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우주다 - 나는 무엇인가, 그리고 왜 이것이 중요한가
디팩 초프라.미나스 카파토스 지음, 조원희 옮김 / 김영사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원론, 인간중심 우주관으로 일관하는 주장이다. 기존의 인도 철학, 요가 철학의 변이판이라고 판단된다. 우주와 세상에 대한 관점까지 재편하게 해 줄 저작일 거라 기대하지는 않았지만 서술이 이해하기 쉬운데 반해 주장이 다소 단정적으로 보였다.

 

여느 책처럼 양자역학을 들어 관찰자 효과로 인간의 참여가 절대적인 듯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입자의 세계에서 관찰자가 되는 건 인간만이 아니라 광자 등의 다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인간의 경우에 대입한다 해도 자기에게 자신만이 절대적인 관찰자가 아니며 무수한 타자의 관찰은 한 대상에게 거의 무제한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낳는다.

 

관찰자가 있기에 우주가 존재한다는 논리를 인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주도 없다고 확대 해석하다니(인간중심 우주관이다)... 이미 관찰자 효과에서 한 관찰자만이 아니라 다른 입자의 관찰도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했듯이, 인간(이나 다른 지적 생명체)이 관찰자가 아니더라도 이미 우주를 가득 채운 모두(물질 대상 서로)가 서로를 관찰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서로 서로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행사하고 있다. 게다가 자기 자신에게 향하는 영향력은 무수한 타자 대 자기 1인의 그것으로 한정된다.

 

우주를 의식이라고 정의하는 데까지의 여정을 따라갔지만, 의식이 곧 마음이라는 데 동의하기는 어려웠다. 저자가 말하는 퀄리아도 인식과 감각을 통해 야기되는 기분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면 우주가 어떤 기분인지를 단정하는 것은 인간의 주관이 야기한 짐작과 단정의 교차일뿐이 아닌가?

 

우주가 지성이라는 것, 데이터를 모으고 데이터를 창조하고 있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우주가 마음이다. 곧 인간과 같은 정서가 있을 것이다’ ‘우주가 곧 신이며 인격체다라는 데는 동의할 수만은 없을 것 같다. 그건 불가지의 영역이 아닌가 싶다.

 

우주가 마음이라는 건 인간의 기대와 정서가 자아낸 주관적인 단정일 뿐이다.

 

우주는 정의하기에 따라 지성일 수는 있을지 몰라도 감정까지를 포함한 인격체이거나 마음이라는 것은 억측이 과도한 단정질이다.

 

우주는 마음이고 우주가 창조한 인간은 그 부분이다라는 대목도, 미세조정을 근거하더라도 우주는 지적 설계자가 설계한 것이라는 대목도, 어디까지나 진화론과 자연발생론이 억측일 가능성만큼이나 가능성일 뿐인 것이다.

 

저자는 항공기 재료들이 버려진 쓰레기장에 태풍이 분다고 항공기가 조립되어 완전한 항공기가 만들어진다는 것이나 원숭이들이 무한대로 타자를 친다고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써낸다고 하는 건, 그럴 가능성도 있다고 하는 것과 반드시 그렇다고 하는 것이 다를텐데, 지금의 과학자들은 반드시 그렇다고 주장하는 격이라고 말하고 있다. 미세조정이 바로 지적 설계의 증거라는 식으로 말이다.

 

하지만 지적 설계자가 있다고 미세조정을 한 우주만을 시뮬레이션하라는 법은 없듯이, 다채로운 다중우주가 지적 설계자가 없다는 걸 증거하는 것은 아닐 것이며, 바로 그와 역인 논리로 미세조정이 지적 설계자의 존재를 증명하는 바도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 또한 불가지의 영역이다. 게다가 우주와 인간이 하나라는 주장까지 나아가면, 인간의 주관과 억측이 마음대로 지적 설계자를 단정하고 그와 인간은 둘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격이다.

 

유대의 카발라 철학에서는 신이 자신을 한정 지으며 우주가 창조되었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이 논리를 인공지능이 탑재된 양자컴퓨터에 대응해 인공지능이 우주를 시뮬레이션한다고 해도, 미세조정을 통해 하나의 우주만을 창조할지, 모든 가능한 경우의 수에 우주를 다 창조할지는, 인공지능이 탑재된 양자컴퓨터의 용량과 성능이 무한하다면 어느 경우든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다. 그리고 그렇게 인공지능이 자신이 창조한 우주에 인간을 디자인한다고 해서 인공지능과 인간이 동일하다고만 볼 수는 없다는 말이다.

 

홀로그램 우주론에서는 부분과 전체가 거의 동일하다는 식이지만, 그저 단순히 부분의 총합이 결코 전체를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는 주장이 더 수용하기 쉽지 않나 싶다.

 

그리고 저자는 결정론을 배격하는 데, 양자역학을 들어 시간과 공간에 대해 논하는 모든 저작들처럼, 저자 역시 비선형적 인과를 주장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홀로그램 우주론에서 과거, 현재, 미래를 이야기하는 논리를 결정론에 대입한다고 빗나간 주장이라고 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그렇게 미세조정 우주든 다중우주든 통으로 다 만들어진 인과를 가정해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양자역학이 과연 결정론을 부정하는 논리로 완벽한 것인지는 논의가 끝난 시대 같지만, 생각을 더 해보면 완벽한 부정은 될 수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양자역학을 처음 접한 때는 놀라움의 연속이었지만, 우주와 인간, 인과 등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주장들을 폭넓게 대할수록, 양자역학이 말하는 가능성을 능가하는 거대한 구조가 따로 있는 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