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시체가 되고 싶어 - 유쾌하고 신랄한 여자 장의사의 시체 문화유산 탐방기 시체 시리즈
케이틀린 도티 지음, 임희근 옮김 / 반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사람도 아니고 좋은 시체가 되고 싶어, 라니. 처음 이 책에 대한 기대는 장의업 일을 하는 저자가 여러 장례 문화를 접하며 죽음에 대한 고찰을 하는 이야기일꺼라는 것이었는데 책을 읽으며 뭔가 이상한 느낌이었다.

사실 처음 책을 읽으며 장작더미에서 시신이 타는 그 과정을 읽을 때, 십여년 전 친구의 죽음에 화장터까지 가기는 했지만 차마 그 불가마앞에는 서지 못하다가 마지막이라는 누군가의 외침에 다가갔던 기억이 떠올랐다. 타오르던 불꽃밖에 기억나지 않는데 그럼에도 오히려 보지 않았던 것보다 낫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래서인가. 장례문화에 대한 문화적인 접근이라기보다는 적나라하게 시신을 화장하는 과정이라거나 화장하면서 생겨나는... 그 묘사들, 심지어 장례를 치르기 전 미이라가 되어가는 시신과 함께 살아가는 인도네시아의 토라자나 멕시코의 미초아칸 지역의 이야기는 정말 그로테스크 그 자체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끔찍하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는다. 

평소라면 그 묘사에 대한 이야기만으로도 분명 끔찍하다는 생각을 했을텐데 오히려 담담해진다. 인육이라는 표현조차 어떤 이야기로 이어질까 궁금해지고, 시신을 기부해서 법의학적으로 연구하기도 하지만 시신을 썩혀 퇴비로 만든다는 것 역시 끔찍하다는 생각을 하다가 문득 매장되어 육신이 썩으면 세월이 흘러 결국 똑같아지는 과정을 줄이는 것 말고 다른게 뭔가 생각하게 된다. 흙에서 왔으니 흙으로 돌아가라,는 성경말씀과 같은 것 아니겠는가.


매장문화에서 화장으로 옮겨갈때도 처음부터 시선이 좋지는 않았다고 기억한다. 하지만 요즘은 거의 화장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저자는 땅덩어리가 넓은 미국에서도 현재는 화장을 택하는 수치가 매장보다 높아졌다고 하니 장례에 대한 의식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계속 변화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든다.

멕시코의 망자의 날 축제라거나 우리가 제사를 지내며 돌아가신분들을 추모하거나 가톨릭에서 위령의 날을 보내는 것들 모두가 형식은 다르지만 먼저 세상을 떠난 이들을 기억하는 것이다. 예식의 형태는 다르지만.

언젠가부터 죽은이들을 대하는 태도가 공포와 두려움이 되었고 납골당은 혐오시설처럼 여겨져 동네에 납골당이 생기면 모두 결사반대를 한다고 들었다. 그런이들에게 이 책을 읽어보라고 권해보고 싶어지기도 한다. 그들은 이들의 장례문화를 어떻게 생각할까?

그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죽음'과 그 죽음을 대하는 자세, 물론 본인의 죽음을 마주보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타인의 죽음에 대한 마음과 태도가 어찌해야하는가에 대한 생각이 많아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