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쟁 2 -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가이자 독립운동가 이도영
박순찬 지음 / 아라크네 / 2025년 8월
평점 :
독립운동가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가 이도영,의 삶을 그려냈다고 해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평전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기생 매향의 이야기는 실존인물을 빗대어 그려낸 작가의 이야기인 것을 알았다. 뭔가 극적인 이야기의 흐름을 기대했는데, 저항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 살아남아 끝까지 독립운동을 한 우리의 위대한 선조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보고 배울 것이 많은 스토리텔링이라는 생각이 든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기생들이 그림자처럼 독립운동가를 돕고 독립운동을 했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로 기록되고 있는데 이 책에서도 그를 통해 이도영의 생각이 바뀌어가는 것을 '그림'을 통한 변화로 표현하는 것이 놀랍기도 했다.
그림이라는 것에 대한 관점과 생각이 바뀌면서 그림의 표현이 바뀌기 시작하고 한겨울에 피어나는 매화꽃의 고고함을 표현하는 중국의 화풍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우리나라의 매화는 그 피어나는 시기가 다름을 인식한다면 자연을 그려낸 그림의 뜻이 또 달라질 수 있음을 환쟁 1권을 통해 처음 생각해보게 되었는데, 지금까지의 화풍과는 다르게 자연을 표현하고 시대상황을 반영한 풍자만화를 그려냈다는 것에서 이도영의 그림은 큰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사실 지금의 우리에게 한 컷의 그림을 보면서 세태를 풍자하고 시대적 반영을 볼 수 있다는 것이 그리 놀랍지는 않지만 한세기 전에 처음으로 시도된 시사 만화의 그림은 정말 놀라운 일이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독립운동가이자 최초의 만화가 이도영의 삶을 통해 일제강점기의 시대상과 당시 민중들의 고달픔도 느끼게 되는데 이건 아마도 이 책의 저자인 박순찬님의 오랜 세월 그려 온 시사 풍자 만화의 역량이 이 책에도 그대로 담겨있어서 그런 것이 아닐까.
그림에 대한 이해도 쉽게 할 수 있고 서양의 화풍이 전해지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그림을 볼 수 있었다는 것과 그림이 단지 보이는 것을 종이에 옮겨놓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도 새삼스럽게 생각하게 되어서 또 한명의 독립운동가를 알게 되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각자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통해 독립운동을 했던 선조들의 삶에서 더 많은 것을 배워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