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마틱스 - 노화시계를 되돌리는 자세혁명
토마스 하나 지음, 최광석 옮김 / 군자출판사(교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선정리라는 도가 수행서의 이론을 보면 다양한 키워드들이 정리되는데 그 중 양형(養形)과 형전기장(形全氣壯)의 원리는 기공의 참장공과 요가의 아사나를 비롯해 알렉산더 테크닉, 펠덴크라이스 메소드 그리고 소마틱스의 이론적 배경과 통하는 전통 선도의 이론이랄 수 있을 것이다. 형태를 기른다는 관점과 형태를 온전히 하면 기가 성해진다는 개념은 현대의 치유(재활) 기법들과 전통적인 수행체계가 공통분모를 찾는 지점이기도 한 것 같다. 더욱이 인지를 중시하는 펠덴크라이스 메소드와 소마틱스는 천선정리의 다른 키워드인 식도(識道) 그리고 식법(識法)과도 닿아있다 하지 않을 수 없다. 가장 현대적인 것이 가장 전통적인 것과 하나의 흐름을 낳고 있는 것이다.

 

소마틱스는 이완법과 알렉산더 테크닉, 펠덴크라이스 메소드 그리고 적응성 질환 이론 등 현대의학까지 포함한 치유 체계로 감각적 인식과 운동능력 재조정 등을 중시하는 기법이다. 저자 토마스 한나는 1975년 미국에 최초로 펠덴크라이스 메소드를 소개한 인물로 철학자이기도 하다고 한다. [소마틱스]라는 본서를 읽으며 [펠덴크라이스의 ATM] 내용과 일치하는 대목들이 대부분이라 놀랐지만 토마스 한나는 현대 의학과 그 자신만의 독자적 이론을 접목해 펠덴크라이스 메소드를 한결 대중 친화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펠덴크라이스도 잊어버린 정상 신체에 대한 감각을 재인식하는 것을 주지시켰으나 토마스 한나는 감각운동기억상실증(SMA)라는 간단한 용어로 정리했고 빨간등반사(RLR)와 초록등반사(GLR) 등으로 명료히 이상 상태를 명명해 참여자 또는 수혜자 또는 내담자라고 불릴 치유대상이 효과적으로 이상을 인지하고 인지한 이상을 교정하도록 했다. F.M. 알렉산더나 모세 펠덴크라이스 같은 한 장르의 창시자도 놀랍지만 토마스 한나와 같은 사람도 대중에게는 필요하고 절실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전체 3장으로 구성된 본서는 감각운동기억상실증을 다룬 첫 장과 그 원인을 다룬 두 번째 장 그리고 실제 소마틱스 기법을 다룬 마지막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장은 5명의 실제 내담자의 사례로 정상 신체 감각을 잃었을 때의 증상과 그 치유 과정으로 소마틱스 이론의 배경을 간략히 소개하고, 두 번째 장은 소마틱스가 적용되면 이상 증상이 나을 수밖에 없는 이론을 설명하고 있다. 이상 상태의 원인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첫 장에서 인상적인 대목 중 하나는 근육은 운동에서 글리코겐을 대사해서 젖산을 만드는데, 긴장 상태는 근육의 글리코겐 대사를 과다하게 만들어 그로 인해 쌓인 젖산을 혈액 흐름만으로 처리할 수 없는 상태를 만들어 과도해진 젖산이 통증을 불러온다는 것이었다. 개별적인 원인으로 근육이 긴장하거나 자세가 틀어지는 상태를, 저자는 정상 상태에 대한 기억을 신체가 잊었다는 의미로 감각운동기억상실증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이 감각운동기억상실증 상태는 지속적인 긴장 상태를 만들어 통증을 불러오기도 하고 뒤틀린 신체(자세, 체형)으로 디스트레스를 불러오기도 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더욱 신체의 정상 상태에 대한 과도한 바람으로 역설적인 이상 상태의 지속을 불러오기도 하기에 자신의 이상 상태를 인지하는 게 우선한다고 설명해주고 있기도 하다. 빨간등반사는 회피 반응으로서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특징들(복근이 수축하여 자세가 굽고 머리는 앞으로 나왔으며 가슴은 평평해지고 팔은 긴장해 굽혀져 있는 등 다양한 특징들)을 보여주게 되며, 초록등반사는 행동 반응으로서의 신체적 특징들(허리쪽 근육이 수축해 배를 내밀고 있는 등)을 보여주게 된다. 이는 심리반응 중 하나인 투쟁-도피 반응 상태가 육체로 드러난 것으로 생각되었다.

 

주목되는 건 이런 심리상태가 외부적 원인이던 내부적 이유에서든 시작되면 자세만이 아니라 심리에까지 영향을 줄 것은 자명하기에 이런 신체 상태를 인지하고 그로부터 벗어나는 기법들은 결국 심리상태마저 치유하는 효과가 당연히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도 한다. 천선정리에서도 수행의 근간을 이루는 키워드를 보면 그 중 양심(養心)이 있기도 하다. 수행의 과정은 마음을 다스리는 과정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소마틱스를 읽으며 어제와 오늘에 걸쳐 4시간 30분 가량 소마틱스 기법 전반을 수행해 보았는데 확실히 육체만이 아닌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주는 효과를 느꼈다. 몸을 움직이는 단순한 기법인데도 위빠사나 수행 후의 내적 안정과도 유사한 안정감이 찾아왔다. 일반적으로 '움직이는 선'이라는 표현은 태극권을 이르는 말인데 소마틱스를 움직이는 선이라고 한다 해도 어색하지 않을 듯했다.

 

소마틱스 전체를 압축해 추린 [매일 하는 고양이 스트레칭]이라는 대목은 간단하기에 전체 과정을 마친 후 매일 실천할 수 있을 것 같다. 전체 과정도 주말에 마쳐보기에 무리가 되지 않으니 도서관 대여로 읽어본다고 해도 부담 없을 분량이다. 자세, 체형, 동작 등에서 불편을 느끼는 분들이라면 읽어 보실만 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 리뷰를 쓰며 언급하려 했는데 놓치고 지나간 부분이 있어 다시 언급해 보려 한다. 토마스 한나는 노인들의 자세와 동작에 대한 고정 관념을 문제로 보기도 했다. 그런데 그가 서술한 바에 따르면 늙음이라는 영어 old는 라틴어 alo에서 기원했고 alo는 고대 그리스어인가 페니키아어인가(기억이 확실하지 않는데)alt와 어원이 같다고 한다. 그런데 이 말의 본래 뜻은 채워지는 것, 진보하는 것, 자라는 것 등의 뜻으로 쓰인다고 한다. 저자의 말은 결국 늙는다는 말은 성장하고 진보하고 채워지는 과정을 뜻한다고 결코 결핍이나 손실, 파손됨을 뜻하는 게 아니라고 직언하고 있다. 생각해 보면 우리말 늙다도 어쩌면 늘다와 어원이 같을 수 있다. 지식이 늘고 권한이 늘고 자유시간이 는다는 게 늙는다는 말의 진짜 의미인지도 모른다. 자세나 체형이나 움직임의 이상을 느낀다면 늙어서 그렇지라며 체념하시기보다 본서를 읽으며 따라 해보신다거나 소마틱스 단체를 통해 배움을 가져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