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나무 아래의 죽음 캐드펠 수사 시리즈 13
엘리스 피터스 지음, 김훈 옮김 / 북하우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랫만에 캐드펠 시리즈를 읽는다. 재판본이 출간되면서 - 그때도 무더운 여름이었던 것 같은데 두 권의 책을 가방에 넣고 동네 도서관에 가서 단숨에 다 읽은 기억이 있다. 시리즈 도서의 구체적인 내용보다 무더운 여름에 시원한 도서관 열람실에서 재미있게 읽었던 그 분위기만을 기억하고 있다니.

내가 정말 캐드펠 시리즈를 읽은것이 맞을까? 라는 엉뚱한 생각으로 빠져들어가고 있는데, 뭔가 한가지는 분명히 떠올릴 수 있다. 내가 기억하는 캐드펠 시리즈의 이야기들은 '살인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이야기지만 기승전 '다정함'이다. 그리고 이 책 '장미나무 아래의 죽음'이 그 다정함을 최대치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미망인이 된 주디스는 자신 소유의 집을 수도원에 기부하고, 성 위니프리드 축일에 그 집의 장미나무에서 핀 장미 한송이를 받는 것을 계약조건으로 내건다. 그녀에게 장미 한송이를 전달하는 수사의 고뇌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는 시기와 질투, 욕망에 대한 이야기로 흘러갈까 싶었는데 역시나 그보다 더 깊은 이야기를 담고 있을뿐만 아니라 상황을 주도해나가는 '주디스'의 활약이 중요한 키 포인트를 주고 있다. 굳이 또 언급을 하지 않아도 캐드펠 시리즈의 이야기에는 어떠한 편견이나 차별이 담겨있지 않다는 것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주디스의 장미나무 아래에서 살해당한 수사의 시신이 발견되고 그 사건을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또 사건이 발생한다. 사실 살인사건 이후 이야기의 흐름으로 - 아니, 그냥 감이라고 해도 될 것 같은데, 아무튼 이 사건의 경우 범인은 바로 그 사람이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의심의 여지없이 생각했던 그 인물이 바로 범인이다. 

캐드펠 시리즈에서 감으로 범인을 찾아내는 것은 첫머리에 언급한 것처럼 이야기안에 담겨있는 다정함 때문인 것이고 - 이건 솔직히 지극히 사적인 감상이라 할 수 있는 - 에피소드를 따라 가면서 살인사건의 범인을 찾아내는 과정을 읽는 재미가 있는 소설이다. 


어떤 측면에서는 너무나 뻔한 소설이라고 여길지 모르겠지만 각 인물들이 보여주는 인간군상과 심리묘사, 우연과 필연의 사건들, 그리고 결국은 옳은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는 캐드펠시리즈는 추리소설의 고전 명작 시리즈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정의란 물론 좋은 거죠. 하지만 정의가 나쁜 짓을 한 자보다 희생자에게 더 큰 해를 끼친다면, 과연 좋다고만 할 수 있을까요? 이제 부인이 곤경에서 빠져나왔으니 숨겨진 것은 숨겨진 채로 묻어두기로 하죠."(2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