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표본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북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마가 광기를 심어준 게 아니다. 광기는 처음부터 내 안에 있었다. 그런 인간을, 세상은 필시 악마라 부르리라."(105)


역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미나토 가나에의 작품, 데뷔 15주년 기념작이라 할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재미있게 읽었다, 라는 표현을 쓰기에는 그 내용이 결코 재미있는 것은 아니다.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 정신없이 읽다가 어느 순간 그 흐름이 바뀌어버리고 이미 사이코패스같은 살인마임을 확신하고 있는데 또 다른 의심의 물꼬가 트이기 시작하면서 마음이 더 심란해지고 있음을 느끼게 되어버린다. 사실 책을 다 읽고난 후 처음 들었던 생각은 작가의 저력이 아니라 불편함이었다. 뭔가 꼬집어 얘기하기 힘든 불쾌함 같은 감정.

옮긴이의 말을 읽어보니 이런 감정은 나만의 특별한 감정은 아닌 것 같다. '읽고 나면 뒷맛이 찝찝하고 기분이 언짢아지는 '이야미스'(일본어로 싫다, 불쾌하다는 뜻의 이야나와 미스터리의 합성어)라고 일컬어진다고 하는 걸 보면. 


"인간도 가장 아름다울 때 표본으로 만들 수 있다면'이라는 문구를 읽으며 사이코패스의 엽기적인 행위를 아름다움으로 포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겠지,라는 생각을 하기는 했는데 소설 속에서 표현하는 나비와 표본을 뜨는 구체적인 모습은, 상상할수도 없는 것이기도 하지만 은근슬쩍 대충 넘겨버리기도 했다. 내게는 잔혹함의 느낌이 너무 크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 부모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 나를 믿어주기를 바라는 마음.... 이 모든 것들이 뒤엉키며 이야기를 끌어가고 있는데 마지막까지 도대체 이 섬뜩한 일을 벌인 사이코패스가 누구라는 거야,라는 생각을 하다가 어느 순간, 가장 큰 잘못의 시작은 사랑이라는 명목하에 믿음을 저버리고 그것이 모든 것을 다 망쳐버리게 하는구나 라는 깨달음이 생긴다. 

아버지가 아들을 죽였다는 살인자의 고백처럼 시작되는 이야기는 그 끝을 다 읽을 때까지 내내 마음이 불편하고, 누가 누구를 속이는 것인지 소설 이야기에 집중하고 있다가 어느 순간 깨닫게 되는 사랑과 믿음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마음에 시선을 돌리게 되는 것이다. 


"나비의 왕국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일찍이 본 적 없는, 아름답고 잔혹한,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 이야기를 선사합니다. 당신 눈에 비치는 세상은, 타인이 보는 세상과 똑같을까요?"

저자의 친필 사인을 먼저 읽고 책을 읽었는데 그저 가볍게 읽었던 이 글이 책을 다 읽고난 후에는 완전히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