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미중 패권전쟁과 세계경제 시나리오 - 러시아 전쟁으로 도래할 뜻밖의 미래와 한국의 생존 전략
최윤식 지음 / 김영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에서는 은행권 파산과 인수 합병 문제가 오늘자(2023.05.02.)뉴스에도 언급되리만치 확산 기세입니다. 아마도 CBDC의 상용화 이후에는 은행권의 업무량이 줄고 각 은행 지점들의 필요가 사라질 것이기에 은행권의 통폐합과 인수 합병, 지점 축소 등은 정해진 수순일 것입니다. CBDC가 금융의 혁신이기는 하지만 기존의 통화도 하루아침에 청산될 수는 없고 기존 통화의 유통과 사용으로 경제가 운영되는 면도 크기에 CBDC의 상용화가 온다 해도 은행권의 전면적인 변화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리라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그 혁신을 금융자본가들이 대비하지 않을 거라고는 볼 수 없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현재의 은행 인수 합병은 금융자본 권력의 재편이기도 할 거라 생각합니다. 세계를 변화시키려 하며 금융자본가들이 자신들의 위계도 재편하고 있다고 봅니다.

 

초극부층이 세계의 질서를 새로이 가져오려 기획한 그레이트 리셋의 권력과 군사 측면의 지향점은 다극화라고 보며 그 다극화를 가져올 효시는 미중 전쟁의 시행이나 그 전쟁에 대한 불안으로 야기 되는 대중 심리일 겁니다. 중국의 부상, 페트로 달러의 위기가 미국의 전쟁 수행의 이유가 된다면, 중국의 발전 가도에 대한 저지를 획책하는 미국은 중국의 전쟁 명분일 겁니다. 중국의 점증하는 쿵이지는 중국 정부 입장에서는 내적 불안 요소일 수 있습니다. 중국의 가중하는 불평등을 중국은 중국 인민들에게 숨기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기도 합니다. 중국 정부가 나아지고 있다며 제시하는 지니계수와 중국내 대학과 단체들이 제시하는 지니계수의 수치는 현격히 다릅니다. 불평등의 극한을 겪을 때 대중의 내부에서는 혁명의 불꽃이 피어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 정부 입장에서 사회적 불안 요소라는 쿵이지들은 발전 가도의 중국이 주체할 수 없는 불평등을 가속할 여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일부 극단적인 학자들은 중국이 쿵이지와 실업자들 문제를 해결할 가장 탁월한 선택은 전쟁이라 보고 있기도 합니다.

 

내부적 문제를 호도하고 분열하는 대중을 결속시키려 할 때, 내부 문제를 돌아보지 않게 하고자 할 때, 정부가 할 수 있는 가장 반대중적인 선택은 전쟁일 겁니다. 현재 미국의 WOKE에 대한 문제, 정권에 대한 반감, 정권과 당색으로 인한 국민적 분열 문제를 잠재우는 데도 전쟁 자체나 전쟁에 대한 불안을 야기하는 것이 정치인들이 불러올 수 있는 가장 단순한 해결안일 수도 있습니다. 미중 전쟁이 실제 발발하던 미연에 그치던 상당한 효과가 있다는 말입니다.

 

외신에서는 미국 의회에서 미중 전쟁을 시뮬레이션했다는 뉴스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미중 전쟁에 대한 불안이 커나가는 이때 우리는 미중 전쟁이 확실하리라 판단하지 않더라도 미중 전쟁의 가능성과 미중 전쟁의 여파를 가늠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본서는 미중 전쟁 이전인 현재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각국의 대응과 경제 여파에 주목하면서부터 미중 전쟁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입장과 전쟁 이전의 중국과 미국의 양상 그리고 전쟁 이후의 중국과 미국에 대한 측면들을 경제라는 관점에 가장 치중해 보고 있습니다. 사실 미중 전쟁시 미국의 GDP 손실분은 5%(미국발 금융위기 때는 2.4%였다고 합니다)이고 중국은 25%라는 수치들은 미중 양국 간의 피해만을 따진 규모일 겁니다. 실제 미중 간의 전쟁이라면 세계대전으로 확전될 것이 명백한데도 그런 측면에서 세계적 피해 규모를 본서에서는 추산하지 않고 있습니다. 미중 전쟁이지만 실제 전쟁 발발시 그 피해 규모는 전지구적일 것인데 미중 간의 경제 손실이나 경제 전쟁으로서의 양상만을 보여주는 것이 다소 의아스럽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서는 경제 전문가들이 추산하는 현재와 미래 양상을 통계와 수치로서 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군사적 관점과 경제적 관점이 어우러지기도 하지만 경제 측면에 가장 주목하는 저작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 한 번쯤 읽어볼만한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