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백신 미접종자이거나 이미 백신 접종자라면 추가 접종을 거부한다. 특히 아동청소년에 대한 접종은 절대로 거부해야만 한다.


둘째, 의사집단은 백신 부작용과 접종 후 사망 사례의 경우 증상과 진단을 대중에게 알린다.


셋째, 제약 연구원들은 기존에 접종하는 백신들을 일련번호별로 분류하여 전국 각지에서 수거하여 백신 부작용과 사망의 원인을 밝힌다.

백신의 원료와 그 원료가 부작용을 일으키는 기전을 밝혀내 공개한다.


넷째, 백신 접종 후 사망자 유가족들과 부작용 환자와 그 가족들은 민간 단체를 만들어 연대한다.


다섯째, 원인에 대한 진단과 조사를 망설이는 의사와  제약 연구원들이 있다면 민간 차원에서 모금을 하여 연구자들을 지원한다.


여섯째, 백신 접종 후 사망 유가족들과 부작용 환자와 그 가족들은 위의 (둘째, 셋째) 사실들에 근거해 정부에 대응을 요구한다. 


일곱째,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만이 아니라 사실을 인지한 사회주도층들이나 대중의 사랑과 관심을 기반으로 부를 축적한 연예인들이 나서서 민간 단체를 구성하고 백신 해독제랄 수 있는 치료약 개발에 '투자'한다. 병과 사망을 주는 백신을 돈을 받고 판 기업이 인간들이 있는데 백신에 대한 치료제를 전세계에 무상으로 지원할 의무는 없다. 백신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면 제약업체와 그를 지원한 단체에서 투자 수익을 나눈다고 나무랄 사람은 없을 것이다.


백식 부작용과 백신 접종 사망자 문제에 대해 이렇게 7가지 대응안을 생각해 봤는데 사회의 소수라도 피해자 입장에 서려 한다는 전제에서 고려한 대응안이다. 백신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것만 밝혀진다면 정부에서도 그에 대응하려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정부가 자신들이 추진해온 정책을 부정하지 않으려 오히려 백신이 문제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려 들 때는 사회주도층과 국민의 사랑으로 부를 축적한 연예인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갖으면 좋을 테지만 정부도 그들도 외면한다면 민간이 대대적으로 서로 연대해 대응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 


한국에서도 다른 나라에서도 백신 문제에 소극적 대응인 시위 정도에 그치고 있다. 그것도 한국은 백신 접종 사망 피해자가 1000명이 넘고서야 행동하기 시작했다. 이제부터라도 좀 더 적극적이고 집단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보시길 권해드린다. 


연대하고 피해 사실을 알리고 피해 사례를 통계 내고 의사집단과 제약 연구원들을 포섭하고 진실을 규명하여 알리고 모금하여 백신에 대한 부작용 자체를 치료하는 백신치료제 개발에 투자하는 것이 아직 살아있는 그리고 앞으로 백신을 접종하고 부작용을 앓을 예비 피해자들이 한정적으로 생겨나는 사례를 막는 길일 거라 생각됩니다. 무엇보다 현재는 경미한 부작용만을 앓고 있다가 돌연히 증세가 심해지거나 n차 접종을 하다가 부작용을 앓게 될 사람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제까지 언급해온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장 나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