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매혹한 돌 - 주얼리의 황금시대 아르누보, 벨에포크, 아르데코 그리고 현재 윤성원의 보석 & 주얼리 문화사 2
윤성원 지음 / 모요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를 움직인 돌,의 작가 윤성원님의 두번째 보석 문화사 이야기가 나왔다. 정말 오래전에 읽은 책 느낌인데 작년에 첫번째 책을 읽었다는 걸 확인하고 좀 놀라고 있다. 명확한 내용들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보석을 단순한 장신구 정도로만 생각하다가 그에 대한 시선이 조금은 바뀐것은 당연히 인식하고 있다.  

세계를 매혹한 돌,은 주얼리의 황금시대라 할 수 있는 근현대의 이야기를 시대별로 정리해주고 있다. 세계사를 통해 조금은 익숙한 역사 속에 등장하는 보석과 주얼리의 이야기라 그런지 그 흐름과 배경이 색다른 느낌에 더해 세계 미시사를 읽는 느낌인 것도 좋았다.


보석의 매혹적인 아름다움에 대해서는 여전히 좀 둔감한 느낌이지만 여성의 목을 장식한 초커의 시작이 프랑스 혁명의 시기에 교수형의 죽음에서 살아났지만 목에 깊이 패인 상처를 감추기 위한 것에서 시작하여 무자비한 혁명에 반대하는 드레스코드가 되었는데 그것이 또 시간이 지나면서 매춘부의 상징으로 까만 초커가 등장했다는 이야기는 마네나 드가의 그림을 통해 익숙하게 봤던 느낌보다 더 강렬한 인상으로 남는다. 그리고 이후 초커는 귀부인들의 장식소품으로 화려하게 변화하게 되었다니 정말 역사와 문화사를 통해 그 변화의 의미를 알게 되는 것의 즐거움은 묘한 설레임을 갖게 하는 것 같다. 물론 그 느낌이 늘 즐거움의 의미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역사의 어두운 면도 알아야하는 것이지만.


아르누보와 벨에포크, 아르데코 시대를 거치면서 왕족 중심으로 화려한 모습을 보여주던 주얼리들은 신분계급의 몰락과 맞물리면서,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조금씩 분해되기 시작했는데 왕조사 중심의 역사를 접하다가 영국 왕족의 변화와 메리 왕비의 일화를 중심으로 주얼리 이야기를 읽고 있으려니 근대사를 다시 확인해보고 싶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근현대사를 다시 살펴보지 않아도 뭔가 다이아몬드의 수요 공급을 조절하고 독점하기 위한 드비어스의 이야기는 현대사회의 자본독점이 도를 넘어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굶어죽어가는 아이들이 있어도 수요 공급을 조절하며 자본의 이익을 위해 식량이 되는 옥수수를 바다에 버린다고 했던 이야기와 뭐가 다를까 싶은.


블러드 다이아몬드라고 알려지며 천연 다이아몬드의 채굴이 윤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강조하는 시대가 되었고 합성다이아몬드의 생산이 시작되면서 탄소중립을 넘어 기후중립을 강조하게 되는 것까지 보석과 주얼리가 사치품을 넘어 '아름다움'을 담는 것으로 바뀌어가게 되는 것은 좀 반가운 소식 같다. 

사실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는 미학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이 책에 삽입된 주얼리 사진들을 보고 있으면 그 디자인과 보석세팅에 감탄을 하게 될때도 있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은방울꽃 모양의 진주 브로치였고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여러 탄생비화를 갖고 있는 까르띠에의 알도 치폴로가 디자인한 나사못 모양의 네일팔찌이다. 탄생비화 중 하나가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사실 예전에 누군가에게 받았던 십자가 목걸이의 십자가 모양이 못의 형상 두 개를 가로 세로로 이은 것이었던 것이 생각나서 더 기억에 남은 것이다. 


여전히 보석과 주얼리와는 거리가 멀지만 '세계를 매혹한 돌'의 이야기는 흥미롭다. 그냥 반짝이는 돌이라고만 생각하다가 그 반짝이는 돌에 얽혀있는 문화, 역사 이야기를 통해 시대의 취향과 트렌드를 엿보는 것이 재미있어지는 매력있는 이야기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