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의 의자 (10주년 기념 특별판) -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정도언 지음 / 지와인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주 오래 소장만 하다가 드디어 읽었다.
프로이트에 관한 기억이라면 중2 병이 말기이던 중3 방학 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입문과 꿈의 해석을 읽었다는 것이다.
초자아 자아 이드의 개념과
프로이트가 야릇하게 해석하는 어느 여자아이의 꿈 해석 정도가
지금까지 남아있는 프로이트 저작에 대한 기억의 다이다.
그 책을 읽을 때 즈음 고래잡이 수술을 자진해서 받았다.
수술 시기의 기억이 융이 말하는 성인식 의례를 해석하는 대목과
상당히 닮아 있고 수술 후 좀 전에 이야기 한
그 여자아이의 꿈을 프로이트가 해석하는 대목에서
너무 어딘가가 극도로 고통스러워 책을 던져 버렸던 기억이 선명하다.
하지만 머릿속을 헤집어 봐도 프로이트의 두 저작에 대한 내용은
거의 다 기억이 나지 않았다.
다시 읽기에는 그 저작들이 너무도 지루하고 어려웠던 기억이 있어
좀더 대중적이고 쉽게 풀이해준 책들을 검색하다가
정신분석과 관련한 책을 세 권 구하게 됐다. 이 책이 그 중 하나다.
하지만 세 권 다 읽지 않은 장기 소장용이었다가
이 책에 대한 3일 간의 독서를 어제 마쳤다.
본서는 정신분석에서 다루는 영역 중
무의식과 방어기제에 대해 보다 쉽게 풀어내어 준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며 방어기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좀더 깊이 알고 싶어졌다.
무의식에 대해 할애된 장들이 많지만
정신분석학의 내용을 학문적으로 풀이해 준다기 보다는
정신분석의의 입장에서 심리상담을 해주 듯 자상히
특정상황들을 상정하여 분석해주고 있다.
심리적인 도움을 받기 위한 목적에서는 적절하다고 생각되고
정신분석학을 지적으로 다가서려
학술적인 정의들을 알고 싶어하는 분들에게는 다소 안 맞을 수 있다.
심리 상담을 책값을 제외한 거의 무료로 받고 싶은 분들이라면
최적의 저작이 아닌가 싶다.
나에게는 그 많던 심리적 문제들을 돌아보는 기회가 되었고
지금 이 순간은
그런 문제들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나날들이구나 하는 감상을 주었다.
프로이트 보다는 융을 더 신뢰하지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의식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분명 있기에
정신분석의들을 찾는 내담자들도 그리 많지 않을까...
그러니 알아두어도 좋은 분야가 아닐까 싶다.
참! 그리고 이 책의 부록란에 수록된 심리학 저작들은
상당히 흥미롭다. 꼭 읽어보게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