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시대정신이 되다 - 낯선 세계를 상상하고 현실의 답을 찾는 문학의 힘 서가명강 시리즈 27
이동신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서가명강 시리즈 중 27번째로 영어영문학을 전공한 이동신 교수의 영미문학을 중심으로 한 SF 소설에 대한 글이다. "낯선 세계를 상상하고 현실의 답을 찾는 문학의 힘"이라는 부제에서 SF문학의 의미를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한때 과학소설의 앞에는 항상 '공상'이 붙어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외국에서는 지금도 SF와 판타지가 같은 장르로 분류되어 있다고 하는데 비슷한 듯 다른 것이 두 분야일 것이다. 상상과 공상이 다른 것처럼 과학소설과 판타지소설은 분명 다르다는 것은 알겠다. 


잘 안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래도 나름 꽤 많은 SF를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소설의 제목은 들어봤지만 실상 읽은 책은 몇 권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다행인 것은 소설을 읽지 않았다 하더라도 개념과 각 시기별로 변화되어가는 SF의 대중적인 인기에 대한 역사적 흐름은 어렴풋이 알 수 있을 것 같다. 과거에는 과학적 발견에 대한 전파의 수단으로 잡지형태로 SF문학이 생겨났다고 한다면 전쟁으로 인한 종이소비의 변화가 SF소설을 잡지가 아닌 책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좀 흥미롭게 느껴졌다. 


SF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시간'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고 있는데 우리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타임슬립은 이미 흔한 이야기가 되어버렸지만 타임슬립으로 인한 시공간의 변화가 다루고 있는 것은 그저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가거나 미래로 가는 것에 대한 판타지가 아님을 깨닫게 해 준다. 내가 읽은 타임슬립 중 가장 충격적인 것은 오래전에 읽었던 한국만화가 강경옥의 별빛속에와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이었다. SF가 공상과학을 그려내는 미래의 판타지가 아니라 현실세계를 반영한 작가의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깨닫게 해 준 작품들이었다. 이 책에서 옥타비아 버틀러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것이 조금 아쉽기는 하지만 서가명강 시리즈가 일반 교양을 강의하는 시리즈인것을 생각한다면 그리 이상할 것이 없기는 하다. 


SF적 상상력, 우리가 SF를 읽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지만 솔직히 21세기에 '사변적 과학소설이 필요하다'는 저자의 글이 쉽게 이해되지는 않지만 "우리가 알고 있던 지식 혹은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과학 지식체계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과연 존재하는지 물어보고 그런 게 있으면 그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나서는 장르가 SF라는 것"(207)이며 그 대표적인 예가 지구온난화라는 말은 좀 알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이제 또다시 나는 SF소설을 찾아 읽는다. 

이 책의 저자 이동신 교수가 영어영문학을 전공하여 한국작가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는 수줍은 고백과 함께 한국작가 김초엽을 언급했는데 짬을 내어 김초엽 작가의 작품을 빨리 읽어야겠다는 생각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