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해류 - 진화의 최전선 갈라파고스에서 발견한 생명의 경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최재천 감수 / 은행나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라파고스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어봐서 그런지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증명이라거나 생명과학, 인문과학의 측면이라기보다는 좀 더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되는 관심이 더 크다. 그래서 백여개가 넘는 도판 수록, 이라는 말에 혹해 이 책은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도 만족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런데 도판에 대한 내 기대치가 실제와는 너무 달랐던가. 처음 책을 펼쳤을 때 도판이 눈에 띄지 않아 당황스러웠고 책장을 휘리릭 넘기며 찾아본 도판은 갈라파고스의 생명체에 대한 사진이라기보다는 여행자의 기록사진 같은 느낌이라 또 당혹스러웠다. 그렇게 기대했던 것과는 좀 다른 느낌이었지만 이 책을 갈라파고스 제도를 여행한 분자생물학자의 여행에세이 정도로 읽는다면 더할나위없이 훌륭한 책이지 않은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출발하기 전 서문이 좀 길게 쓰여졌다 싶기도하고 그리 궁금하지 않은 배의 구조와 화장실의 작동에 대해서는 또 왜 그리 길게 이야기하고 있나 싶었는데 저자 후쿠오카 신이치가 단순히 여행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옛날 다윈의 비글호가 항해했던 그 항로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며 생태보존을 위해 최소한의 흔적을 남기기 위한 것임을 떠올리고 보니 이 책의 이야기가 진화론의 증명이라거나 단순히 호기심어린 눈으로 득특한 생물을 구경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런 생각을 하게되니 이건 뭔가,라는 느낌에서 좀 더 흥미롭고 진지한 이야기로 읽게 되기 시작하게 되기도 하고.


갈라파고스제도에 수많은 섬이 있는데 그 중 플로레아나섬은 가장 오래된 섬이며 갈라파고스가 에콰도르의 영토임을 기정사실화 하기 위해 이민단이 이주를 위해 정착을 시도한 섬이기도 하다. 먹을 식량과 식수의 보급에 최적이라 원래 서식하던 땅거북이 그렇게 이주한 인간에 의해 멸종되었다는 것도 놀랍지만 에콰도르의 영토권 확보가 없었다면 이미 개발이 되어 진화의 최전선이라 불리는 갈라파고스는 휴양관광지가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말에는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수없다. 


저자의 글을 천천히 읽다보면 생명에 대한 경이로움뿐만 아니라 삶과 관계에 대한 인문철학적인 고찰도 같이 하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의 묘미는 백여개의 도판에도 있지만 그에 더한 글에 있지 않을까.

책의 뒷부분에는 갈라파고스에서 만난 생물들,이라고 해서 생물들의 도판이 잔뜩 실려있다. 책을 읽기 전에는 그 부분이 이 책의 핵심이라고 생각했었지만 책을 읽고 나니 그 경이로움을 보기 위한 과정의 글이 진수임을 깨닫고 있는 중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22-09-23 2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궁금했었어요. 그 유명한 갈라파고스가 왜 돈벌이 대상이 안 된 체 그대로 있는지에 대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