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의 분석심리학과 신화
Steven F. Walker 지음, 장미경 외 옮김 / 시그마프레스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나는 공산주의에 대해 전혀 두렵지 않다. 나는 무의식과 현대과학이 두렵다" - 칼 융


조목조목 신화를 대조하며 분석심리학적 툴로 해석하는 방식을 가르침하는 자상한 책을 기대했다. 신화의 구조와 유형에 대한 관심으로 분석심리학과 융 그리고 신화가 동시에 언급된 도서들에 목말라했었는데 코냑을 기대하다가 맥주 한 캔에 퉁친 샘이 되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악평을 유발하는 정도의 저작물은 아니다. 분석심리학의 기본툴들을 아우르고는 있다. 다만 상세한 신화와 그 원형상들과의 관계와 해석이 간소하다는 것뿐이다.


이 책에 실망했다기엔 오히려 융 학파의 신화 해석에서의 갈등 내지는 충돌 사이에서 어떻게 분석심리학이 발전해 왔는지를 짚어주기도 하며 칼 융 박사가 남성으로서 한계를 느꼈을 여성이 보는 아니무스에 대해 융 학파의 여성학자들이 선전한 내용들이나. 학계의 다양한 업적이 발전해온 과정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다만 나의 독서 목적이 분석심리학적 툴로 신화를 해석하는 방식을 좀 더 깊이 있고 폭넓게 아우르는 가르침을 얻고 싶어서였다는 게 함정이었던 것 같다. 어쨌건 신화 관련 다음 도서는 이창재님의 『신화와 정신분석』을 읽으려 하는데 이건 목차를 보니 기대를 배반하지 않을 저작이라는 확신이 드는 키워드들이다. 


그래도 이 책을 읽으며 든 짧은 생각 하나는 세상이 위기와 불안으로 가득 찰 때 그에 대한 보상의 차원에서 신화적 원형상들이 드러난다고 본서에서는 이야기하는데 현재의 세계가 점점 위기와 불안이 팽배해지고 있는 국면이다 보니 《진격의 거인》 《2012》 《월드 워 Z》 《나는 전설이다》 《부산행》 《판도라》 같은 유형의 영화들과 수퍼히어로물 영화들이 이 시대의 위기와 불안에 공명하는 집단무의식이 드러낸 신화적 원형상들을 닮아 있는 것만 같고... 사람들의 위기감과 불안심리를 통해 분석심리학을 역이용하고 있는 통합적 세력이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구심마저 드는 지경이다. 사실 의구심이 아니라 확신에 차있긴하지만... 공산주의니 자본주의니 하는 체제가 두려움의 근원일 수 없고 이런 체제들을 강력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람 이런 체제의 첨단 위에서 세상을 조망하고 운영할 수 있는 사람 그런 사람들의 무의식이 두렵고 현대과학이 그 두려움을 공포로 가져다줄 수도 있는 시대다. 그렇다 보니 무력감을 못이길 때가 더러 있는 게 아닌가 싶다. 그래도 그건 풀어나가라고 있는 문제들일 텐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