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텔카스텐
숀케 아렌스 지음, 김수진 옮김 / 인간희극 / 2023년 9월
평점 :
본서는 메모와 기록 보관을 비소설 글쓰기, 학술 글쓰기에 유용하도록 활용하는 법을 다룬 책이다. 최근 출간한 [세컨드 브레인]과의 차별점이라면 세컨드 브레인이 업무와 관련한 사무적 메모 활용법이 담긴 내용이라면 본서는 비소설 작가와 학자들의 활용에 주안점을 둔 저작이라는 것이다.
본서의 구간본에 대한 리뷰 중 ‘어떻게’에 대한 대목은 간소하고 이용하는 법에 관한 내용이 실례로 길게 나온다는 평이 있기에 다소 끌리는 느낌이 반감한 채 읽었다. 하지만 읽고 보니 다른 기록에 관한 저작들처럼 기록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건 개인 역량 문제라 어쩔 수 없이 간소한 것이고 이용하는 법이라는 건 실용성에 주목하게 하고 구체적인 활용법과 함께 기록이 하는 역할들 그리고 기록에서 기대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해 근거 자료들에 입각해 설명해 주고 있었다.
이를테면 리처드 파인먼은 자신 사고하는 과정을 적은 종이를 보며 인터뷰어가 “이것이 당신의 생각을 정리한 종이로군요”라고 말하자 “아니요. 그게 내 생각 자체입니다.”라고 대답했다는데 그 말은 생각한 것을 정리해둔 것이 아니라 쓰는 과정에서 정리와 분석과 창출이 동시에 정리되었기에 그 자체가 “내 생각 자체”라는 정의를 하게 된 것이라고 본다.
기록하며 생각의 근거를 정리하고 생각의 과정을 정리해두고 그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결과물을 창출해내는 과정 자체를 생각의 과정으로 보는 것은 당연한 게 아닌가 싶다. 머릿속으로 결론까지 낸 상태의 것을 정리했다면 생각을 정리한 종이일 수 있겠으나 쓰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켜나갔기에 할 수 있는 판단으로 보인다. 학자들이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리뷰어들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일상적으로 느끼는 바가 아닐까 싶다.
본서는 이렇게 기록 자체의 중요성도 주목하도록 하지만, 학술 글쓰기나 비소설 글쓰기를 위한 책이라 앞서 말했듯, 기록 자체만이 아니라 읽기와 쓰기의 중요성과 그 과정이 어떠한 기술적 체계가 필요한지도 역설하고 있다. 그 대목에 대해서는 많이 주목하고 읽지 못 했는 데 당연한 대목이라고 생각했기에 스쳐지나며 읽게 된 게 아닌가 싶다. 학습에 대한 대목에서는 에빙하우스의 연구를 들기도 하는데 그는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도 대상자가 일련의 맥락을 짓지 못하고 의미를 짓지 않도록 구성한 자료로 실험을 했다고 한다. 저자는 이를 학습이라는 것 자체가 의미를 찾으며 맥락을 짓는 과정인데 그걸 차단하는 학습의 연구란 것이 가당찮다는 발언을 한다. 우리가 글을 쓰며 자료를 확인하고 문장화할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은 당연히 의미를 찾고 맥락을 짓는 과정이기도 하다. 학습 또한 마찬가지이고 말이다. 의미와 맥락짓기를 차단하는 학습에 대한 연구실험이라니 학습을 위한 연구였는지 의심스럽다.
본서에서 제텔카스텐(메모상자, 즉 기록과 보관을 하는 시스템)을 최상으로 활용하는 법이라고 말하는 것도 연결하고 융합하여 새로운 결과물을 창출하는 것이라 제시하고 있다. 당연히 기록한 사람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고, 기록한 바를 확인하는 것은 의미를 찾기 위해서이며, 의미를 찾는 과정은 보다 나은 무언가를 발견하기 위해서가 아닌가 한다.
본서에서 기본 원칙은 하나, 1차 소스를 기록. 둘, 영구 보관용 기록. 셋, 프로젝트용 기록을 분류하는 것이다. 제텔카스텐의 개발자인 루만 교수는 이 기록들에 색인을 다시 분류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기록하는 자체가 첫 번째일 것이고 그를 자신의 활용할 바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이 다가 아닌가 싶다. 이건 각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것이니 대부분의 사람이 이런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는 책을 보며 미흡하다고 느끼는 것은 아직 자신에게 필요한 바들을 자신이 분석해 보지 않았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기록과 기록 보관이 자신에게 왜 필요한지를 구체화해서 분류하고 체계가 잡히면 본서의 내용이 상당히 와닿지 않을까 싶다. 다른 업무에 활용하려는 책보다 훨씬 인문학적 내용이 풍부하고 새겨지는 바가 많은 유익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