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30년 전쟁 - 변방에서 지배자로, 끝나지 않은 도전
이지훈 지음 / 리더스북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서의 서두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트럼프 재집권을 경제적으로 부정적인 변수로 보고 있는 경제학자들이 많은 것 같다. 하지만 현재의 세계 상황으로 보아 민주당 정권이 유지되었다고 한다 해도 불안정성의 규모가 작아지지는 않았을 것 같다. 긍정적인 관점으로만 보자면 테슬라의 사주이기도 한 일론 머스크가 2500억을 후원하며 트럼프를 지지해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한 마당에 배터리 분야에서만큼은 전기차에 대해 불리한 정책을 펼치기보다는 유리한 고점을 만들 가능성이 크지 않나 싶다. 전기차의 수요와 판매가 정체되는 캐즘을 타파할 전략이 마련되는 것이 되려 트럼프 정권하에서일 수도 있다고 여겨지는 것이다.

 

[K-배터리 30년 전쟁]이라는 본서는 말 그대로 한국 배터리 업계의 30년 역사를 돌아보는 저작으로 본서의 소개로는 지난 역사의 복기가 다음 역사를 준비하는 효시가 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해당 산업의 관계자들이 그 분야의 30년 역사를 모를 것 같지는 않기에, 일반 대중의 입장에서는 우리가 선도하는 분야에 대한 상식을 알아간다는 의의와 투자 대상에 대한 일반 상식을 쌓을 수 있다는 것에 더 큰 의의가 있지 않을까 싶다.

 

현재 배터리 업계는 1000조를 수주했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하는데 이는 과거 한국을 이끈 조선업계의 기록도 깨고 있는 수치이다. 이미 한국의 배터리 산업은 한국 경제를 견인하는 경지에 이른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재집권이라는 변수, 정권교체로 바이든 정부의 IRA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변수, 그리고 겨우 2년의 기술적 격차를 보이는 중국이라는 변수를 어떻게 타개해 나갈 것인가 하는 것이 본서의 소개 광고 카피가 주목하도록 하는 바다.

 

과거 일본이 선도하던 배터리 산업이라는 한국입장에서는 불모지에 LG와 삼성이 뛰어들며 시작된 한국 배터리 산업의 격동이 시작된지 이제 대략 30년이라고 한다. 후발 주자였던 한국의 기업들이 어떻게 선두로 치고 올라올 수 있었는가 하는 의문에 답을 주는 책이 본서이기도 하다. ‘배터리는 화재의 위험성이 높다. 그렇기에 기회다라는 사고의 전환으로 한국 배터리 산업이 시작되었고 지속된 것이다. 한국 배터리 산업은, 주행 거리가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낮지만 안정성이 보다 나은 LFP 배터리보다 효율성은 높지만 화재의 위험성이 큰 리튬이온 배터리에 전념했다. 본서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성능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화재 위험성이라는 난점이 크기에 일본은 이를 고려하지도 않았던 시절에 우리 기업들이 선점한 것이다. 하지만 테슬라에서는 효율적인 성능이지만 화재 위험성이 큰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LFP 배터리를 대거 사용하고 있고 향후에도 LFP 배터리를 주요 구성요소로 사용할 전망이 크다고 한다. LFP는 중국이 주요 생산국으로 노동 비용과 원자재 비용, 생산단가가 총체적으로 낮기도 해서 우수한 성능의 한국 배터리라고는 하지만 경쟁력에서 중국이 뒤지지 않아 보였다. 이에 대해 우리를 지지하는 경향성이 바이든 정부의 IRA였다. 환경문제를 화두로 친환경 기업의 산업에 3680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한 바이든 정부의 정책인데 한국 배터리를 주요 소비하는 전기차 몇 개 사에만 60억 달러를 보조하기로 한다고 한다. 물론 미국에 진출하는 한국의 배터리 산업도 직접적인 보조를 받기도 하고 말이다. 하지만 트럼프 재집권으로 전망이 불투명해진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서를 보면 우리 기업인들은 IRA의 수혜가 오래가지 않을 것이고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이벤트였다고 진작부터 전망했었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랬다면 IRA의 수혜가 없는 상황의 경영도 이미 대비해 놓지 않았을까 싶다.

 

앞서 말했듯 중국은 우리 기술과의 격차가 2년 정도에 지나지 않고 노동력, 원자재 등에서 우리보다 앞서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의 기업 역시 이전부터 배터리의 재료가 되는 리튬 등의 자원확보를 위해 힘써왔다. 포스코에서는 이미 리튬 매장지인 볼리비아의 염호를 획득했고 서호주의 필바라 미네랄 지분을 일부 인수하기도 하는 등 자원확보에 앞장서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이미 몇 차례나 정권교체가 있기 전부터 꾸준히 지속되어온 과정이 누적된 결과이다.

 

또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 위험성이라는 불안정성이 크기에 이를 안정화시키려는 기술 개발이 이어져왔고 그 결과 분리막 기술인 SRS 기술 등이 개발되어 왔는데 LG가 보유한 이 분야 특허권만해도 500개에 이르러 로열티로도 수익이 크다고 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특허 분쟁들을 거치기도 했고 LGSK이노베에션 간의 특허 소송전을 거치기도 했다. 기술력으로 우열이 가려지기는 어느 산업이나 마찬가지이겠으나 배터리 산업은 우리 기업들이 타자가 가보지 않은 길을 개척하고 있기에 신기술의 개발에 대한 투자와 노력이 지속이 성패를 좌우하고 있는 것이다.

 

본서에서는 우리 기술과 중국의 격차가 겨우 2~3년 정도인 것을 우려하며 중국 배터리 산업의 우위를 언급하기도 하는데, 사실 중국은 배터리 외에도 양자컴퓨팅과 블록체인 등 신기술들에서 세계 선두를 확고히 하고 있는 지점들이 적지 않고 유투브 채널 SOD에서 보면 국제 과학 학술 저널들에서 각 분야의 중국에 연구를 인용하는 경우는 우리 연구를 인용하는 경우의 100배 가까울 지경이라고 한다. 중국은 미국과 선두를 경쟁하는 정도가 아니라 이미 선두를 확보한 영역들이 다수이고 앞으로도 그 외 많은 분야에서 선두가 될 높은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패트로 달러를 흔드는 가장 큰 요소가 중국이기도 하다. 이제까지 국제사회에서 미국이 해온 행적들을 볼 때 미국은 중국을 그대로 두고 보지 않을 것이다. 가까운 시일 안에 대만을 꼬투리로 시작될 미국의 중국 침몰시키기는 실현될 것이고 이 과정에서 한국이 볼 피해가 심히 우려되지만 한국이 그 시기만 잘 넘긴다면 중국의 침몰이 한국에 나쁠 이유는 없는 것이다.

 

현재 한국의 배터리 산업이 1000조를 수주했다고 서두에서 언급했지만 과거에도 조 단위의 수주를 하고도 200억의 위약금만으로 수주가 파기된 경우가 있었다. 그 역시 화재 위험이라는 불안정성 때문이었다. 이 불안정성을 타파하는 기술 개발만 선점하게 된다면 우리 기업들은 배터리 산업에서 확고한 위치에 서게 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느낀 건 우리 배터리 산업의 역사와 현재를 아는 과정이 삶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돌연한 우연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등 삶에 대한 태도까지 배우는 과정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경영과 마케팅에 관한 책들이 대중에게 인기 있는 이유 중 하나가 그 길에서 삶의 태도를 배울 수 있기 때문인 것과 같은 이유다. 그런 까닭에 본서는 투자자가 아닌 분들에게도 읽어볼 가치가 큰 책이지 않나 싶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K-배터리30년전쟁 #이지훈 #리더스북 #웅진지식하우스 #K배터리 #서평단 #리뷰 @woongjin_reader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