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도를 말하다 오쇼의 장자 강의 2
오쇼 라즈니쉬 지음, 류시화 옮김 / 청아출판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순간의 리뷰에 이 책에 대한 포스팅을 하기 시작한 시점을 보니 20208월경이었다. 3년 가까이가 걸려 오늘 아침에서야 다 읽은 책이다.

 

처음 읽을 때와 지금의 감상이 같은데 나로서는 오쇼가 다소 여러 스펙트럼 중 한가지 빛깔에만 의지한 강설을 이어갔다고 생각되었다. 그건 깨달음이라는 하나의 빛깔이다. 하지만 의외로운 건 그가 조르바 붓다의 경지를 주장했던 이였다는 것이다. 세속의 기쁨을 만끽하는 존재인 조르바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 붓다, 이 둘을 하나로 융합한 새로운 인간 세대의 등장을 예견하고 주장해온 것이 오쇼 라즈니쉬이다. 그럼에도 그의 대부분의 강설이 담긴 저작들을 보면 그가 그려내고 있는 빛깔은 대개 깨달음에만 한정되어 있다.

 

그는 사람을 한정짓거나 한가지로 특색으로 분류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으면서도 그의 가르침들은 각 분야의 성현들의 가르침을 한정된 색으로 한정짓고 있다. 장자의 시대는 제자백가가 다채로운 설법을 이어가던 시대이다. 그들의 가르침은 나름의 색과 맛이 다르지만 서로를 아우르기도 비판하기도 하면서 서로의 주장이 어느 시대 어떤 부류의 사람들에게는 상식적이거나 통용되는 것이었음을 인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오쇼는 깨달음의 색이 아닌 것은 부정하고 있다.

 

가진 자는 더 가질 것이요. 가지지 못한 자는 그 지닌 것마저 빼앗길 것이라던 예수님 가르침은 그가 말한 가진 것이 진리이거나 신앙이거나 진실성이 아니라고 한다 해도 세속적인 가르침으로도 진리일 수 있다. 진정한 진리는 성과속을 아우를 수도 성으로 속을 담론하기도 속으로 성을 가르침할 수도 있는 것이라는 말이다물론 예수도 붓다도 그들의 가르침이 모두에게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란 것을 알고 있다. 예수는 그가 사랑하던 유태인들에게 배척당한 결과 십자가형을 피할 수 없었고 붓다께서도 그의 아기를 임신했다며 그를 매도하는 여성도 붓다의 법왕 자리를 빼앗으려 그를 살해하려던 그의 사촌 형제와 그 무리들도 있었다. 어떤 가르침이 옳다해도 그 가르침을 설한 사람이 모두 인정받거나 수용되지 못하는 경우는 흔할 것이다. 하지만 오쇼의 가르침은 삶과 깨달음의 경지를 아우르려는 이의 가르침으로는 다소 흐릿해 보인다는 것이 문제가 아닌가 싶다.

 

그는 살아있는 것은 한정지어선 안되며 지혜로운 이는 존재 자체를 보지만 무지한 이는 행위를 본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존재한다는 것은 감각하고 만끽하는 것이며 감각과 만끽의 극치는 삶을 누리는 데 있다. 삶을 누린다는 것은 감각하고 만끽하는, 행동하는 것이다. 감각과 만끽의 정점은 말하고 노래하고 춤추고 만지고 향기 맡고 느끼고 표현하고 무언가를 행하는 그 과정이 아닐 수 없다. 도가에서는 무위자연을 이야기하는데 작위적이고 인위적인 것을 꺼리는 도가의 이 가르침에서 오쇼는 행동 자체가 나쁜 것이라는 오해를 갖게 된 것이 아닌가 싶다. 말도 행동이고 노래도 행동이고 춤도 행동이고 섹스도 행동이다. 감각 모두가 행동이 아닌 것이 없다. 행동을 떠난 어디에서 존재를 찾을 것인가? 명상이나 탄트라 어느 하나 행동이라고 아니할 수 없는 것이다. 그의 개념이 잘못되었다고 느껴지게 만든 건 결국 그의 어휘 선택이 잘못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작위적이고 극단적인 거슬림을 만들기 보다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을 느끼는 자체에서 만족을 얻으라는 말을 그는 하고 싶었던 걸일 거다.

 

그리고 오쇼는 크리슈나 무르티처럼 사회보다 개인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사회 이전에도 사람은 존재했다. 15년을 무인도에서 생활하다 구조된다고 해서 그 무인도에서의 15년이 삶이 아니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살아있다는 것은, 존재한다는 것은 집단과 사회의 가치 유무보다 선행하는 것이리라 본다. 하지만 크리슈나 무르티의 말처럼 변화하는 데 사회나 정부의 역할, 정치가의 목표나 의지를 신뢰하는 것이 불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오쇼의 생각도 크리슈나 무르티와 크게 다르지 않던데, 인간의 삶은 자신의 변화나 한 사람의 변화가 거대한 변화를 주도하기도 하지만, 사회적인 상식으로 자리 잡는 변화의 요소는 그것이 개인의 상식과 정서, 관점, 관념 등을 통제하기도 한다.

 

대중 누구나가 가장 먼저 체감하고 인식하는 성윤리와 성적 정체성 문제만 보더라도 한 개인의 관점과 관념이 사회적 상식에 영향을 적지 않게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1970~1980년대의 게이에 대한 인식과 대우 그리고 현시대의 게이에 대한 그것의 차이를 본다면 더욱더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대 미국의 WOKE라는 것이 가져온 부정적 사회변화는 미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라면 누구라도 체감할 것이다. 정치와 사회의 변화는 개인의 시각과 관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렇다면 부정적 영향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긍정적 변화도 불러올 수 있다는 것도 짐작 가능하고 그리 유도할 수도 있는 문제다. 사회라는 것은 결국 낱낱의 사람들이 살아가야 하는 곳이니 사회도 정치도 관심 가질 필요 없다는 인식은 결국 자신을 위태롭게 만들 수 있는 일이다.

 

자연과 개인과 사회는 얕게 보면 따로 인듯 할지 몰라도 그 깊이에서 분리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기도 하다. 사회라는 것이 어찌 보면 인간이 만든 자연에 다름 아닌 것이니 말이다. 오쇼가 주장한다는 조르바 붓다가 되고자 하는 이라면 사회에 관심 가질 필요 없다” “나 자신에게만 집중하고 몰입하면 된다” “사회가 아니라 자연과의 합일만이 중요한 것이다라는 시각만으로는 빗나가고 있는 것일 것이다. 아마도 오쇼가 말하고자 한 바도 그건 아니었을 거라 짐작된다.

 

만끽하고 감각하며 기뻐하는 존재이면서도 내적 평온을 한결같이 잃지 않는 존재가 오쇼가 바라던 인간상이라면 인간이 만든 자연인 사회까지를 포함한 모든 자연에서 자유롭고 행복한 인간이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자유와 행복은 부정이나 배제에서 오는 것이 아니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 시대에 오쇼가 살아있었다면 그의 강설 중 오해되거나 이해되지 않는 대목들에 대해 좀 더 다른 빛깔의 부연 설명이나 자신의 말에 대한 교정을 하였으리라고 본다. 죽은 오쇼의 말을 고정하고 박제하여 관행에 빠진 답습만을 하기보다는, 살아있는 자신의 마음이 이끄는 진리가 무언지 몰입해 보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 순간의 리뷰에 남긴 본서의 연작 리뷰


있는 그대로는 닦고 닦는 와중에 찾아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