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와 세상을 읽는 시스템 법칙 - 모든 것은 시스템으로 통한다
도넬라 H. 메도즈 지음, 김희주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무엇 보다 ESG에 대한 대강과 실무에서의 적용 그리고 그것이 호도되거나 전도되어 적용되는 경우는 없는 것인가가 가장 궁금해서 읽어보고팠던 책이다. 경제와는 거리가 있는 사람이다보니 [클라우스 슈밥의 위대한 리셋]을 읽으며 들었던 의문들에 부연 설명을 해줄 것이 이 책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서의 추천사에서 이미 언급하고 있듯 본서는 (ESG와는 상관관계가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ESG에 대한 책은 전혀 아니기에 기대와는 다른 독서를 하게 되었다. 본서는 시스템 사고에 대한 저작으로 저자의 [성장의 한계]라는 전작이 ESG와 기존의 기후와 환경에 대한 관점과 이 시대의 기업인들의 태도에 시작이라고 할 수 있기에 그러한 관점과 태도의 배경을 알기 위해서는 좋은 접근이기는 하다는 생각도 들기는 했다. 


본서의 주제인 시스템 사고는 환경, 사회, 제도, 일상 등등 넓은 시야와 세밀한 시야 어느 영역에서도 적용되는 관점을 담고 있다. 사실 본서를 읽고서 이 길고 조직적인 책의 내용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까 부담이 되어 이미 작성된 다른 리뷰들을 읽어보았다. 아주 많은 리뷰들이 있는데 많은 분들이 저와 같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거나 기대와는 달리 ESG에 대한 전개는 전혀 없기에 당황하신 기색이 역력해 보였다. 게다가 본서는 '전체는 부분의 합이 아니다'라며 분석과 분별에 대한 경계를 하며 시작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인간이 직관적인 통찰의 경우를 제외하고 분석과 분별을 넘어 총체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경우가 과연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한 장의 도표에 총체적인 이야기를 담는다 해도 그것을 분석하고 이해하려 읽어내는 순간에는 전후를 살피고 상하를 보고 분할하며 도표가 담은 전체를 분별하면서야 분석해낼 수 있지 않은가? 무엇보다 본서의 내용 전개 자체가 분석적이고 분류적이며 분별해 전개되고 있다. 분별해서 파악하고 난 뒤에야 전체로 담아내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체를 통찰한 후에라도 그것을 이야기로 전달하려면 분별해서 전하지 않을 수 없다. 분별은 이렇게 전달 과정 뿐만이 아니라 통찰해나가는 과정에서도 필수적인 것이다. 


시스템 사고는 전체를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이해하고 문제를 찾아내 보완하거나 해결하기 위해 총체적으로 조망하고나서 문제를 파악하고 분별해 해결하는 방식을 담고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겠다. 그 내용이 짧은 요약만으로 담기에는 긴 체계이기에 서두를 어찌 시작할지도 부담되다가 포기하게 되었다. 전체를 다루기에는 요약하기 버겁고 부분만 다룬다면 전체가 이야기 하는 것을 대변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이미 이 시대에는 많은 이들이 하는 사고이지만 하나의 설로 체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 조금 전문적인 느낌을 주기는 한다는 감상이 들었다. 수치화되지 않는 부분도 간과해서는 안되는 것이지만 본서처럼 수치화 하고 공식화하니 일상적인 사고도 하나의 학설 같아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일반적인 사고가 체계화되고 공식화되면 유효적절한 학문이 된다. 아마 대개의 학설도 이런 과정 정도이리라 생각된다. 인문분야에서는 더더욱 그럴 것이다. 본서는 경제와 환경과 제도와 사회를 아우를 수 있는, 적용범위가 광범위한 문제 인식법이자 문제 해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수치화되지 않고 정량화할 수 없는 정보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했지만 수학 공식과도 같이 공식화되어 있는 이 체계를 여러 분야에서 적용한다면 정량적인 이상의 문제해결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들었다. 하지만 본서에서 무엇보다도 뇌리에 각인되던 것은 재설정할 수 있다는 대목이었다.


기존의 이상기후에 대한 관점 등의 환경문제 사안도 결국에는 저자가 1970년대 출간한 [성장의 한계]에 기반한 관점이고 그레이트 리셋이라는 프레임도 결국에는 저자의 논리와 학설을 바탕으로 예비된 것이란 것을 깨우치는 시간이기도 했다. 그래서 결국 대중의 기호대로는 해결될 수 없는 이 시대의 가장 큰 사안은 겪지 않고는 지나갈 수 없겠지만 대중도 대중 나름의 재설정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는 판단만 들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는 육룡이 나르샤에서의 정도전 방식의 모든 면을 대비한 체제를 만드는 완벽주의가 아니라 그때에 이르러 대처해나가야 하는 유연함이 더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본서는 종말론적 모든 문제의 시발점이자 종착점이 되는 관점과 태도의 근간을 담고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