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9월
평점 :
밑줄을 치며 빠르게 읽은 후 밑줄 친 대목만 다시 한번 확인했다. 그 가운데 기억에 남은 대목 중 리뷰해 나가기 좋은 부분만 서술해 나가려 한다. 본서를 읽게 된 계기는 자존감이 바닥을 치는 가운데 자존감이란 정확히 무얼까? 자기를 존중하는 마음이 자존감이라면 어떻게 자존감을 다시 구축해 나갈 수 있을까 하는 심정에서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심리학자이자 뇌과학자인 저자분의 자존감에 대한 정의가 내가 예상한 것과는 많이 달라서 잘 읽은 책인가 하는 마음도 남게 되긴 했지만 자존감을 저자가 말하는 대로 해석하니 대응하고 대처하는 방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강 감이 잡히기도 하는 것 같다.
저자는 자기감은 생존을 위해 물리적 환경을 어떻게 바꾸느냐에 달렸고, 자존감은 사회적 환경 곧 타인을 어떻게 바꾸느냐에 달렸다고 말하고 있다. 생존에 유리하게 외부 환경 중 자연과 그에 가까운 것들을 바꾸는 능력이 안정된 것이 자기감이고, 생존에 우호적으로 사람들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게 자존감이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생존을 위해 우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알로스테시스라고 정의하며 뇌가 이 기능을 제대로 할 때 안정적이며 알로스테시스 과부하 작용은 내외적 불균형을 이룬 상태로 정의한다. 결국 자존감이란 우리가 생존하기 위한 최적의 기능을 하는 생태에 있을 때 느끼는 심정으로 알로스테시스가 안정적일 때 느낀다고 한다.
하지만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타인이 안정적인 패턴을 보여주기를 기대해 자기 스스로도 타인에게 예측 가능한 패턴을 보이지만 이 과정에서 인정 중독 같이 남의 인정에 목말라 하는 역기능을 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인정 중독은 생존 우호적이거나 생존에 유리하기보다 내외적 불균형을 초래하기 쉽다. 이런 인정 중독을 끊기 위해 자기 인식이 필요한데 외부의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정보에 몰입하는 것은 인간 뇌의 기능적 진화와 발달을 역행하는 것으로 쉽지 않은 활동이라고 하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로만 향해서 알로스테시스 과부하 즉 내외적 불균형을 갖게 되었을 때는 상당히 적절하고 유효한 것이 내면 정보로의 몰입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인간은 사회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민감하게 타고났으나 그에만 몰두하다 보면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 문제를 가질 수 있으니까 명상이나 선무도, 태극권, 기공, 요가, 자율훈련법, 자기 최면 등등이 주는 유익을 누릴 필요가 있으며 그것이 진정으로 자존감이라는 생존을 위한 순기능을 하도록 하는 팁이다라고 해석되는 내용의 저작이다.
뻔한 결론이기는 하지만 그 뻔한 답에 이르기까지 뇌과학을 바탕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인간과 자신의 뇌와 생리 기능에 대한 이해를 근거로 어떤 일상을 살아갈지 사려해 보게 하는 책이기도 하다. 본 리뷰에서의 요약은 최대한 핵심만 맥락을 짓기 위해 최소한으로 압축하고 가지를 쳐낸 요약이지 저자분은 인간과 인간의 의식과 그 기능에 관해 이보다는 상세하게 접근하고 있다.
뇌와 자신이 궁금하다는 분들께서는 한 번쯤 읽어보실 만한 책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