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전쟁으로 읽는 지정학적 세계사 - 강대국들은 더 좋은 영토를 위해 어떻게 전쟁을 했는가?
다카하시 요이치 지음, 김정환 옮김 / 시그마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현대 전쟁이 지금의 지정학적 현상과 문제를 야기하게 된 역사적 흐름을 알고 싶고 현재의 문제들에 대한 담론을 들어 보고 싶어 선택한 책이다. 저자는 1980년 일본 대장성(2001년 중앙 성청 개편으로 사라진 기관으로 메이지 유신 때부터 존재했다는 일본의 행정 기관이다.)에 입성해 대장성 이재국 자금 기획실장과 이후 내각부 참사관, 내각 참사관을 역임했던 인물로 고이즈미 내각과 제1차 아베 내각에서 활약하고 2008년 퇴임하신 분이다. 그 외의 대학과 사기업 활동 이력은 본서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그의 정치 이력에 본서가 분량과는 달리 상당히 깊이 있는 담론을 담고 있겠구나 하는 생각에 본서를 선택하게 되었다.

 

우선은 본서를 읽으며 다소간 실망한 부분부터 언급하자면 본서의 역사 기술은 상당히 건조하다는 것이다. 역사가나 역사 유투버가 전하는 내용은 아니다 보니 스토리텔링이 풍부하다거나 몰입도 높게 역사서술은 하지 않고 있다. 저자 자신이 역사에 대한 정보는 세밀히 알 필요가 없고 대략적인 핵심만 알면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역사적 사실을 구체적으로 파악한다기 보다는 주제의식을 가지고 역사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말로 받아들여졌다. 긍정적으로 보자면 역사서술 대목은 보고서 형식으로 간략하며 사건 나열 중심의 보고서 형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 다른 실망 포인트라면 역사 해석의 대목 분석과 그 해설이 너무도 상식적이라 실망스러웠다. 남다른 식견이라던가 탁월한 분석력이 느껴지지 않았다. 이 정도 이력을 가지신 분의 저작으로는 다소 빈약한 책이 아닌가 싶었다. 다만 이분이 제시하는 키워드들로 사유를 확장하는 데는 아주 유익한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본서에는 기대는 배신당했으나 사유는 좌절당하지 않았다는 감상이 들기도 한다.

 

역사서술 대목은 2장 중국, 3장 러시아, 4장 유럽, 5장 미국의 이야기가 서술되어 있으며 간략히 그 지정학적 중요성을 담고 있다. 중국의 경우는 외세에 의해 중국이 핍박 받았던 역사와 내전 이후의 중국의 타국과의 전쟁이나 전쟁 개입에 역사를 다루고 현재의 양안 간의 문제가 세계적 충돌을 야기할 수도 있을 전망에 대해 간략이 분석하고 있다.

 

러시아의 경우는 무엇 보다 현재의 국경선이 성립된 이후 과거 러시아의 세력권이던 동유럽 지역들이 대거 EU에 가입하게 된 사실과 현재의 러-우 전쟁이 러시아에게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도록전개된다.

 

유럽의 경우는 가장 유익했던 대목은 역사적인 유럽 내 특히 동유럽에서의 분열과 통합을 주목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며 러시아에서 독립한 국가들이 유럽 연합에 가입함으로써 러시아의 영향력이 축소되고 서방측의 포위망에 러시아가 갇히는 양상이 되어버리는 과정을 알수 있는 기회였다. 또 식민지 시대 이후 중동 지역에서 유럽이 중동의 국가들의 독립과 자존을 보장해 주겠다는 일종의 기만을 통해 중동 각국에서의 내적 분열과 이스라엘과 중동 국가들 사이의 분열의 씨앗을 심어주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유익한 장이었다. 왜 그토록 급진 이슬람 세력들이 유럽과 미국을 적대시하는지 충분히 알 것만 같았다. 그리고 과연 유럽과 미국 같은 민주주의 진영이 전쟁과는 거리가 먼 국가들인지 아니면 분쟁과 전쟁 비화의 씨앗을 품고 퍼트리는 원인인 것인지 의아해지기도 했다. 

 

미국의 장은 저자가 제시한 현대는 공존공영을 중시하게 되어 국민적 합의 없는 전쟁이 불가능하며 민주평화론이라는 민주주의 세계에서는 전쟁이 없다는 관점이 다소 비틀리며 읽히는 장이기도 했다. 아무리 봐도 공존공영이란 저자가 말한 얕보거나 얕보이거나의 논리에 벗어나 있는 대상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사실 이익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망은 과거 독일의 비스마르크가 식민지를 추구하지 않으며 서유럽에서 힘의 균형을 추구하던 시기가 장기화 되자 선왕의 유지와는 다르게 차기 왕은 비스마르크를 멀리했으며 독일 국민 다수가 식민지를 만들라고 요구한 것을 보아도 어떠한지 알 수 있다. 공존공영의 실상은 이 시대가 식민지를 통한 이익추구가 아니라 그만큼의 이익을 무역을 통해 쌓아낼 수 있는 세계화를 이룩했기에 가능한 것이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민주국가 사이에서는 전쟁이 없다는 민주평화론도 민주주의 국가 사이에서 전쟁이 없다는 사실만을 이야기할 뿐 민주주의 국가가 전쟁을 유도하거나 개입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아니라는 것을 현재의 러-우 전쟁과 그와 양상이 비슷했던 아프카니스탄(-아 전)전쟁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이란-이라크 전쟁은 미국이 배후에서 이라크를 지원했기에 일어난 전쟁이고 이라크 전쟁은 미국이 주도했다. 베트남 전쟁은 말할 것도 없이 미국의 본색이랄까 미국의 양가성을 드러낸 전쟁이지 않은가? 민주평화론은 아전인수적인 관점이 아닌가 하는 감상이 일었다.


미국과 유럽이 직접적인 전쟁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들이 평화를 추구한 것이 아니란 것은 눈이 있고 뇌가 있다면 알 수 있을 사안이다. 러시아를 포위하는 정책들을 추진하면서 러시아가 강제적인 폐쇄형국에서 벗어나려 전쟁이라는 반강제적인 선택에 놓일 수밖에 없도록 한 것도 미국과 유럽이니까 말이다. 미국과 유럽은 동유럽, 중동, 러시아 등에서의 분쟁과 분열과 내란과 전쟁의 원인을 제공하고 증폭해온 국가들이다. 다분히 사회악이 아니라 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그러면서 동시에 자국의 안정과 부의 구축에는 적극적이라 일반 회사원과 최고위직 임원의 연봉 차를 364배가 넘도록 유도해온 나라가 미국이기도 하다. 연봉차가 364배라는 건 대개의 기업에서 일반 회사원 평균 임금으로 CEO가 한 해 동안 버는 금액을 모으려고 한다면 1원 한푼 안쓰고 모아도 364년이 걸린다는 이야기다. 과연 유럽과 미국과 그들의 우방인 세계 대다수 나라들이 추구해온 모든 것들이 긍정적인 세계를 위한 것인가 싶은 의문도 든다.

 

그리고 미국이 고립주의를 제창하는 먼로 독트린에 입각해 타국을 침략하거나 개입하지 않는다는 말은 어마어마한 어폐가 있는 관점이 아닌가 싶다. 2013년까지 세계경찰을 자처하던 미국이 얼마나 국제무대에서 타국의 내정에 개입하고 타국의 내란도 일으키기를 불사해왔는지 미국의 역사가나 지성들도 지적하고 있는데 말이다. 세계화가 여러 국가들에 수혜가 되었다면 세계화라는 등쌀에 미국에게 유린당한 몇몇 나라들도 분명 존재하고 그로 인한 참상도 결코 적지 않다. 미국이 개입하고 유도한 전쟁과 분란으로 죽어간 각국 국민들에게 미국은 불량국가만이 아니라 악마의 국가로 인식될 수밖에는 없다는 말이다.

 

현재의 러-우 전쟁만 해도 미국과 유럽의 개입이 지속되지 않는다면 전쟁은 이미 협상을 거쳐 종결되었을 것이다. 국제 경제의 위기도 세계대전으로 비화되는데 대한 불안도 미국과 유럽의 개입으로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고립주의니 공존공영이니 민주 평화론이니 잘 구운 공갈빵이 아닌가 싶다.

 

전쟁이 민주주의 국가들의 영역 내에서는 거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미-중 간의 충돌과 세계대전의 점화선에 언제 불이 붙는다해도 그리 이상하지 않을 시대란 것도 분명하지 않은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