사건을 재구성해보고 있는 것일까,였다.
'1797년의 강이천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은 결코 하나일 수가 없다. 국왕 정조의 입장도 잇고, 그 사건의 주범이라 할 강이천의 관점도 있다. 강이천과 동지관계였던 김건순과 김려 형제도 그들 나름대로 이 사건을 다르게 인식하는 점이 있었을테고, 이 사건의 배경으로 작용한 주문모 신부 또한 무언가 또 다른 시각이 있었을 것이다. 국왕 정조의 편에 서서 이 사건을 직접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했던 조정 대신들의 입장도 그들 각자가 속한 정파에 따라 상당한 시각차가 없지 않았으리라. 이렇게 하나씩 따지면 그야말로 무수히 많은 관점이 상정된다.....동일한 사건이라도 각자 입장과 처지에 따라 그 사건의 의미와 여파는 천차만별이었다. 역사가인 나는 내가 가장 큰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강이천의 시각에서 1797년의 사건을 바라보았다. 다시 말하지만 이 책에서 내가 강이천의 입장을 중시한 것은 그것이 객관적으로 중요해서라기보다는 내 자신이 그의 행위에서 의미를 느꼈기 때문이다.'(373-379)

학창시절 수업시간에 배운 우리의 역사는 왕조사중심이었을뿐이었다. 입시경쟁에 밀려 국사책의 온갖 내용을 암기하게 하고 역사적인 사건을 일일이 조사해 노트필기를 숙제로 내주었던 국사선생님이었지만 수업시간에 가끔은 왕조사중심의 역사 이야기의 이면에 담겨있는 의미를 재미있게 이야기해주시곤 했었다. 역사적인 사실뿐만 아니라 그 사실의 기록을 해석하는 여러학자들의 견해를 이야기해주셨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것이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있음을 깨닫게 해 주었고 또한 문화적, 사회적 상상력을 갖고 역사를 이해하는 방법을 알려주셨던 것이 아닐까 싶다.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사회문화적 상상력을 동원해 하나의 사건을 다양하게 바라보는 시각을 일깨워주었다. 또한 저자 스스로 이 책에서 강이천의 입장을 중시한 것이 객관적인 중요성보다는 그의 행위에 더 큰 의미를 두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듯이 역사속의 사건이 사실의 의미만이 아니라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를 찾는 것이 또한 중요함을 생각하게 된다.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